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제적 감각과 전문성을 갖춘 국정핵심리더 45명 배출

2024.11.22 외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국립외교원은 『제17기 글로벌리더십 국제관계 장기연수과정』수료식을 11월 22일(금) 개최하였다.


  올해 1월부터 44주 동안 중앙부처·헌법기관·지방자치단체 국(과)장급 공무원 38명과 공공기관 고위간부 7명 등 45명이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수료하였으며, 우수교육생에 대해 시상하였다.

  ㅇ 종합성적 1위에 해당하는 국무총리상은 고덕기(보건복지부), 종합성적 2~5위에 해당하는 외교부장관상은 유승협(기상청), 배석현(기초과학연구원), 박찬우(경상북도), 최성희(문화체육관광부)가 수상하였다.


  글로벌리더십 과정 교육생들은 우리 외교 환경을 둘러싼 국제정세를 이해하고 세계 주요 지역의 외교적 현안에 관해 탐구하는 등 44주 동안 강도 높은 교육과정을 통해 국제정세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비전과 전략, 글로벌 리더로서의 역량을 함양하였다.


  아울러, 우리 정부의 글로벌 중추 국가를 향한 외교정책을 비롯하여 ‘정책나눔’ 및 ‘분임토의’ 발표 등 토론 중심의 참여 교육을 통해 범정부적 차원의 외교역량을 강화하고 부처간 협업 기반을 마련하였다.


  최형찬 국립외교원장은 축사를 통해 “국립외교원에서 지난 10개월간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함양된 리더십을 발휘하여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복합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위한 정책 결정에 각자의 부처·기관에서 적극 기여해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하였다.  


  배지철 교육생 자치회장은 답사에서 “금번 글로벌리더십 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한 역량을 함양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관에 복귀한 뒤에도 각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글로벌리더십 과정은 2008년 개설된 이래 중앙부처,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의 국제관계 업무수행능력을 배양하는데 기여하는 한편, 범정부적 차원의 외교역량을 강화하고 부처간 협업기반을 공고히 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향상하는데도 일조해 오고 있다.


  앞으로도 국립외교원은 교육생 중심의 다양한 자율․참여형 학습 활동을 확대하여 기관 간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정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정핵심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양곡관리법」 등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4개 법률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야당 단독 의결에 대한 정부 입장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