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익산 왕궁리유적 11차 발굴조사와 고증연구 성과 담은 5권의 책자 발간
2017~2022년 발굴 성과, 분야별 연구 성과 종합한 고증연구 기초자료 등 수록
- 첨부파일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익산 왕궁리유적의 고증연구계획과 분야별 연구 성과를 종합한 고증연구 기초자료 보고서와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왕궁리유적 발굴 성과를 정리한 발굴중간보고서 등 책자 5권을 발간하였다.
* 발간 책자 목록
①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계획
②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Ⅰ : 고고·역사
③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Ⅱ : 도시·복원정비
④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Ⅲ : 건축
⑤ 왕궁리 발굴중간보고(王宮里 發掘中間報告) ⅩⅣ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계획』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왕궁리유적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고대 백제 문화를 충실히 복원하기 위한 고증연구계획을 담았다. 건축 복원고증, 고고자료 심화연구, 유적 정비 방안, 관련 분야 융합 연구까지 4개 분야에서 향후 15년간 추진될 종합사업계획이 수록되어 있다.
* 건축 복원고증연구: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고대의 건축에 대해 관련 증거를 수집하고 자료를 비교하여 건물로 복원하는 연구
* 고고자료 심화연구: 발굴조사에서 나온 모든 자료를 분류한 다음, 유적이 만들어진 과정을 밝히고 유물의 성격과 속성에 대해 깊이 고찰하는 연구
* 유적 정비방안연구: 유적지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 연구
* 관련 분야 융합연구: 역사·고고·건축·도시·조경·토목 등 유적에 대한 관련 분야 연구를 진행하고 그것을 종합하는 연구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Ⅰ : 고고·역사』에는 고고학과 역사학적 관점에서 진행된 기존 연구 경향과 쟁점을 정리하고, 문헌자료 집성과 고증 연구를 통해 백제 사비기 때 익산에 조성한 왕궁, 왕릉, 사찰 등의 건설 배경을 담았다. 또한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된 고고학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작업, 왕궁리유적의 축조공정 연구, 왕궁리유적의 시대별 변천 연구 등 8가지 연구과제도 제시하고 있다.
* 축조공정: 유적이 만들어진 과정과 사용된 기술과 공법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Ⅱ : 도시·복원정비』에는 왕궁리유적의 공간 분석결과와 함께 왕궁리유적과 주변 지역을 연계하는 옛길 회복 등 다양한 정비사업 구상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정비현황과 관람환경을 토대로 한 향후의 왕궁리유적 정비 방향과,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왕궁리유적의 생생한 체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디지털 정비모델’의 적용 가능성도 함께 제시하였다.
『익산 왕궁리유적 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Ⅲ : 건축』에는 자료 조사를 통해 목록화한 우리나라 고대 궁궐 유적의 건축적 특징과 왕궁리유적 발굴 결과를 토대로 건물지의 배치와 진입축선 변화, 주요 시설의 성격과 건물 평면 등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 축선: 건물 배치의 기준이나 공간 사용 방향을 계획하는 중심선
『왕궁리 발굴중간보고(王宮里 發掘中間報告) ⅩⅣ』에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왕궁리유적 서편 일대 내·외부공간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대규모 성토대지의 조성 및 공간 활용양상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왕궁리유적의 경관 변화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들은 국립도서관과 연구기관에 배포되었으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가유산 지식이음 누리집(https://portal.nrich.go.kr/)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왕궁리유적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The Korea Heritage Servi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rector Lim Seng-kyeong) have published five volumes, including The Historical Research Plan of Wanggung-ri, Iksan, and IksanWanggung-ri Excavation Report XIV, summarizing the excavation results from 2017 to 2022, alongside the research plans and achievements across various disciplines.
*The published volumes include:
1. The Historical Research Plan of Wanggung-ri, Iksan
2. Th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about the Historical Research of Wanggung-ri, IksanⅠ: Archaeology - History
3. Th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about the Historical Research of Wanggung-ri, IksanⅡ: City - Restoration and Maintenance
4. Th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about the Historical Research of Wanggung-ri, IksanⅢ: Architecture
5. Wanggung-ri Excavation Report XIV
Key Contents of the Publications:
1. The Historical Research Plan of Wanggung-ri, Iksan
This report outlines a comprehensive verification research plan aimed at reevaluating the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Wanggung-ri Site,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nd faithfully restoring ancient Baekje culture. The research focuses on four key areas: Architectural Restoration and Verification, In-depth Archaeological Research, Site Maintenance Strateg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report also presents a detailed 15-year project for future implementation.
* Architectural Restoration and Verification: Collecting and Comparing evidence to restore ancient architecture (structures) that no longer exist.
* In-depth Archaeological Research: Classifying excavation data to analyze site formation processes
and examine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unearthed artifacts.
*Site Maintenance Strategies: Developing method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site.
*Interdisciplinary Studies: Collaborative research integrating fields such as history, archaeology,
architecture, urban planning, landscape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2. Th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about the Historical Research of Wanggung-ri, IksanⅠ: Archaeology - History
This volume organizes existing research trends and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archaeology and history. It also analyzes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royal tombs, and temple built inIksan during the Baekje Sabi Period, based on documentary evidence and verification studies. The compilation presents eight research topics, including the creation of a database for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unearthed at the Wanggung-ri Site, the study of its construction process, and research on its chronological transformations.
*Construction Process: The methods and techniques used in constructing the site.
3. Th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about the Historical Research of Wanggung-ri, IksanⅡ: City -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is volume examines the site's spatial structure, along with plans for restoration projects such as reconnecting ancient pathways and integrating surrounding areas.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site maintenance and visitor facilities and proposes future directions for site restoration, including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pplying digital restoration models.
*Digital Restoration Model: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to visualize the site’s features and create
immersive, on-site experiences for visitors.
4. Th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about the Historical Research of Wanggung-ri, IksanⅢ: Architecture
This volume compiles and catalogs research on ancient palace sites in Korea, focusing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t analyzes spatial layouts, changes in alignment, building site attributes, and building plans based on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Wanggung-ri Site.
5. Wanggung-ri Excavation Report XIV
This report summarizes the excavation results from 2017 to 2022, focusing o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in the southwestern and northwestern areas of the palace site. It details findings on large-scale filled grounds and their spatial usage patterns, insights into the site’s evolving landscape.
The newly published volumes have been distributed to national librar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made accessible to the public through the National Heritage Knowledge Portal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ttps://portal.nrich.go.kr/).
The Korea Heritage Servi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main committed to conducting systematic investigations and studies on the Wanggung-ri Site,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o further elevate the global significance of Korea’s cultural heritage.
< 익산 왕궁리유적 발굴중간보고 ⅩⅣ 및 고증기초자료 보고서(고증연구계획+고증연구 기초자료 집성 Ⅰ, Ⅱ, Ⅲ) >
“이 자료는 국가유산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특허청, ‘서문시장’에서 짝퉁 명품 판매한 2명 입건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