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개인채무자보호법」의 금융현장 안착을 위해 계도기간을 3개월 연장합니다. |
◈ ‘25.1.15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통해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시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
◈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시행상황을 점검한 결과, 아직 초기 단계이나 채무조정 요청권, 연체이자 감면 등 새로운 제도들이 점진적으로 금융현장에 안착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24.10.17일 법 시행 이후 12.31일까지 금융회사등이 총 2만1,513건의 금융회사 자체적인 채무조정 신청에 대해 처리한 것으로 파악
ㅇ 원리금 감면이 9,319건(32.1%)로 가장 많았으며, 변제기간 연장(7,859건, 27.1%), 분할변제(5,837건, 20.1%) 순이었음
◈ 「개인채무자보호법」은 대출의 일부 연체 등으로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도 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채무부분에 대해 연체이자 부과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회사에서 총 10만6,646개의 채권에 대해 연체이자를 완화한 것으로 파악
ㅇ 채무자가 실거주 중인 6억원 이하의 주택에 대해 금융회사에서 경매신청 사유 발생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하여 경매를 신청한 건수는 총 262건
◈ 이 날 금융위원회에서는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안착을 위한 향후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ㅇ 「개인채무자보호법」에 따른 새로운 제도들이 금융현장에 확고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향후 3개월 간 추가 계도기간(‘25.1.17일~4.16일)을 부여할 계획
ㅇ 또한 앞으로도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상황 점검반을 지속 운영하여 시행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현장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소할 계획 |
‘25.1.15일 금융위원회(위원장: 김병환)는 정례회의를 통해 「개인금융채권의 관리 및 개인금융채무자의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시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개인채무자보호법」은 개인금융채권의 연체 이후 관리와 채무자 보호 규율 강화를 위한 법률로 지난 ‘24.10.17일 시행되었다.
(1) 점검결과 보고
이 날 금융위원회에서는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시행상황을 점검하고 그 결과, 아직 초기 단계이나 채무조정 요청권, 연체이자 감면 등 새로운 제도들이 점진적으로 금융현장에 안착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채무조정 요청권의 경우, ‘24.10.17일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 이후 12.31일까지 총 2만1,513건의 신청이 있었으며, 이 중 1만9,803건에 대해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청 및 처리 건수>
(단위 : 건)
업권 | ||||||||||
총 신청 (A= B+C+D+E) | 거절 (B) | 처리 완료 (C = C1+C2) | 검토중 (D) | 기타 (E) | ||||||
승인 (C1) | 불승인 (C2) | |||||||||
채무자 동의 | 채무자 거절 | 채무자 검토중 | ||||||||
은행 | 3,680 | 194 | 3,162 | 1,442 | 1,381 | 32 | 29 | 1,720 | 16 | 308 |
보험 | 271 | 14 | 244 | 244 | 244 | 0 | 0 | 0 | 3 | 10 |
저축은행 | 1,027 | 76 | 847 | 618 | 584 | 20 | 14 | 229 | 31 | 73 |
상호금융 | 72 | 0 | 69 | 69 | 69 | 0 | 0 | 0 | 0 | 3 |
여전 | 8,241 | 235 | 7,458 | 7,028 | 6,802 | 160 | 66 | 430 | 146 | 402 |
대부 | 764 | 2 | 595 | 564 | 550 | 13 | 1 | 31 | 164 | 3 |
캠코 | 6,734 | 0 | 6,724 | 6,724 | 5,349 | 203 | 1,172 | 0 | 8 | 2 |
신보중앙회 | 724 | 1 | 704 | 703 | 703 | 0 | 0 | 1 | 0 | 19 |
합계 (비율, %) | 21,513 | 522 | 19,803 | 17,392 | 15,682 | 428 | 1282 | 2,411 | 368 | 820 |
(100) | (2.4) | (92.1) | (80.8) | (72.9) | (2.0) | (6.0) | (11.2) | (1.7) | (3.8) |
처리 건수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중복 허용), 원리금 감면이 9,319건(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변제기간 연장(7,859건, 27.1%), 분할변제(5,837건, 20.1%) 순이었다.
* 원리금 감면(9,319건, 32.1%), 변제기간 연장(7,859건, 27.1%), 분할변제(5,837건, 20.1%), 대환대출(3,179건, 10.9%), 이자율 조정(2,650건, 9.1%) 순
또한, 「개인채무자보호법」은 대출의 일부 연체 등으로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도 기한이익이 상실되지 않았더라면 기한이 도래하지 않았을 채무부분에 대해 연체이자 부과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회사에서 총 10만6,646개의 채권에 대해 채무자의 연체이자 부담을 완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동 법은 채무자가 실거주 중인 6억원 이하의 주택의 경우 경매 신청 사유 발생일로부터 6개월 이후 경매를 신청하도록 하여 채무자의 최소한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회사에서 경매신청 사유 발생일로부터 6개월이 경과하여 경매를 신청한 건수는 총 262건으로 확인되었다.
(2) 향후 정책 추진방향
이 날 금융위원회에서는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안착을 위한 향후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논의되었다. 먼저, 금융위원회는 「개인채무자보호법」에 따른 새로운 제도들이 금융현장에 확고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향후 3개월 간 추가적인 계도기간(‘25.1.17일~4.16일)을 부여*할 계획이다.
* 지난 10.17일 시행 시 3개월을 부여하고 법 집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보아가며, 추가 3개월의 계도기간을 부여하기로 한 바 있음
금융회사가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에 따른 준비를 해왔으나, 3개월의 계도기간으로는 새로운 제도를 충분히 준비·시행하는 데 다소 부족하여 계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채무조정의 경우 금융회사가 적극적으로 채무조정을 수행해야 내실 있는 운영이 가능하므로, 시행 초기에 금융회사가 제재 우려 없이 채무조정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채무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추심 관련 규제의 경우 「개인연체채권매입펀드」**의 운영을 6개월 연장(~‘25.6월말)하여 과잉 추심 완화를 위한 보완장치를 旣 마련하였다는 점도 고려했다.
* 채무조정 홍보, 비대면 채무조정 신청 채널 구축 등
** 금융회사는 해당 펀드의 매입대상 개인연체채권을 캠코에만 매각 가능 → 과잉 추심 방지 및 개인채무자의 재기를 지원
다만, 계도기간 중에도 법 취지가 형해화되지 않도록 위반행위가 다음의 사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재가 가능하다.
<계도기간 중 제재가 가능한 경우>
위반행위에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는 경우
위반행위로 인해 개인금융채무자에 중대한 재산상 손실이 발생하거나 시장질서가 크게 저해된 경우(다만, 위반행위의 동기, 경위 등에 특히 참작할 사유가 있는 경우는 제외)
「개인채무자보호법」 위반에 대해 감독기관이 시정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정하지 않은 경우 |
또한, 금융위원회는 시행상황 점검반(반장: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속 운영하여 「개인채무자보호법」의 안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행상황 점검반을 통해 시행상황을 상시 점검하는 한편, 현장의 애로사항에 대해서도 신속히 해소할 계획이다.
※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상황 점검반
·참여기관 : 금융위원회(부위원장 주재), 금융감독원, 우정사업본부, 신용회복위원회, 한국자산관리공사, 신용보증기금, 은행연합회, 여신금융협회,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 금융투자협회, 저축은행중앙회, 한국대부금융협회, 신용정보협회,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중앙회,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재단중앙회, 농협자산관리회사, 한국무역보험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
“이 자료는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자료] 제2차 「가상자산위원회」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