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긴 연휴와 대설·한파 등 영향
2025설 연휴기간 중 소방활동실적 전반적 증가
설 연휴(1.25.~1.30.) 119신고139,709건 일 평균23,284건 접수
화재607건,인명피해40명(사망6,부상34)...전년 대비 인명피해73.9%증가
구조13,023건...대설로 인한 장애물 제거 및 안전조치 큰 폭 증가(576.3%)
구급51,222건 출동,한랭손상 환자 증가(5명→18명)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이번 설 연휴 기간 소방활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전년 대비 긴 연휴*와 대설·한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도 설 연휴 대비 화재·구조·구급 등 출동건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일 평균 대응활동**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 2024년 설 연휴기간4일(2월9일~2월12일) / 2025년 설 연휴6일(1월25일~1월30일)
**(일 평균 대응 활동)화재: 99건→101건,구조: 2,285건→2,171건,구급: 8,492건→8,537건
소방청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이었던1월25일부터1월30일까지6일 동안화재·구조·구급 소방활동 실적은 총64,852건으로2024년43,504건에 비해49.1%(21,348건)증가했다.특히연휴 셋째 날인27일 가장 많은 소방활동(11,285건/ 17.4%)을 출동했다.
< '25년 설 연휴 소방활동 현황> |
||||||||||||||||||||||||||||||||||||||||||||||||||||||||||||||||||||||||
|
설 연휴 기간 전국적으로하루 평균화재는101건 발생해 전년 대비2.0%증가했고,구조 출동은5.0%감소하여2,171건을 출동했다.구급 출동도8,537건으로 전년 대비0.5%증가했다.
설 연휴 기간 소방활동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먼저,화재 출동은607건으로 인명피해는 사망6명,부상34명이었다.인명피해는2024년 설 연휴 대비73.9%증가했다.
<설 연휴 화재활동 현황> |
||||||||||||||||||||||||||||||||||||||||||||||
·(화재건수)607건/전년397건 대비210건(52.9%)증가 ·(인명피해) 40명/전년23명 대비17명(73.9%)증가 ·(사 망) 6명/전년3명 대비3명(100%)증가 ·(부 상) 34명/전년20명 대비14명(70.0%)증가
※사망자6명 모두 주거시설에서 발생(아파트3,다세대주택2,단독주택1) |
장소별로는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가20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낮12시부터16시 사이에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화재 원인은담배꽁초,음식물 조리 등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305건으로 절반 이상(50.7%)을 차지했다.
※화재발생 원인은 조사 경과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음
구조활동은총13,023건을 출동하여7,852건을 처리했고,1,708명을 구조했다.설 연휴기간대설·한파 등으로 인하여 장애물 제거 및 안전조치*가 큰 폭으로 증가(576.3%)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물 제거 및 안전조치 활동: 97건(2024년)→656건(2025년)
구급활동은51,222건 출동하여27,603명을 이송했고,이송환자의 연령대별 분포는70대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0.9%), 60대 이상 고령자가 절반 이상(58.8%)이었다.특히 이번 설 연휴에는 대설·한파 등으로 인하여 한랭손상 환자가 증가*했다.
*한랭손상 환자: 5명(2024년)→18명(2025년)
119신고접수 건수는 총139,709건 접수되어 전년 대비50%증가했다.
구급상황관리센터로 접수된병의원·약국 안내 등 상담건수는 전년 대비 일 평균1,160건(13.1%)감소한 반면,의료지도24건(7.1%),이송병원 안내113건(111.6%)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
총계 |
상담·안내 |
질병 상담 |
응급처치 지도 |
의료 지도 |
이송병원 안내 |
기타 |
|||
소계 |
병원 |
약국 |
||||||||
2025년 |
계 |
46,215 |
29,880 |
27,931 |
1,949 |
6,665 |
6,015 |
2,180 |
1,292 |
183 |
일평균 |
7,703 |
4,980 |
4,655 |
325 |
1,111 |
1,003 |
363 |
215 |
31 |
|
2024년 |
계 |
35,453 |
23,870 |
21,357 |
2,513 |
4,728 |
5,021 |
1357 |
407 |
70 |
일평균 |
8,863 |
5,968 |
5,339 |
628 |
1,182 |
1,255 |
339 |
102 |
18 |
|
일일 증감(%) |
△13.1 |
△16.5 |
△12.9 |
△48.3 |
△6.0 |
△20.1 |
7.1 |
111.6 |
74.3 |
대표적으로 지난29일 부산에서 발생한 약물중독 중증환자에 대해 소방청과 시도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신속히 병원을 선정하고 이송한 사례가 있다.
※시도 구상센터 요청 후13분만에 병원 선정 완료(08:17→08:30,양산부산대병원 선정)
박근오 소방청119대응국장은"긴 연휴와 대설·한파 등 영향으로 소방활동이 전반적으로 증가했음에도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무사히 명절을 보낼 수 있었다"며"앞으로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
소방청 |
책임자 |
과 장 |
代김재운 |
(044-205-7610) |
대응총괄과 |
담당자 |
소방위 |
홍종덕 |
(044-205-7563) |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농식품부, 사전 예방조치로 대설 피해 최소화, 피해 상황 및 주말 대비 준비 태세 점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눌렀다가…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