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면온도 12.1℃로 최근 10년 대비 0.2℃ 높아 해기차에 의한 눈구름 생성에 기여
□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2025년 1월의 기후 특성과원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 [기온] 1월 전국 평균기온은 -0.2℃로 평년(-0.9℃)보다 0.7℃ 높았고(1973년*이래 14위), 작년(0.9℃)보다는 1.1℃ 낮았다.'대한이 소한 집에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라는속담처럼, 소한(5일)이 있던 둘째 주에기온이 크게 떨어졌다가 중순부터 따뜻해져 대한(20일)이 있던 넷째 주에는기온이 높았다(그림 1 참고).
*역대 순위는 기상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시기인 1973년 이후부터 산출
○ 1월 초 평년 수준이었던 기온이 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 상층 찬 기압골영향으로 떨어지면서 한파가 발생했으나, 13일 이후에는대륙고기압이 약화되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라 24일에는 전국 평균 일최고기온이 10.5℃까지 오르는 등이상고온*이 5일이나 발생했다.이후 28일부터는 다시 대륙고기압이 강화되면서 기온이 떨어졌다. (붙임 1 참고) * 이상고온(1월 일최고기온 순위 중 상위 10%일 경우) 발생일 - 19일(9.4℃), 22일(9.2℃), 23일(10.1℃), 24일(10.5℃), 25일(9.2℃) ※ 2025년 1월 전국 일평균기온 최저일/최고일: 1월 9일(-7.5℃)/1월 26일(3.6℃)
○ 1월 기온 변화는 북극진동*의 영향이 컸다.1월 상순 음의 북극진동으로고위도의 찬 공기가 동아시아로 남하하면서 찬대륙고기압이 발달하였고, 중순이후양의 북극진동으로 전환되며 기온이 올랐다. * 북극진동은 북극에 존재하는 찬 공기의 소용돌이가 주기적으로 강약을 되풀이하는현상으로 양(음)의 북극진동일 때는 북극의 찬 공기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남하하기 어려움(쉬움) ※ 2025년 1월 일별 북극진동 경향 및 영향 모식도:붙임 2 참고
□[눈·비]1월 강수량은 16.8mm로 평년(26.2mm)의 68.2% 수준이었으나,전국 눈일수는 9.7일*로 평년(6.2일)보다 3.5일 많았고(3위),내린 눈의양**도 14.5cm로 평년(10.5cm)보다 4.0cm 많았다(12위). *목측 통계 산출 13개 지점의 평균값(북강릉, 서울, 인천, 수원, 청주, 대전, 포항,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 3시간마다 관측한 새로 내린 눈의 높이(3시간 신적설)를 한 달간 합계한 값
○ 눈은 주로기온이 낮았던1월 전반부(1월 3일~16일)와 말경(24~31일)에집중되었다(그림 2 참고). 이 시기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서해상에서 해기차(바닷물과 대기의 온도 차)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이 유입되어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린 반면, 동해안과 남해안은 평년보다 적은 강수량을 보였다.(붙임 4 참고)
○ 특히, 설 연휴 기간 중(27~29일) 중에 전국적으로 대설 특보가 발표되는 등 수도권 및 충청, 전라 지역에 많은 눈이 내렸다(표 1 참고). 1월설 연휴 중에 전국적으로 많은 눈이 온 것은 1973년 이래 처음이다.
□ [해수면온도]1월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온도는 12.1℃로최근 10년(2016~2025년) 평균(11.9℃)보다 0.2℃ 높았다(최근 10년 중 4위).(붙임 6 참고)
○ 해역별로는 서해가 7.9℃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0.8℃ 높았고, 동해는 13.3℃로 0.1℃낮았고, 남해는 15.0℃로 0.1℃낮았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1월 설 연휴 동안 한파와 많은 눈으로 국민들께서피해와 불편을 겪으셨을 텐데, 이번 주 다시 강한 한파가 찾아오는 등2월에도 큰 기온변동이 예상되어 대비가 필요합니다."라며,"최근 기후변동성이커짐에 따라 기상청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이상기후현상을 면밀히감시하여, 기상재해로부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우선으로 대응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