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육계 가축분뇨 처리 부문 국가고유계수 2종 개발…우리나라 특성 반영
-일일 휘발성 고형물 배출량 계수·연간 질소 배출량 계수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육계 분뇨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메탄,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더 정확하게 산정하는 데 필요한 국가고유계수 2종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국가고유계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때 필요한 요소에 해당 나라의 특성을 반영해 정량화한 값이다. 국가고유계수가 없는 나라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하는 기본값을 활용해 배출량을 산정한다.
이럴 경우, 나라별로 서로 다른 가축 사육 방식, 사양 기술, 분뇨처리 기술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정확한 배출량 산정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는 각 나라 자체적으로 국가고유계수를 개발토록 권장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국가고유계수는 육계 분뇨의 일일 휘발성 고형물 배출량(VS, Volatile Solid) 계수와 연간 질소 배출량(Nex, Annual average N excretion) 계수이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검증을 거쳐 2025년 1월 7일 최종 등록됐다.
신규 국가고유계수를 적용하면, 육계 분뇨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메탄,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2019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지침에서 제시하는 기본값으로 산정했을 때보다 약 27.2% 낮게 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국가 특성이 반영된 정확한 계수를 활용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배출량 산정을 할 수 있게 됐다.
한편,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축산·초지 분야 국가고유계수는 장내 발효 17종, 분뇨처리 4종, 초지 흡수 1종 등 22종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장길원 과장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축종별 국가고유계수와 함께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배출계수 등 가축분뇨 처리 부문 국가고유계수 개발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이를 통해 가축분뇨 처리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정확성을 높이고 국가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도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미생물로 영농 폐비닐 신속 분해 기술적 기반 확보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2025 내 나라 여행박람회' 다녀왔어요!
-
여성 경제활동 지원 대상 '경단녀' → '모든 여성'으로 확대
-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정부, '증원 전 수준 건의' 수용
-
청년 일자리, '재학·구직·재직' 단계별 지원…"고용동향 면밀히 점검"
-
12조 2000억 원 '필수추경' 편성…산불 재해복구·미 관세 대응·민생 지원에 투자
-
'4500km 코리아둘레길' 따라 대한민국 구석구석 함께 걸어요
-
'택배·직접배달' 소상공인도 지원금 30만 원 지급…55만 명 예상
-
'12·29여객기참사 피해지원 특별법' 국회 통과…생활·의료 지원 등
-
폭염 위험수준 '카카오톡'으로 안내…"부모님 건강 챙기세요"
-
수도권·전라 광주 다가구·오피스텔도 층간소음 측정 무료 제공
최신 뉴스
- 산림청, 문학인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행사 개최
-
산불 피해농가에 '벼·콩' 정부보급종 11품종 1259톤 무상공급
-
정부, 여름철 산사태 예방 위해 범부처 공동대응 나서
-
"붕괴 등 대형사고 예방"…전국 건설현장 안전조치 집중점검
- "한국형 지능형 텔레비전 + 매체작품+ 인공지능 융합 (K-스마트TV + 미디어콘텐츠 + AI 융합)으로 세계 시장 공략" 과기정통부, 「국제 한국형 광고 기반 무료 실시간 재생 텔레비전 동맹(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출범
-
문체부, 산불 피해지역 '여행+동행' 캠페인…"관광이 회복 돕는 것"
- 국세청에서 알려드리는 학자금 의무상환 꿀팁, 나에게 맞는 상환 방법은?
- 특허청산업계, K-반도체 미래를 논하다!
- "이젠 로봇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 기술이 '농업로봇' 확산 이끈다
-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세계 시장 선점 위한 징검다리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