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국제농업협력사업을 통해협력국의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농산업 성장을 지원하며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1차 국제농업협력사업 종합계획(2025~2029)」을 발표하였다.
특히, 이번 계획에서는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하여 농업 전후방 산업관련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모델을 2029년까지 10개 이상 확보하고 협력 대상 국가도 50개국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함에 따라 향후 국내외 기업의 관심과 참여가 제고될 전망이다.
이번 목표 달성을 위해 ▲전후방 산업 협력 강화로 사업성과 제고 및 농식품수출 기반 조성 ▲국제농업협력사업 확충 및 다양화 ▲ 농업 가치사슬 전주기지원으로 자생력 강화 ▲사업 추진체계 및 조직역량 강화등 4대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요 핵심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ODA 연계 글로벌 농업 혁신을 선도하는기업 해외진출 협력 모델 10+발굴
국제기구, 기업 및 비영리단체와 정부 간 협업모델*을 향후5년 동안 10개 이상 발굴한다. 기업의 국제농업협력사업 참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업성과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긴밀한 현지 네트워크와 풍부한 사업 경험을 보유한 국제기구와의 협업을 통해 사업 리스크를 줄이고 성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모델안 A) 국제농업협력사업으로 다수확 벼 종자를 생산·보급하고, 기업과 협업을 통해현지 농산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고품질 케이(K)-농자재도 함께 현지에서 생산·공급
* (모델안 B) 케이(K)-라이스벨트 프로젝트와 아프리카개발은행, 세계식량계획 프로그램을연계, 벼 종자 생산 외 종자 보급, 쌀 생산 및 가공 등 쌀산업 전반의 가치사슬 향상 지원
우리 기업의 국제농업협력사업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도 병행한다. 민관 상시 협력 채널을 구축하여 기업 수요에 기반한 민관 협업모델을 함께 발굴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국제기구 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정보 및 컨설팅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공적개발원조사업과 연계하여 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시장 조사, 전시포운영, 홍보등도 전략적으로 지원한다.
2. 식량원조, 케이(K)-라이스벨트 등 케이(K)-농업 브랜드 성과 확산
농식품부는 식량원조와 케이(K)-라이스벨트 등 국제사회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대표 사업들을 고도화함으로써케이(K)-농업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모범사례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쌀 식량원조 사업은 지원 국가와 물량을 확대하고 지원 품목도 다양화한다. 아프리카 동서부 중심의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은 남부로 확대*하고 쌀 전후방 산업, 농촌 생활환경개선, 교육·복지 향상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 현 사업 추진 국가: 세네갈, 감비아, 가나, 기니, 카메룬, 우간다, 케냐
* 사업 추진 위한 MOU 체결국: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앙골라, 짐바브웨,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 코트디부아르
3. 협력국의 자립 기반을 강화하는 농업 가치사슬 전(全)주기 지원
그동안 농식품부의 국제농업협력사업은 협력국의 요청에 따라 분절적, 단발적으로 추진되는 경향이 있었다. 앞으로는 협력국의 수요와 함께 농업 가치사슬 전반의 분석을 토대로 제도 정비, 생산 기반 구축, 가공 및 유통 활성화, 참여 주체 역량 강화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여 협력국의 농산업 발전과 경제적 자립 기반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기지원된 농업시설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사업 종료 후에도해당 시설이 선진 농업 기술 확산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4. 국제농업협력사업 전담 조직 및 전문 지원기관 본격 출범
농식품부는 사업 전주기 기능별 관리를 위해부처 내 총괄 전담 조직(글로벌농업개발추진팀)을 신설('24.12)하여 사업 기획, 사업 관리, 성과관리, 역량강화 및 홍보를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다양화되고 전문화되는 국제농업협력사업에 대응하기 위해 기획, 정보화·교육, 성과관리 등 분야별 전문 지원기관*도지정하여 운영한다.
송미령 장관은 "이번 종합계획은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20주년을 맞아그간 추진해 온 사업성과를 돌이켜 보고 협력국의 농산업 성장과 함께 우리나라 농산업 기업의 해외 진출도 함께 지원하는 상생의 계획이라는 점에서의의가 크다."라며, "관계부처, 국제기구, 민간과 협력하여 사업성과를 확산하여 국격을 제고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