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월 12일(수)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전통주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였다. 이번 대책은 전통주를 미래 농식품 산업의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육성하기 위해 ①제도 개선, ②생산 역량 강화, ③국내판로 확대, ④해외시장 개척의네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마련되었다.
신규 창업 활성화 및 전통주 저변 확대
먼저, 양조장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소규모 주류제조면허 주종을 확대한다. 기존에는 발효주류(탁주·약주·청주·과실주·맥주)만 소규모 면허가 허용되었으나, 앞으로는 증류식 소주·브랜디·위스키 등 증류주도 소규모 면허를 받을 수 있도록허용한다. 또한, 소규모 전통주 제조업체에 대한 주세 감면 혜택을확대한다. 기존에 발효주류 기준 연간 생산량 500kl 이하인 업체만 50% 주세 감면 혜택을받았으나, 주세 감면 요건을 1,000kl 이하로 완화하고 30% 감면 구간을 추가하여 소규모 양조장의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역특산주의 원료조달 규제를 완화하여 다양한 농산물을 활용한 제품 개발을 촉진한다. 상위 3개 원료로 지역 농산물을 100% 사용해야 하는 요건을, 제품 중량비 대비 일정 비율 이상 지역 농산물을 사용하도록 완화한다. 아울러,프리미엄 쌀 증류주및 수출전략상품 육성을 위해 전통주산업법과 주세법개정 검토 등 관계 법령 정비를 추진 한다.
생산 역량 강화 및 양조 기술 고도화
전통주의 품질 향상을 위해업계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인프라 구축을강화한다. 먼저, 국산 미생물을 활용한 양조 연구를 확대하고, 우수 제품의 성분 분석을 기반으로 품질 데이터베이스와 평가 지표를 구축한다. 또한, 신규진입자를 대상으로 기술 컨설팅등을 지원해 소규모 양조장도 기초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전통주 전용자금,창업 인력양성을위한 창업지원센터를 통해 성장 친화적 환경을 조성한다.
지역관광 연계 및 국내판로 개척
전통주를 지역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하여 내수 시장을 활성화한다. 케이(K)-미식전통주 벨트*조성, 찾아가는 양조장**내실화 등을 통해 지역 전통주와 로컬푸드를 연계한 체험형 관광 프로그램을 강화해 운영한다.
* 국내 특색있는 미식 테마를 중심으로 관광 상품 기획·인프라 개선·인력양성 및 홍보 추진
**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역의 우수 양조장을 선정해 생산에서 관광·체험까지 연계된복합문화공간으로 육성(누계: 59개소)
또한, 전통주의 유통 경로 확대를 위해온·오프라인 판매망도확충한다. 네이버·카카오 등 주요 온라인 쇼핑몰과 협업하여 전통주 전용 기획전을 운영하고, 대형마트·편의점 입점을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공공기관이 전통주를 쉽게 구매할수 있도록 나라장터 쇼핑몰 등록을 확대하고, 클린카드 사용 지침을 개선한다.
글로벌 홍보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재외공관을 활용한 전통주 홍보를 강화한다. 주요 외교 행사에서 전통주를공식 건배주로 활용하도록 하고,외교관을 대상으로 전통주와한식 페어링 교육을신설한다. 아울러, 전통주의 글로벌판로 개척을 위해공항 면세점 입점을 우대하고,전통주 관련 수출협의회를운영하여 수출 마케팅 및 국가별 맞춤형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또한,한식과연계한 전통주 건배주 가이드북을 제작·배포하여 해외 바이어 등에게 전통주의우수성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이번 대책을 바탕으로 정부는 앞으로도 우리 쌀 등 국산 농산물로 빚은 전통주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며, "우리 전통주가 국내외 시장에서 더욱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