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브리퍼 : 해양수산부 송명달 차관 -
< 1. 인사말씀 >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 2월 19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60건과 212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김 26건, 굴 23건, 미역 20건, 아귀 14건,
전복 14건
□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국내 생산단계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미역, 다시마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641건을 선정하였고, 640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2월 3주차 3건(미역, 다시마, 김) 선정
○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중국산 돔, 노르웨이연어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185건을 선정하였고, 183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2월 2주차 중국 조개, 칠레 오징어
□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112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김, 굴 등 총 10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 등에서 입항한 선박 7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447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부산 해운대·광안리, 인천 을왕리·장경리, 경북 영일대, 경남 학동몽돌·상주은모래, 전남 신지명사십리·율포솔밭, 전북 변산·선유도, 충남 대천·만리포, 울산 일산·진하 등 15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월 1주('25.2.3~2.7) 분석 의뢰한 전국 15개소 검사완료
□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제주해역 9개 지점, 서북해역 7개 지점, 서중해역 8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 세슘134는 리터당 0.063 베크렐 미만에서 0.081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66 베크렐 미만에서 0.080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5 베크렐 미만에서 6.9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 (134Cs) <0.063~<0.081Bq/L, (137Cs) <0.066~<0.080Bq/L, (3H) <6.5∼<6.9Bq/L
○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이상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 1. 인사말씀 >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 지난 브리핑(2.12) 이후, 도쿄전력 측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2월 17일에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2월 17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3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9~<7.2(검출하한치 미만)
** 3~10km 이내 총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9 (검출하한치 미만)
□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