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전 세계 홍역 유행 중, 해외여행 전 접종! 여행 후 발열, 발진 있으면 홍역 의심!
- 최근 국내 홍역 환자(18명) 중 베트남 방문력 환자가 13명(1차 백신접종 이전 시기 영아 4명 포함, '24.12~'25.3.6.)
- 면역체계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 유행국가 방문 자제, 불가피한 경우 반드시 백신 접종 후 출국
- 해외여행 후 발열 동반 기침, 콧물, 결막염 등 증상이 있는 경우 홍역 의심 진료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고 있고, 특히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환자 18명 중 13명이 베트남 방문력이 있음을 고려하여 베트남 등 해외 방문을 계획중인 경우 백신 접종 등 주의를 당부하였다.
국내 홍역 환자는 '24년 총 49명, '25.3.6일 기준 총 16명이 발생하였으며, 모두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국내에서 환자와 접촉하여 감염된 사례이다. 특히 '24년 12월 2명과 금년 3월까지 발생한 확진자 중 13명은 베트남을 다녀왔다.
* ('22년) 약 17만 명, ('23년) 약 32만 명, ('24년) 약 33만 명 ('25.2.11. 기준 WHO)
** '24.12.1.~25.3.6. 환자 18명중 13명(베트남 방문력), 5명(국내에서 환자 접촉)
【 '24-'25년 월별 국내 홍역 환자 발생 현황(신고일 기준, 단위: 명) 】 |
||||||||||||||||
2024년 |
2025년 |
|||||||||||||||
소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소계 |
1월 |
2월 |
3월 |
49 |
1 |
10 |
4 |
24 |
8 |
0 |
0 |
0 |
0 |
0 |
0 |
2 |
16 |
2 |
7 |
7 |
【 최근 10년('16~'25년) 홍역 환자 발생 현황(단위: 명)】 *( )베트남 유입 확진자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25.3.6.기준) |
18 (0) |
7 (1) |
15 (1) |
194 (47) |
6 (3) |
0 (0) |
0 (0) |
8 (0) |
49 (2) |
16 (11) |
※ 국내 홍역 환자('24년∼'25.3.6.)는 모두 해외유입 또는 해외유입 관련 환자
•(해외유입, 29건 ) 발진 발생 21일 내 해외여행력, 해외 유행 중인 유전자형(B3 혹은 D8)인 경우
* 베트남13, 우즈베키스탄 6, 카자흐스탄 3, 말레이시아 2, 태국 2, 아제르바이잔 1, 남아프리카공화국 1, 러시아 1
•(해외유입 관련, 36건) 국외 또는 국내에서 홍역 환자와 접촉하거나, 해외에서 유행 중인 유전자형(B3 혹은 D8)인 경우
'24년 12월 이후 베트남 방문력을 가진 홍역 환자 13명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홍역 백신 접종력을 모르거나, 없는 사람들이다. 연령은 0세(3명)부터 50대까지 다양한데, 특히 4명은 1차 홍역 백신 접종 시기(12~15개월) 이전 영아이다. 체류 기간은 최소 5일에서 최대 1.5개월이었고, 귀국 후 홍역 증상인 발열을 동반한 기침, 콧물 등 증상을 보이다가 발진이 발생하였다.
【표 1. '24.12월∼'25.3.6. 베트남 방문 홍역 환자 사례 】 |
|||||
연번 |
연령대 |
체류지 |
방문시기 |
체류기간 |
접종력 |
1 |
30대 |
하노이 |
'24.11월 |
1주 미만 |
모름 |
2 |
0세(9개월) |
호치민 |
'24.11월 말-12월 |
1∼4주 |
없음 |
3 |
30대 |
호치민 |
'24.12월 |
1∼4주 |
모름 |
4 |
50대 |
나트랑 |
'25.1월 |
1주 미만 |
모름 |
5 |
20대 |
하노이등 |
'24.12월-'25.1월 |
4주 이상 |
없음 |
6 |
1세(12개월) |
호치민·호이안 |
'25.1월-2월 |
4주 이상 |
없음 |
7 |
0세(7개월) |
호치민 |
'25.1월-2월 |
4주 이상 |
없음 |
8 |
40대 |
호치민 |
'25.2월 |
1주 미만 |
없음 |
9 |
30대 |
다낭 |
'25.1월-2월 |
1∼4주 |
모름 |
10 |
7세 |
나트랑 |
'25.1월-2월 |
4주 이상 |
없음 |
11 |
1세(13개월) |
호치민 |
'25.2월 |
1주 |
모름 |
12 |
40대 |
다낭·호이안 |
'25.1월-2월 |
1주 미만 |
모름 |
13 |
20대 |
다낭 |
'25.1월 |
1주 미만 |
2회 |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중으로, '24년 홍역환자 수는 약 33만 명*이며('25.2.11. 기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순으로 많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여행하는 동남아시아, 서태평양지역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표 2 참고).
【 표 2. 세계보건기구(WHO) 지역별 홍역 환자 수 】 |
|||
지역 |
홍역 환자수1) |
비교 (전년 동기간 대비 환자수) |
|
2023년 |
2024년 |
||
전 세계 |
321,890 |
334,717 |
1.0배 |
아프리카 |
73,443 |
85,745 |
1.2배 |
아메리카 |
73 |
461 |
6.3배 |
중동 |
90,855 |
92,425 |
1.0배 |
유럽 |
60,945 |
108,200 |
1.8배 |
동남아시아 |
90,832 |
36,824 |
0.4배 |
서태평양 |
5,742 |
11,062 |
1.9배 |
1) 각국 보고 기준(실험실 확진, 역학적 연관 또는 임상기준에 합당한 환자) ※ 자료원: WHO, Immunization Data Portal('25.2.11. 보고자료, 보고지연 상황 고려 필요) |
참고로 서태평양지역의 홍역 환자는 '24년 기준 11,062명이 발생하였는데 지역별로는 필리핀이 4,00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말레이시아(3,753명), 베트남(2,105명), 중국(1,026명) 순이다.(표 3 참고)
【 표3. 세계보건기구(WHO) 지역별 주요 10개 국가 홍역 환자 수*(2024년) 】 |
|||||||||
중동 |
동남아시아 |
서태평양 |
유럽 |
아메리카 |
|||||
국가명 |
환자수 |
국가명 |
환자수 |
국가명 |
환자수 |
국가명 |
환자수 |
국가명 |
환자수 |
이라크 |
32,179 |
인도 |
20,726 |
필리핀 |
4,001 |
카자흐스탄 |
28,147 |
미국 |
284 |
파키스탄 |
25,401 |
태국 |
8,194 |
말레이시아 |
3,753 |
러시아 |
22,076 |
캐나다 |
147 |
예맨 |
19,988 |
인도네시아 |
7,191 |
베트남 |
2,105 |
아제르바이잔 |
16,690 |
아르젠티나 |
14 |
아프가니스탄 |
9,769 |
스리랑카 |
305 |
중국 |
1,026 |
키르기스스탄 |
13,961 |
멕시코 |
7 |
소말리아 |
1,309 |
방글라데시 |
240 |
호주 |
56 |
루마니아 |
12,040 |
브라질 |
4 |
사우디 아라비아 |
1,116 |
네팔 |
132 |
대한민국 |
49 |
영국 |
2,920 |
볼리비아 |
3 |
수단 |
796 |
미얀마 |
30 |
일본 |
42 |
보스니아 헤르체코비나 |
1,680 |
페루 |
2 |
아랍에미리트 |
571 |
몰디브 |
3 |
몽골 |
12 |
터키 |
1,520 |
- |
- |
모로코 |
409 |
동티모르 |
3 |
싱가포르 |
12 |
우즈베키스탄 |
1,459 |
- |
- |
이란 |
316 |
- |
- |
캄보디아 |
4 |
이탈리아 |
1,049 |
- |
- |
* '24년 WHO에 보고된 각국 실험실 확진, 역학적 연관 또는 임상 기준에 합당한 환자 수 |
|||||||||
※ 자료원: WHO, Immunization Data Portal('25.2.11. 보고자료, 보고지연 상황 고려 필요) |
베트남이 공식 홍역 환자 보고수가 가장 많은 국가가 아님에도 베트남 방문이력을 가진 홍역 환자가 국내에서 최근 지속 신고되는 이유는, 베트남이 국내 여행자들의 선호 국가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베트남의 '24년 외국인 관광객 총 1,758만 명 유치로 전년대비 39.5%증가, 국적별로는 한국이 전년대비 27% 증가한 456만 명으로 1위 차지(한국관광데이터랩, '25.1.22)
※ 2024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는(일본(8.8백만 명), 베트남(4.6백만 명), 태국(1.8백만), 필리핀(1.6백만),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마카오 순임(「국민 해외관광객 주요 목적지별 통계」 '24.12월, 한국관관공사)
따라서,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중국 등 홍역 유행국가 방문 또는 여행을 계획중인 경우, 반드시 홍역 백신 접종력을 확인*하고, 접종력 확인이 어려운 경우 백신 접종후에 방문할 것이 권고된다.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 예방접종관리 → 접종내역 조회
홍역은 기침 또는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감염 시 발열·발진·구강 내 회백색 반점(Koplik's spot) 등이 나타나며,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환자와 접촉 시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붙임1 참고). 하지만, 백신접종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만큼, 생후 12~15개월 및 4~6세 총 2회에 걸쳐 반드시 홍역 백신(MMR)을 접종해야 한다.
* 1차 접종시 93%, 2차 접종시 97% 예방 가능
특히 면역체계가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에 감염되면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감염에 유의하기 위해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방문이 불가피하다면(생후 6개월이상 12개월 미만) 반드시 출국전에 홍역 가속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 예방접종 후 방어면역 형성까지의 기간(보통 2주)을 고려해 출국 전 예방접종 필요
【 홍역 유행국가 방문 시 접종 권고 예시 】 |
||
구분(만나이) |
접종 횟수 및 방법 |
|
6개월~11개월 |
출국 최소 2주전 1회 접종 * 이후 생후 12-15개월, 만4-6세 표준접종 일정 준수(총 3회) |
|
12개월-3세 |
접종력 없음/모름 |
출국 최소 2주전 1회 접종 * 만4-6세 표준접종 일정 준수(이전 접종과 4주 이상 간격) |
4세~6세 |
접종력 없음/모름 |
출국 최소 6전 부터 시작하여 2회 접종 * 접종 간격 최소 4주이상, 방어면역형성기간 2주 필요 |
접종력 1회 |
출국 최소 2주 전 1회 접종 |
* 6∼12개월 미만 가속 예방접종의 경우 정부에서 전액 지원 중 |
우리나라는 홍역 퇴치 인증국(WHO, 2014)으로, 홍역을 검역감염병으로 지정('24.1월~)중이다. 귀국 시 홍역의 주요 증상인 발열, 발진이 있다면 입국장의 검역관에게 건강상태를 신고(Q-CODE 또는 건강상태질문서)해야 한다.
신고내용에 따라 홍역 환자로 의심된다고 판단한 경우 격리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고, 검사 결과 홍역으로 확진된 경우 정부에서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전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고 있는 만큼, 여행 전 홍역 백신(MMR)을 2회 모두 접종하였는지 확인하고,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 출국 최소 6주 전부터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할 것"을 권고하였다.
* (홍역 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 과거 백신 접종 기록이 없으면서 홍역에 걸린 적이 없거나, 홍역 항체가 확인되지 않는 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아울러 "해외여행 이후 발열을 동한한 기침, 콧물, 결막염 또는 발진 증상을 보인다면 바로 의료기관 방문하여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을 것과, 의료기관에서도 검사 및 관할 보건소 신고 등을 적극적으로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 1. 홍역 개요
2. 전세계 홍역 발생 현황
3. 홍역 바로 알기(Q&A)
4. 홍역 예방수칙 안내 포스터
5. 홍역 예방수칙 카드뉴스
6. 올바른 손씻기 포스터
7. 기침예절 홍보 포스터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임기근 조달청장, 노르웨이 공공관리청과 공공조달 협력 논의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9급 공채 한국사 시험, 2027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
생전 사진 없는 6·25 전사자, 3D 기술로 얼굴 복원
-
역사와 자연이 들려주는 치유 여행지 5곳
-
지방공무원 공채시험 개편…2027년부터 7급 국어, 'PSAT'로 대체
-
한미 연합 대량살상무기 제거…무장 드론·탐색 로봇 동원해 임무 완수!
-
주말·명절 고속버스 취소 수수료 10%→15%·20%…"노쇼 방지"
-
2025년 상반기 봄꽃·임산물 축제 전국지도
-
2025년도 문화누리카드 지원 시작, 나눔티켓도 놓치지 마세요!
-
자립지원수당, 자기돌봄비, 천원의 아침밥…든든한 청년 맞춤복지
-
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발급 개시…관공서·은행 등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