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5년 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2월 ICT 수출 167.1억 달러, 무역수지 58.1억 달러 흑자 기록 - 1월의 감소세에서 반등, 역대 2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 달성 -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출 소폭 감소에도 휴대폰·통신장비가 수출 증가 견인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17일, 2월 한달 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167.1억 달러로 전년 동월(165.1억 달러) 대비 1.2% 증가했으며, 수입은 109.0억 달러로 전년 동월(103.1억 달러) 대비 5.6% 늘어났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58.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역대 2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달성한 것이며, 전월(△0.4%)의 감소세에서 반등한 것으로 정보통신산업(ICT) 분야 수출의 회복세를 의미한다.
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167.1억 달러)에서는 반도체(△3.0%)와 디스플레이(△5.1%) 수출은 감소했지만, 휴대폰(33.3%↑), 컴퓨터·주변기기(26.9%↑), 통신장비(74.1%↑)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였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의 양호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범용 메모리 반도체(NAND 등)의 단가 하락과 낸드 플래시 공정 전환으로 인한 감산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소폭 감소하였다. 디스플레이는 중국의 패널 공급 과잉 및 가전제품 수요 부진 등으로 인해 수출이 줄었다. 반면, 휴대폰은 중국, 베트남, 인도 등 해외 생산기지로의 부분품 수출이 늘어나며 수출이 증가했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미국, 유럽연합(EU) 등의 서버·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저장장치 수요 증가로, 통신장비는 인도로의 항해 보조장치 공급 확대에 힘입어 각각 수출이 증가하였다.
* HBM : High Bandwidth Memory, DDR5 : Double Data Rate 5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베트남(15.6%↑), 미국(11.5%↑), 대만(124.3%↑), 인도(54.9%↑) 등에서는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19.6%), 유럽연합(△7.6%), 일본(△5.7%) 등에서는 수출이 감소하였다.
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09.0억 달러)은 반도체(5.2%↑), 컴퓨터·주변기기(3.5%↑), 휴대폰(8.6%↑)의 증가로 전년 동월(103.1억 달러) 대비 5.6% 증가하였다. 특히, 최근 국내 기업의 AI서버 및 GPU 투자 확대로 중대형컴퓨터(3.3%↑)와 멀티미디어카드(41.6%↑)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정보통신산업(ICT) 2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96.5억 달러, △3.0%) 메모리 반도체 고정가격의 하락*과 낸드 플래시 공정전환에 따른 감산으로 감소했으나, 고부가가치 메모리(DDR5, HBM 등) 수출은 호실적 지속
※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4.7월)112.1(48.7↑) → (11월)124.6(30.3↑) → ('25.2월)96.5(△3.0)
* D램 단가 추이($) : ('23.10월)1.50 → ('24.1월)1.80 → (4월)2.10 → (7월)2.10 → (11월)1.35 → ('25.2월)1.35
* 낸드 단가 추이($) : ('23.10월)3.88 → ('24.1월)4.72 → (4월)4.90 → (7월)4.90 → (11월)2.16 → ('25.2월)2.29
○ (디스플레이 : 14.7억 달러, △5.1%) 텔레비전, 컴퓨터 등 전방 수요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가 있으나, 10억 달러 수준 수출은 지속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24.7월)19.3(2.1↑) → (10월)18.0(△21.5) → ('25.1월)12.6(△16.1) → (2월)14.7(△5.1)
○ (휴대폰 : 10.7억 달러 , 33.3%↑) 해외 생산 기지가 위치한 중국, 베트남, 인도 向 부분품 수출 확대로 수출이 두 자릿수로 증가
※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11.2(19.2↑) → ('25.1월)10.1(△8.8) → (2월)10.7(33.3↑)
○ (컴퓨터·주변기기 : 9.4억 달러, 26.9%↑) AI 데이터 센터 저장장치 수요 증가로 주변기기 內 보조기억장치(6.2억 달러, 38.9%↑) 수출이 14개월 연속 증가 기록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24.2월)7.4(13.5↑) → ('25.1월)9.3(10.0↑) → (2월)9.4(26.9↑)
○ (통신장비 : 3.4억 달러, 74.1%↑) 인도(1.7억 달러, 1,973%↑) 向 항해 보조 장치 공급 급등과 미국(0.5억 달러, 25.5%↑) 向 전장용 통신장비 수요 증가 등으로 2개월 만에 반등
※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2.0(4.2↑) → ('25.1월)1.6(△20.9) → (2월)3.4(74.1↑)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중소·중견기업 46.3억 달러, 5.9%↑) 반도체(21.5억 달러, 4.4%↑), 디스플레이(2.1억 달러, 6.3%↑), 휴대폰(2.5억 달러, 0.3%↑), 컴퓨터·주변기기(1.6억 달러, 5.9%↑), 통신장비(2.6억 달러, 130.8%↑) 등 증가 * 중소기업(15.5억 달러, 6.5%↑)은 디스플레이(0.7억 달러, 0.9%↑), 컴퓨터·주변기기(1.2억 달러, 2.4%↑), 통신장비(2.2억 달러, 235.1%↑) 등 증가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59.2억 달러, △19.6%) 휴대폰(6.1억 달러, 97.3%↑), 컴퓨터·주변기기(2.1억 달러, 18.4%↑) 등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반도체(39.8억 달러, △31.8%)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24.9월)91.4(22.0↑) → (11월)79.1(△2.2) → ('25.2월)59.2(△19.6)
○ (베트남 : 30.3억 달러, 15.6%↑) 반도체(17.4억 달러, 35.6%↑),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18.1%↑) 등 주요품목 전반이 수출 증가하며 19개월 연속 증가
※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23.7월)25.2(△18.7) → (8월)30.5(1.7↑) → ('25.2월)30.3(15.6↑)
○ (미국 : 20.9억 달러, 11.5%↑) 반도체(7.0억 달러, 26.5%↑), 컴퓨터·주변기기(3.8억 달러, 65.2%↑), 통신장비(0.5억 달러, 25.5%↑) 등의 호조로 16개월 연속 증가*
※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23.10월)17.4(△14.7) →(11월)20.6(12.5↑) → ('25.2월)20.9(11.5↑)
○ (유럽연합 : 8.5억 달러, △7.6%) 디스플레이(0.4억 달러, 61.5%↑), 컴퓨터·주변기기(1.5억 달러, 12.6%↑)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반도체(2.0억 달러, △10.0%) 등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9.1(△3.9) → ('25.1월)7.3(△18.9) → (2월)8.5(△7.6)
○ (일본 : 2.8억 달러, △5.7%) 디스플레이(0.1억 달러, 10.3%↑) 등은 증가했으나, 반도체(0.7억 달러, △15.0%) 등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일본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3.6(14.3↑) → ('25.1월)2.9(△5.0) → (2월)2.8(△5.7)
○ (대만 : 18.8억 달러, 124.3%↑) 반도체(17.3억 달러, 140.9%↑), 휴대폰(0.1억 달러, 45.8%↑) 등 주요 품목 전반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대만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33.0(168.9↑) → ('25.1월)16.7(68.8) → (2월)18.8(124.3)
○ (인도 : 6.8억 달러, 54.9%↑) 반도체(3.0억 달러, 19.1%↑), 휴대폰(0.3억 달러*, 87.2%↑), 통신장비(1.7억 달러, 1,973%↑) 등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인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3.6(△14.9) → ('25.1월)4.8(22.4↑) → (2월)6.8(54.9↑)
* 세부품목(비중, 금액) : 완제품(4.7%, 0.03억 달러), 부분품(95.3%, 0.27억 달러)
정보통신산업(ICT) 2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반도체(57.0억 달러, 5.2%↑), 컴퓨터·주변기기(SSD 등, 11.0억 달러, 3.5%↑), 휴대폰(5.0억 달러, 8.6%↑)은 증가, 디스플레이(3.2억 달러, △15.1%), 통신장비(2.9억 달러, △11.6%)는 감소
□ (지역별) 미국(7.4억 달러, 23.2%↑), 일본(11.1억 달러, 19.4%↑), 베트남(10.7억 달러, 2.8%↑) 등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2.0억 달러, △19.8%) 등은 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 설명자료] 제42회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대상작> 물기둥 수상이 취소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2025 내 나라 여행박람회' 다녀왔어요!
-
여성 경제활동 지원 대상 '경단녀' → '모든 여성'으로 확대
-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정부, '증원 전 수준 건의' 수용
-
정부, 12조원대 '필수 추경안' 마련…"대규모 재해·재난에 보호"
-
한 권한대행 "미국과 '협상의 시간' 돌입…정부·민간 대응역량 총결집"
-
청년 일자리, '재학·구직·재직' 단계별 지원…"고용동향 면밀히 점검"
-
2025년도 시각·청각장애인용TV 보급사업 신청안내
-
민·관 합동 '2025년 집중안전점검'…취약시설물 2만 2884개 대상
-
1주택자 재산세 부담 완화…공정시장가액비율 특례 계속 적용
-
'최대 순간풍속' 고려해 산불확산 예측…주민대피 3단계 체계 마련
최신 뉴스
- 1229 여객기 사고 피해자 지원을 위한 「민간전문가 자문단」 운영
- 농축산물 불법 수입 대응 전담 '광역수사팀' 출범
- 도축수수료 미인상·인하 업체에 운영자금 236억 원 지원
- 한국농수산대학교-닥터애그(주) 버섯산업 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력을 강화하기로
- 전기차 화재 징후 시 소방차 실시간 출동 … 신속 대응 체계 시범 운영 시작
- 글로컬대학 혁신 걸림돌,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규제특례)으로 걷어낸다
- 충남 아산 토종닭 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항원 확인
-
한 권한대행 "4·19혁명,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 빛나는 성취"
- 정례브리핑
- 강인선 2차관, 프랑스 외교부 대외무역 특임장관 및 파리 소재 주요 국제기구 대표 면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