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알팔파 담근먹이 저장성 향상, 유산균 첨가제 개발

글자크기 설정
목록

- 담근먹이(사일리지) 유산균 첨가제 개발…발효 품질 향상과 저장성 개선

- 저장성 개선·부패 억제 효과 입증 및 기술이전, 현장 실용화 기반 마련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알팔파 담근먹이(사일리지)* 발효 품질과 저장성을 향상할 수 있는 유산균 첨가제 '레빌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케이시시(KCC)-44(이하 케이시시(KCC)-44)'를 개발하고, 기술이전을 통해 실용화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담근먹이(사일리지)란 수확기 강우 등 국내 재배 환경에서 풀사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발효 사료 형태로, 수분을 함유한 풀사료를 공기가 차단된 혐기적 조건에서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산도를 낮추고 저장성을 높이는 저장 방법

알팔파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영양가가 높아 축산농가에서 선호하는 국산 풀사료다. 하지만 담근먹이로 제조할 때 유산균 발효에 필요한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 할 경우 잘 발효되지 않아 상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수분 함량이 높은 조건에서는 산도(pH)가 잘 떨어지지 않아 품질 저하와 저장성 악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콩과 작물인 알팔파에 특화된 전용 유산균 첨가제 '케이시시(KCC)-44'를 개발했다. 

연구진이 5개월 동안 실험한 결과, 유산균 처리군에서 무첨가군 대비 산도가 5.49에서 4.6으로 낮아졌고, 유산균 수도 증가했다. 이는 부패균이 자라기 어려워 풀사료를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효모 수는 5.4에서 4.4, 곰팡이 수는 4.9에서 4.6으로 줄어 발효 안정성과 저장성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케모스피어(Chemosphere)'에 게재*돼 학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 농촌진흥청은 유산균 첨가제 '케이시시(KCC)-44' 특허 등록**을 마치고 민간업체에 기술이전, 실용화 기반을 마련했다.

*논문명: Changes in microbial dynamic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lfalfa silage: A potent approach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 through high-quality forage silage (2024년 8월, IF 8.8)

**특허명: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CC-4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10-2272415-00)

이번에 개발한 유산균 첨가제는 담근먹이 1톤당 2g(105~106 CFU/기준)을 물에 희석해 곤포를 제조할 때 고르게 살포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조사료생산시스템과 이상훈 과장은"이번 유산균 첨가제 개발로 알팔파 담근먹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게 됐다."라며 "알팔파 국내 재배 확대와 사료비 절감, 풀사료 자급률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기후변화 대응 '농작물 병해충·잡초 연구자' 역량 키운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