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실태조사 결과 발표
- 공장 보유 중소·중견기업 163,273개 사 중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은 19.5%(중소기업은 18.6%)로, 전체 지능형(스마트)공장의 75.5%가 기초단계
- 스마트공장 활용률은 80%를 상회, 제조AI 도입률은 0.1% 수준
2025.04.28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은 28일(월)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23.7) 이후 처음 실시되는 조사로,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회를 운영하여 모집단 구성, 설문지 설계 등 사전 조사기획 후 표본조사를 진행하였다.
지능형(스마트)공장 보급 등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23년 기준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633,182개 사 중 공장 보유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 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그 중 5,000개 사를 표본으로 하여 24년 10월부터 25년 1월까지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 제1차 스마트제조혁신 실태조사 개요 >
· (근거)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제7조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대상) '23년 기준 공장을 보유한 중소·중견 제조기업(모집단 163,273개, 표본 5,000개) · (방법) 조사원 대면조사 실시 · (내용) 기업 현황, 스마트제조혁신 인식,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활용, 제조데이터, 인력, 보안 등 총 6개 분야 81개 항목 |
이번 조사에 따르면 공장 보유 중소·중견 제조기업 163,273개 사 중 소상공인이 61.8%, 소기업 27.2%, 중기업 9.7%, 중견기업이 1.3%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률은 전체기업에서 19.5%, 중소기업은 18.6%로 나타났으며, 기업 규모가 클수록 도입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규모별 도입률 : 중견기업 85.7% > 중기업 54.2% > 소기업 28.5%> 소상공인 8.7%
(스마트제조혁신 인식) 전체 기업 중 22.8%가 중요성을 인식하여 실행
* 스마트제조혁신 : 중소기업의 제조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등을 융합하여 제품개발, 제조공정, 유통관리, 기업경영방식 등을 개선하는 활동
스마트제조혁신에 대한 인식은 전체 기업 중 약 22.8%가 스마트제조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도입하거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전체 기업의 26.5%가 스마트제조혁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스마트제조혁신을 추진하는 주요 목적은 생산 효율성 향상(56.5%)이며, 이어서 품질 관리 개선(37.1%), 비용 절감(22.7%) 순이다.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활용) 기초 수준 지능형(스마트)공장은 75.5%, 활용률은 80% 이상
지능형(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 중 기초 수준은 75.5%으로, 기업 규모가 클수록 지능형(스마트)공장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 범위는 부분 도입이 99.8%로 파악된다.
* 규모별 중간 이상 비율 : 중견 40.3% > 중기업 29.0% > 소기업 22.6% > 소상공인 19.6%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 평균 비용은 11억 3천만 원, 중소기업은 7억 5천만 원으로 조사됐으며, 도입 방식으로는 외부 전문기업을 통한 솔루션 도입이 46.4%, 자체 전문인력을 활용한 경우가 45.9%로 나타났다.
도입 시 가장 많은 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자체 자금(56.9%)로 나타났으며, 자체 구축 시 비용은 평균 8.1억 원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도입 기술은 ERP(76.3%), 제어컨트롤러(16.9%), MES(14.4%)이며, 향후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기술은 제조로봇(1.7%), 제어컨트롤러(1.3%), ERP(1.1%) 순이다.
지능형(스마트)공장 활용률은 구성 요소 모두 80%를 상회하였으며, 요소별로 살펴보면 H/W 90.5%, 제조데이터 89.7%, S/W 83.1%로 확인됐다.
지능형(스마트)공장이 주로 활용되는 분야는 생산관리(42.2%)이며, 이어서 사업기획·전략수립 26.3%, 재무관리 10.7%, 기술혁신관리 9.2%, 인적자원관리 4.4% 순으로 나타났다.
지능형(스마트)공장 활용 수준의 고도화가 필요하다는 밝힌 기업은 45.7%로, 고도화를 위해 자체 투자계획을 보유한 기업은 25.6%로 파악된다.
(제조데이터·인공지능(AI)) 제조데이터 수집기업은 전체의 60.8%, 제조인공지능(AI) 도입기업은 0.1%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60.8%로, 이 중 52.1%가 실제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능형(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92.4%가 제조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중 74.0%가 분석하고 있다.
제조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업은 전체의 0.1%, 도입 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1.6%로 확인됐으며,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의 경우 5.2%가 제조인공지능(AI)을 도입하였거나 할 계획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조데이터·인공지능(AI) 관련 전담 부서와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0.8%로 나타났다.
(인력) 종사자 14.7명 중 스마트공장 관련 종사자는 5.4명
기업 내 평균 종사자는 14.7명으로 그 중 생산직이 60.6%를 차지하며, 지능형(스마트)공장 관련 종사자는 전체 종사자의 36.7%인 5.4명으로 조사되었다.
지능형(스마트)공장 관련 전담 부서나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전체의 19.5%이며, 관련 교육을 위한 별도 예산을 마련한 기업은 6.6%로 나타났다.
지능형(스마트)공장 관련 추가 인력 확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14.5%로, 인력 확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부담(47.1%)으로 확인됐다.
이번 결과에 대해, 권순재 제조혁신과장은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지능형(스마트)공장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점검한 첫 공식 실태조사"라고 설명하면서,
"지능형(스마트)공장 도입율 19.5%(31,782개 사), 기초 위주 지능형(스마트)공장(75.5%)등 중소 제조 현장 디지털 전환은 현재 진행형"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하여 중소 제조현장의 디지털전환(DX)을 촉진하고, 제조디지털전환(DX)의 기반 위에서 제조인공지능(AI)이 확산되도록 지역특화 제조인공지능(AI)센터를 구축하고 제조인공지능(AI) 전문기업을 육성하는 등 제조디지털전환(DX)·인공지능전환(AX) 생태계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자살예방 위해 지역사회가 앞장선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평생교육이용권' 11만 5000명 지원…연간 35만 원, 24일부터 접수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기재부 "한미 '2+2 통상 협의' 의제 조율 중"
-
문체부, 산불 피해지역 '여행+동행' 캠페인…"관광이 회복 돕는 것"
-
내달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
5월, 바다로 떠날 준비되셨나요?
-
퇴직자 인생 2막을 위한 희망정책 "중장년 경력 지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