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우리 전승공예품의 아름다움, 영국 런던에 닿다
국가유산청, 「런던 크래프트 위크」(5.2.~5.18.) 첫 참가… 일상 속 활용성을 높인 국가무형유산 전승공예품 28종 82점 전시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함께 오는 5월 2일부터 18일까지 영국 런던 '더 레이버리(The Lavery) 갤러리 10'에서 개최되는 「런던 크래프트 위크 2025」에 참가한다.
런던 전역에서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런던 크래프트 위크」는 디자인·패션·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기관, 기업 등이 참여하여 장인정신과 창의성을 선보이는 행사이다. 2024년에는 전 세계 200개 이상의 협력사가 참여하고, 약 25만 명이 방문했다.
올해 처음으로 「런던 크래프트 위크」에 참가하는 국가유산청은 'Objects of Beautification(한국의 장신구)'을 주제로 일상 속 활용도가 높은 전승공예품을 선보이며, 런던에서 국가무형유산 전승공예품 브랜드인 'K.CRAFT(케이 크래프트)'를 알릴 예정이다. 전시 공간은 조선시대 목가구인 '사방탁자'에서 착안하여 조성하였으며, 국가유산청의 '전승공예품 디자인 협업 지원 및 인증제 운영 사업'을 통해 제작된 총 28종 82점의 작품을 전시 및 판매할 계획이다.
* 전승공예품 디자인 협업 지원 사업: 국가무형유산 전승자와 현대 디자이너 간 협업을 통해 대중적인 전승공예품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
* 전승공예품 인증제 운영 사업: 전승공예품의 품질과 작품성을 인증해 가치와 공신력을 높여주는 국가 인증 사업
국가무형유산 전승자와 현대 디자이너가 협업해 제작한 주요 작품으로는 칼집이 있는 작은 칼로, 남녀노소가 모두 즐겨 사용했던 '장도'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우편물 개봉 칼로 제작한 '지칼'(제작: 박종군 장도장 보유자, 자문: 김주일 디자인주 대표), 은(銀) 상감으로 장식한 '잔상화병'(제작: 남경숙 조각장 전승교육사, 자문: 이삼웅 홍익대학교 목조형가구학과 겸임교수), 정교한 선 입사(入絲) 기술로 기하학 문양을 표현한 '입사 브로치'(제작: 승경란 입사장 전승교육사, 자문: 정호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학과 조교수), 실용적이면서 화려한 금박이 돋보이는 '가죽 금박 두루주머니'(제작: 박수영 금박장 이수자, 자문: 김주일 디자인주 대표), 전통 손누비로 완성한 '누비 실크 스카프'(제작: 하은정 누비장 이수자, 자문: 김현지 원이어퍼포먼스 대표), 궁중 장식 꽃 중 하나인 연꽃잎을 흔들개비(모빌)로 표현한 '산화 모빌'(제작: 김주영 궁중채화 이수자, 자문: 서현진 스튜디오 오리진 대표)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전승공예품 인증제 사업'을 통해 국가인증을 받은 작품들도 함께 전시된다. 대나무로 부채살을 만드는 전통 기법인 '합죽'으로 만든 부채 '합죽선'(김동식 선자장 보유자, 김대성 선자장 이수자), 서안(책을 얹던 책상)에서 착안한 차반에 소품을 담는 함(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네모지게 만든 통)의 기능을 더한 '서안 차반함'(김동규 소목장 이수자)', 두루주머니(허리에 차는 작은 주머니) 형태에 전통 매듭 장식이 어우러진 '매듭 유소 클러치'(김시재 매듭장 이수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된 한산모시짜기 기술로 만든 '생모시'(김선희 한산모시짜기 이수자)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진흥원은 「런던 크래프트 위크」 전시를 계기로 우리나라 전승공예품의 가치와 쓰임이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전통공예의 해외 진출과 판로 확대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The Korea Heritage Service (KHS; Administrator Choi Eung-chon),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 Heritage Agency (KHA; President, Choi Young-chang), debuts in 'London Craft week', UK.
'London Craft Week' is an annual festival held across the city of London since 2015. Celebrating craftsmanship and creativity, the event brings together artists, designers, institutions, and brands from diverse fields such as design, fashion, art, and luxury. In 2024, the festival welcomed participation from over 200 partners worldwide and attracted approximately 250,000 visitors.
This marks the Korea Heritage Service's first participation in the event, presenting an exhibition that highlights the artistic excellence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Korea's traditional craftsmanship rooted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exhibition also explores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s of these time-honored techniques, demonstrating their enduring relevance and creative potential in today's world.
Titled K-Craft in London Objects of Beautification, the exhibition will feature a curated selection of everyday objects presented under K.CRAFT, a brand showcasing Kore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raft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traditional sabangtakja—a four-sided open cabinet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the exhibition will showcase 82 works across 28 craft categories, with selected pieces available for purchase.
The exhibition includes works developed through the Traditional Craft Design Collaboration Support Program. This initiative supports collaborations between Kore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tisans and designers active today to develop traditional crafts with contemporary relevance.
Featured works include:
•Letter knife: A reinterpretation of the small personal knives used across genders and generations in the Joseon era, created by Park Jong-gun (Artisan of Jangdojang, Knife Making) in consultation with Kim Ju-il (CEO, DesignJoo).
•Mirage Vase: A striking vase decorated with silver inlay, crafted by Nam Kyung-sook (Artisan of Jogakjang, Metal Engraving),in consultation with Adjunct Professor Lee Sam-woong (Woodworking & Furniture Design, Hongik University).
•Inlay Brooch: Featuring intricate geometric patterns created using traditional wire inlay techniques, crafted by Seung Kyung-ran (Artisan of Ipsajang, Silver or Gold Inlaying),in consultation with Assistant Professor Chung Ho-yeon (Metal Craft & Design, SeoulTech)
•Leather Gold Leaf Imprint Durujumeoni: A luxurious leather pouch with intricate gold leaf work, created by Park Su-young (Artisan of Geumbakjang,Gold Leaf Imprinting), in consultation with designer Kim Ju-il.
•Quilted Silk Scarf: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hand quilting, created by Ha Eun-jung(Artisan of Nubijang, Quilting), in consultation with Kim Hyun-ji (CEO, 1YearPerformance).
•Sanhwa mobile: Lotus leaf: A 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court floral decorations into hanging sculptures, designed by Kim Joo-young(Artisan of GungjungChaehwa, Royal Silk Flower Making), in consultation with Seo Hyun-jin (CEO, Studio ORIGIN).
The exhibition also features certified works recognized under Korea's Traditional Craft Certification Program — a government-led accreditation system that authenticates the craftsmanship and artistic excellence of traditional heritage objects, reinforcing their cultural value and institutional trust.
Featured works include:
•Hapjukseon:A folding bamboo fan by Holder Kim Dong-sik and Certified trainee Kim Dae-sung (Artisan of Seonjajang, Fan Making).
*Hapjuk is a traditional Korean technique of joining thin strips of bamboo, often used in crafting fans.
•Seoan Tea Table: A tea table inspired by the traditional Korean scholar's desk (seoan), originally used for reading and writing, reimagined with a built-in storage box for holding small items — blending contemplative aesthetics with practical utility, by Kim Dong-gyu (Artisan of Somokjang, Wood Furniture Making).
•Tassel Clutch: Tassel Clutch, a modern clutch inspired by the durujumeoni — a small traditional pouch worn around the waist — and adorned with decorative Korean knots, by Kim Si-jae (Artisan of Maedeupjang, Decorative Knotting).
•Fresh mosi (ramies): Created using UNESCO-recognized techniques, by Kim Sun-hee(Artisan of HansanMosiJjagi, Fine Ramie Weaving of Hansan).
Through its debut participation in London Craft Week, the Korea Heritage Service and Korea Heritage Agency aim to elevate the global profile of Korea's intangible heritage crafts. Their commitment to expanding international outreach and increasing market access for traditional Korean crafts will continue in the years ahead.
< 홍보물 >
“이 자료는 국가유산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영구임대주택 주거 불편 해소한다."… 고충 상담을 위해 광명시로 출동!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산불피해 시름 날리는 '착한 여행'…"미안해 말고 관광 오세요!"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유출 안돼"
-
내달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
5월, 바다로 떠날 준비되셨나요?
-
6월부터 '주택 임대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실거래가 투명화 기대
-
퇴직자 인생 2막을 위한 희망정책 "중장년 경력 지원제"
최신 뉴스
- '해양오염 방제 전문가 퇴직공무원 위촉'...해양환경 보호의 비결 현장에서 챙긴다
-
아이가 태어나는 도시, 우리가 꿈꾸는 미래
- 신임 총영사 임용장 전수식 개최
-
걷기의 의미를 생각해 본 하루 '2025 제2회 메모리얼 봄꽃 하이킹'
-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창출…딥테크 연구소기업 500개 육성
- (보도참고)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처리자 대상 강화된 개인정보 보호조치 당부
-
실업급여 부정수급 '자진신고'하면 추가징수 면제
- 농촌진흥청, 국산 열풍건초 보급 확대기술 고도화 속도 내
- 방위사업 보안! 소통을 통해 발전합니다
-
5~8월 오존 고농도 시기…환경부, 집중관리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