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전시·교육·체험 기능 대폭 강화해 전관 개관 (5.1.)
상설전시실·어린이박물관 조성하고, 실록 제작·보관 역사 담은 영상·게임 등 확충… 개관 기념 특별전도(5.1.~7.13.)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관장 김정임, 이하 '실록박물관')은 관람객을 위한 전시 시설과 콘텐츠 확충을 마치고 오는 5월 1일 전관 개관한다.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
실록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민관의 협력으로 110여 년 만에 환수된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과 조선왕조의궤(이하 '의궤')의 원본을 국민에게 직접 선보이는 전문박물관으로, 2023년 11월 개관하였다. 이후 상설전시실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실록과 의궤를 선보여 오다가, 보다 다양한 전시·교육·영상 콘텐츠와 어린이를 위한 체험공간, 유아를 동반한 가족을 위한 휴게공간 조성을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임시 휴관하였으며, 10개월간의 새 단장을 마치고 이번에 전관 개관하게 된 것이다.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시대 제1대 왕 태조로부터 제25대 왕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1973년, 2007년, 2019년에 국보로 지정
*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조선시대 중요 국가 의례, 건축 공사와 같은 큰 행사를 치르고, 그 과정(동원 인원, 행사 내용, 사용된 재물, 행렬의 배치, 의식과 절차)을 정리한 기록물. 2016년에 보물로 지정
* 조선왕조실록박물관 누적 관람객수: 44,980명('23.11.~'24.6. / 총197일)
■ 전관개관 기념 특별전, <오대산사고 가는 길>
먼저, 전관 개관 기념 특별전 <오대산사고 가는 길>(5.1.~7.13.)을 개최한다. 실록을 보관했던 오대산사고의 설립과 운영, 쇠퇴의 역사를 조명해 볼 수 있는 40여 점의 유물을 선보이며, 동여도(東輿圖)와 관동명승첩(關東名勝帖) 등 조선시대 지도와 화첩을 통해 오대산사고를 다녀간 사람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오대산사고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과 문화를 살펴본다.
임진왜란 이후 국가의 중요한 도서를 보관하기 위한 지방의 외사고(外史庫)가 산속 깊은 곳에 자리하게 되면서 습기에 약한 서적 관리를 위해 사관들에 의해 주기적으로 책을 꺼내 바람에 말리는 포쇄(曝曬)가 시행되었다.
포쇄를 위해 중앙에서 파견된 사관들은 이를 영예롭게 여겨 공식 기록 외에도 시문(詩文)이나 암각문 등의 자취를 남겼다. 번암 채제공, 추사 김정희와 같은 명사들도 젊은 시절 포쇄를 위해 오대산사고에 다녀갔고, 포쇄 후에는 관동 지역을 함께 둘러보기도 했다. 추사 김정희는 포쇄 이후 강릉 오죽헌에서 『심헌록(尋軒錄)』이라는 방명록에 이름을 남겼는데, 이 방명록이 이번 전시를 통해 최초로 공개된다.
* 외사고(外史庫) : 국가의 주요 서적을 보관하는 일종의 서고로 서울과 지방에 나누어 설치하였는데, 서울에 있는 것을 내사고(內史庫), 지방에 있는 것을 외사고(外史庫)라고 불렀다.
* 심헌록(尋軒錄): 조선 후기~근대까지 270년 동안 강릉 오죽헌을 다녀간 인사들의 방명록. 1662년 권상하(權尙夏)를 시작으로 1932년 이항구(李恒九)까지 270년 동안 오죽헌을 다녀간 인사 1,149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 사고(史庫)를 품은 오대산, 영상으로 만나는 조선왕조실록
디지털 영상 시대에 발맞춰 영상실도 새롭게 조성되었다. 조선왕조의 역사 기록이 실록이라는 책으로 만들어지고, 오랜 시간 오대산사고에 보관되었던 과정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15분 분량의 영상 두 편이 상영된다. 장대한 화면을 입체적으로 분할하고 각 화면의 조합을 달리하며 변화를 주는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시각 체험을 제공한다.
■ 실록 속 동물들과 함께하는 어린이박물관
유아, 어린이와 이들을 동반한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실록과 오대산사고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어린이박물관도 마련되었다. 어린이박물관은 '숲속 임금님의 보물창고, 오대산사고'라는 주제로, 고양이, 앵무새, 호랑이, 여우, 원숭이, 낙타, 코끼리 등 실록에 등장하는 동물들을 활용하여 실록과 의궤의 제작 과정 및 보관 방법 등을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오대산사고의 실록을 보존하는 건물인 '사각(史閣)'을 본떠 만든 공간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꾸몄으며, 실록을 만들고 보관했던 방법 등을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게임 형태로 구현하였다.
어린이박물관은 앞으로 지역의 유치원, 초등학교 등과 함께 다양한 교육·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조선왕조실록·의궤의 편찬부터 환수까지, 감동의 이야기 <상설전시>
실록박물관은 실록의 원본을 상시로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인 만큼, 그 특성을 살려 총 3부(▲ 1부 '깊은 산속에 품은 조선왕조의 역사, 오대산사고', ▲ 2부 '조선왕조실록, 역사를 지키다', ▲ 3부 '조선왕조의궤, 왕조의 모범을 보이다')로 구성된 상설전시실도 다시 선보인다. 오대산사고에 보관했던 실록과 의궤의 편찬과 분상(分上)부터 일제강점기인 1913년에 반출된 후 110년 만에 본래의 자리인 오대산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여정을 살펴보면서, 국외 반출 문화유산 환수의 중요성과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사고본에는 없는, 교정쇄본인 오대산사고본에만 남아 있는 붉은 먹으로 새긴 교정부호와 왕실 어람용(御覽用) 의궤의 화려한 색채 등을 직접 보며 관람객들은 왕실의 꼼꼼한 기록정신으로 탄생한 우리 기록유산의 우수함에 매료될 것이다.
* 분상: 조선시대 국가와 왕실의 중요한 기록물을 여러 부 제작하여 사고와 관청 등에 나누어 보관함
■ 5월 황금연휴, 풍성한 문화행사로 관람객의 이목 끈다
전관 개관일 전날인 4월 30일에는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을 비롯해 지역 및 각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이 개최된다. 이어 개관일인 5월 1일에는 실록박물관을 방문하는 관람객 100명에게 선착순으로 소정의 기념품을 증정하며, 노동절과 어린이날 등을 아우르는 연휴 기간(5.1.~5.5. )에 맞춰 더 많은 관람객이 실록박물관을 찾을 수 있도록 '야외 도서관'(5.1.~5.5.), 조선왕조실록을 소재로 한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무적핑크 작가(5.3.),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의 박시백 작가(5.4.)와 만날 수 있는 '저자와의 이야기 시간(토크쇼)', '방문인증 이벤트'(5.1.~2.), '전통 마술공연'(5.5.) 등 다양한 문화행사도 진행한다.
실록박물관의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일이다. 동절기(11~2월)에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며, 하절기(3~10월)에는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한다. 자세한 정보는 국가유산청 누리집(https://khs.go.kr)과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누리집(https://sillok.gogung.go.kr/),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를 참고하면 된다.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은 앞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국가유산이자 세계기록유산인 실록과 의궤를 활용한 다양한 전시·교육·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역량을 갖춘 서비스 중심 박물관, 국제적 위상을 갖춘 세계적 박물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친절한 박물관이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역과 함께 상생하는 조선왕조실록·의궤 연구·조사·전시·교육의 중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Korea's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NMAJD, Director Kim Jung-im), under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eritage Service has completed the expansion of its exhibition facilities and content for visitors and will reopen all its facilities to the public on May 1.
*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176, Odaesan-ro,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s a specialized museum that displays the original Joseon wangjosillok and uigwe (Annals and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They have been illegally taken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finally returned to Odaesan Mountain 110 years later through joint effort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Korean people. The museum opened its permanent exhibition gallery in November 2023 to showcase the sillok and uigweto visitors. Since July 2024, the museum temporarilyclosed to enrich its exhibition with diverse exhibition, education, and video contents, as well as to create experiential spaces for children and more resting areas for families with younger children. Following a 10-month renovation, it now reopens its entire facility and welcomes the visitors.
* Joseon 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Royal annals of the 25 kings from 472 year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first king, Taejo, to the 25th king, Cheoljong), recorded in chronological order by year, month, and day.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in 1973, 2007, and 2019.
* Joseon wangjouigw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儀軌): Records with illustrations of the preparation, execution, and post-event procedures of royal ceremon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Designated as treasure in 2016.
* Accumulated number of visitors to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44,980 (197 days from November 2023 to June 2024)
■ Special Exhibition to Commemorate the Reopening of the Museum, Journey to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A special exhibition to celebrate the full reopening of the museum, titled Journey to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May 1 to July 13), will be held. The exhibition will display over 40 artifacts highlighting the history of the setup, operation, and decline of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where the royal annals were archived. Through maps and drawings from the Joseon period, such as the Dongyeodo (Map of the East) and the GwandongMyeongseungcheop (Drawing Album of Scenic Landscapes in the Gwandong Region), the exhibition follows the footsteps of the ancestors who visited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during the Joseon period to gain insights on what they thought of the place and the customs related to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copies of important royal documents and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were archived deep in remote mountain areas, referred to as the oesago (remote history archives, 外史庫). To protect the books from humidity, royal court officials were regularly sent to the history archives to take the documents out for wind-bathing, a practice known as poswae (曝曬)'.
The dispatched historians regarded the assignment as an extreme honor and recorded the experience with poems and stone engravings, in addition to keeping official records. Notable figures like BeonamChae Je-gong and Chusa Kim Jeong-hui were also dispatched to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as young scholars of the royal court to perform the poswae ritual and later traveled the Gwandong region together. Chusa Kim Jeong-hui recorded his name in the guestbook titled Simheonrok (尋軒錄) at Gangneung Ojukheon after his poswae duty at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This guestbook will be on public display for the first time at this exhibition.
* Oesago(外史庫): Archive for important state documents and records. The one in the capital was called naesago (內史庫)' and those in other regions were called oesago (外史庫).
* Simheonrok (尋軒錄): A guestbook signed by notable figures who visited Ojukheon in Gangneung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spanning 270 years. The names of 1,149 people who visited Ojukheon, are recorded, with the first recorded visitor being Kwon Sang-ha in 1662, and the last person on record being Lee Hang-gu in 1932.
■ Odaesan Mountain, Home to the History Archives -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Video
The new Digital Gallery greets the visitors with two 15-minute video works that reinterpret how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were made into a sillok and were archived for centuries at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The video works present unique visual experiences to the visitors by dividing the large screen into smaller sections and creating 3D images by changing the screen combinations.
■ Children's Museum with Animals from the Sillok
The Children's Museum welcomes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ith interesting programs based on the sillok and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featuring different animals that appear in the sillok. Under the title The King's Treasure Vault in the Forest,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friendly characters of cats, parrots, tigers, foxes, monkeys, camels, and elephants greet the young visitors and help them learn and experience the making and archiving processes of the sillok and uigwe.
Sagak (History Hall), the building where the sillok was archived, has also been recreated inside the experiential space for children, using digital game format contents that engage the young visitors with fun and easy-to-understand explanations on how the sillok was made and archived.
The Children's Museum plans to collaborate with loca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to operate various educational and experiential programs, to offer more cultural activitiesfor the local community, and to serve as a venue for rich educational experiences for future generations.
■ Permanent Exhibition on the Moving Story of How the Sillok and Uigwe (Annals and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Were Compiled and Returned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only place where visitors can view the original sillok at the permanent exhibitions, composed of three parts.
▲ Part 1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Hidden in the Deep Mountains
▲ Part 2 Joseon WangjoSillok, Guarding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 Part 3 Joseon WangjoUigwe, Illustrating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The exhibition traces the journey of the Joseon wangjosillok and uigwe from their compilation and archiving in various locations*, through their illegal removal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13, and to their safe return to the original home at Odaesan Mountain after 110 years. This journey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recovering national heritage that had been taken abroad.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 edition of the sillok has corrections marked in red ink, which are not found in other editions. The uigwe at the Odaesan National History Archivesis also even more vibrantly colored as it was made specifically for the king. The visitors will be captivated by the excellence of our documentary heritage, based on the meticulous record-keeping practice of the royal court.
* During the Joseon Dynasty, important state and royal records were made in multiple copies and archived in various locations for safekeeping.
■ Golden Holiday Week in May: Rich Cultural Events Attract Visitors
On April 30, the day before the reopening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 opening ceremony will be held with the participation of Choi Eung-chon, Administrator of the Korea Heritage Service, as well as local and other dignitaries. On May 1, the opening day, the first 100 visitors to the museum will receive a special gift. To attract more visitors during the holiday week (May 1-5), the museum will host an "Outdoor Libary" (May 1–5), a "Talk Show with Authors", featuring Mujeok Pink, the creator of the webtoonThe Chat of Joseon Dynasty, and Park Si-baek, the author of Park Si-baek's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a "Traditional Magic Performance" (May 5). There will also be a "Photo Challenge" where visitors who upload their pictures taken at the museum on various SNS channels will receive a special gift (First come first served basis).
Admission to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is free.
The museum is closed every Monday. During the winter season (November to February), it operates from 09:30 to 17:00, and during the summer season (March to October), from 09:30 to 17:30.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the Korea Heritage Service website (https://khs.go.kr),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bsite (https://sillok.gogung.go.kr/),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under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trives to become a service-oriented museum with specialized expertise, a world-class museum with international recognition, and a welcoming museum open to all through various exhibitions, educational programs, and hands-on experiences utilizing the Joseon wangjosillok and uigwe (Annals and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national heritage and UNESCO Memory of the World. The museum also seeks to establish itself as a central institution for research, investigation, exhibitions, and educ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Joseon wangjosillok and uigwe, promoting mutual prosperity with the local community.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전경 >
“이 자료는 국가유산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군산비축기지 신축창고 운영 본격화…국가 공급망 역량 확충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산불피해 시름 날리는 '착한 여행'…"미안해 말고 관광 오세요!"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유출 안돼"
-
내달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
5월, 바다로 떠날 준비되셨나요?
-
6월부터 '주택 임대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실거래가 투명화 기대
-
퇴직자 인생 2막을 위한 희망정책 "중장년 경력 지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