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 지난해 1,187명 지원, 피해 경로 채팅 앱이 가장 많아
- 2024년 「성착취 피해아동·청소년 지원센터」 연차보고서 발간
- 피해아동·청소년 1,187명 및 보호자 1,556명에게 구조·상담·의료·법률·학업·자활 등 3만5천여 건 지원
□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5월 1일(목), 「성착취 피해아동·청소년 지원센터」 2024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한다.
ㅇ「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청소년성보호법') 개정('20.5.19.)에 따라 2021년부터 전국 17개 '성착취 피해아동·청소년 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에서 성착취로 유입된 피해 아동·청소년에게 온라인 상담을 비롯한 상담과 긴급 구조, 의료·법률 지원, 학업·직업훈련 지원, 사후관리 등의 통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지원 현황)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지원센터에서 아동·청소년 1,187명과 보호자 1,556명에게 총 3만 5천여 건(전년 대비 33.9% 증가)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아동·청소년 피해자 수는 2023년도 952명보다 235명 증가했다.
* ('21년) 12,520건→ ('22년) 26,450건→ ('23년) 26,498건→ ('24년) 35,485건
ㅇ (지원 인원) 2024년에는 2023년 952명보다 24.7% 증가한 1,187명의 피해아동·청소년이 지원센터에서 총 26,065건의 통합서비스* 지원을 받았으며, 1,556명의 보호자가 2차 피해 예방 등을 위하여 9,420건의 상담 서비스를 지원받았다.
* 통합서비스 : 상담, 심리, 의료, 법률, 학업, 자립, 연계, 사후지원 등
□ (피해자 현황) 피해자의 성별은 여성이 1,169명(98.5%), 남성이 18명(1.5%)으로 집계됐다. 연령은 14~16세가 582명(49.0%)으로 가장 많았고, 17~19세가 405명(34.1%), 10~13세가 73명(6.1%) 순으로 나타났다.
ㅇ (피해 경로) 피해를 입은 경로는 채팅 앱이 501명(42.2%)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도 459명(38.7%)으로 주로 온라인을 통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알선 고리는 친구와 지인인 경우가 276명(23.3%)으로 가장 높았다.
ㅇ (피해 유형) 피해 유형(복수응답)을 살펴보면 조건만남이 908명(43.6%)으로 가장 높았으며, 디지털 성범죄 246건(11.8%), 폭행·갈취 216건(10.4%), 길들이기 161건(7.8%) 순으로 나타났다.
□ (센터 유입 경로) 지난 한 해 369명(31.0%)의 아동·청소년이 수사기관의 연계를 통해 지원센터의 상담을 받았으며, 192명(16.2%)은 청소년 지원기관, 전문 상담기관 등의 유관기관, 130명(11.0%)은 성매매 방지기관 등을 통해 지원센터로 유입되었다.
ㅇ (유형별 서비스 지원) 지원센터는 지난해 총 1,187명의 피해아동·청소년에게 총 26,065건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했는데, 상담이 17,245건(66.1%)으로 가장 많았고, 법률지원 3,865건(14.8%), 심리지원 1,817건(7.0%), 의료지원 1,614건(6.2%) 순으로 나타났다.
* 통합서비스 : 상담, 심리, 의료, 법률, 학업, 자립, 연계, 사후지원 등
ㅇ (보호자 상담)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은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주변의 관심과 보호가 중요한 만큼, 부모 등 법정대리인, 보호자에 대한 상담 및 교육 서비스도 1,556명을 대상으로 총 9,420건 제공했다.
□ 지원센터는 성착취 게시물 신고, 아동·청소년의 성착취 피해 발견 등 온라인 성매매 감시활동 4,644건*을 실시했으며, 유흥업소 밀집 지역 등에 성착취 피해 예방 캠페인을 위한 현장방문도 910회 실시했다.
*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의심되는 4,301건 중 3,770건(87.7%)을 경찰서, 방심위 등에 신고
ㅇ 또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팅 앱, 오픈채팅 등 매체에서의 활동으로 인해 성착취 피해 위험이 있는 아동·청소년에게 8,280건의 온라인 상담 및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부처합동] 대한민국을 먹여살릴 기술,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로 창출한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권장…피해 발생 땐 사업자가 100% 보상
-
한미 첫 2+2 통상협의…우리 정부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요청
-
산불피해 시름 날리는 '착한 여행'…"미안해 말고 관광 오세요!"
-
보이스피싱 안전장치 3총사로 3중 안심!
-
반려동물과 함께 음식점 출입 가능해진다…식품위생법 규칙 개정
-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유출 안돼"
-
내달부터 29개 대학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
5월, 바다로 떠날 준비되셨나요?
-
6월부터 '주택 임대계약 신고제' 본격 시행…실거래가 투명화 기대
-
퇴직자 인생 2막을 위한 희망정책 "중장년 경력 지원제"
최신 뉴스
- [설명] GTX-C노선 은마아파트 지하 통과구간의 복선 터널 전환에 대해서는 확정된 바 없습니다.
- '해양오염 방제 전문가 퇴직공무원 위촉'...해양환경 보호의 비결 현장에서 챙긴다
-
아이가 태어나는 도시, 우리가 꿈꾸는 미래
- 신임 총영사 임용장 전수식 개최
-
걷기의 의미를 생각해 본 하루 '2025 제2회 메모리얼 봄꽃 하이킹'
-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창출…딥테크 연구소기업 500개 육성
- (보도참고)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처리자 대상 강화된 개인정보 보호조치 당부
-
실업급여 부정수급 '자진신고'하면 추가징수 면제
- 농촌진흥청, 국산 열풍건초 보급 확대기술 고도화 속도 내
- 방위사업 보안! 소통을 통해 발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