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싱크탱크가 제주에 모여 경제·통상 협력의 밑그림을 그린다

글자크기 설정
목록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싱크탱크가 제주에 모여

경제·통상 협력의 밑그림을 그린다

- 1차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컨퍼런스개최

-아세안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운영요령공식 채택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APEC 통상장관회의 계기 514() 제주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1차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이하 AKTD*) 컨퍼런스에 참석하였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KIET) 주관으로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의 싱크탱크 대표들을 비롯해 아세안사무국,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아시아재단, 연세대, -동남아 정책협력센터 등 산··연 관계자 100여 명이 함께하였다.

 

* AKTD : ASEAN-ROK Think-tank Dialogue on Economic and Trade Policy

** 아세안 10개국 :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AKTD는 지난해 10(라오스 비엔티엔) 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계기 한국과 아세안의 외교 관계가 최고 단계인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후 새롭게 추진하는 첫 번째 경제·통상 협력 프로젝트로서, 지속가능한 경제협력 사업을 발굴하고 아세안 회원국의 정책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한-아세안 싱크탱크 간 정책 연구 플랫폼이다. 이번 1AKTD 컨퍼런스는 한국과 아세안 10개국 싱크탱크들이 한국에 모여 앞으로 한-아세안 경제·통상정책 공조를 위한 체계적인 정책 대화 채널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정 본부장은 환영사를 통해"아세안은 우리나라의 3대 교역 파트너이자 2위 직접투자 지역으로, 경제통상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인 경제협력이 강화되어 왔다"고 밝히며, "다만 그간의 협력이 한-아세안 경제협력 전략이라는 큰 틀 안에서 체계적으로 추진되기보다는, 한국이 잘할 수 있거나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이뤄져온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성장한 한국과 아세안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력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AKTD가 시그니쳐 정책협력 프로젝트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1부 포럼 세션에서는 권남훈 KIET 원장의 "국가발전을 위한 싱크탱크의 역할"이라는 주제발표에 이어 ERIA, 말레이시아 국제문제연구소(IKMAS),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3개 대표 기관들이 아세안의 경제·통상 발전 전략과 관련된 발표를 진행하였다. 발표 이후에는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대표를 좌장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패널토의가 이뤄졌다. 특히, 말레이시아의 2025 아세안 의장국으로서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IKMAS 수피안 주소(Sufian Jusoh) 원장은 "말레이시아가 의장국을 맡은 올해 AKTD가 출범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면서, "IKMAS도 의장국 싱크탱크로서 올해 추진되는 AKTD 공동연구와 관련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참고) 발표 세션 주제 및 발표자 >


구 분

발표 주제

발표자

주제 발표

국가발전을 위한 싱크탱크의 역할

권남훈 KIET 원장

세부 전문가

발표

아세안의 디지털 경제

Lurong Chen ERIA 박사

말레이시아의 2025 아세안 의장국으로서의 역할

Sufian Jusoh IKMAS 원장

아세안의 수출과 경제발전 : -아세안 FTA업그레이드 관점에서

김남석 KIEP 팀장


 

이어진 2부 라운드테이블 세션에서는 AKTD의 기본 운영 방향과 연차별 세부 실행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협의가 이뤄졌으며, 특히 한국 KIET와 아세안 9개국 싱크탱크의 대표들이 서명한 AKTD 운영요령(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AKTD)이 공식 채택되었다. 동 운영요령은 AKTD가 아세안의 경제발전 정책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잡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브루나이 제외 아세안 9개국 서명 완료(브루나이 6월 중 서명 예정)

 

산업부는 올해 9월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22차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계기 AKTD 공동연구 성과를 보고하는 한편, 아세안의장국 및 사무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후속 컨퍼런스 개최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건설업 고위험 현장에 대한 재해 예방 집중점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