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보도자료] 금융-산업간 협업을 통해 혁신성·성장성 있는 중소·중견기업 509개 선정

글자크기 설정
목록

금융-산업간 협업을 통해

혁신성·성장성 있는 중소·중견기업 509개 선정

- 제1차 「혁신 프리미어 1000」 기업선정 결과 -

 

금융위원회 12개 산업 관련 부처간 협업을 통해, 우리 경제의 혁신성장을 이끌어갈 산업별 핵심 중소·중견기업인 '혁신 프리미어' 509개 선정

 

'혁신 프리미어'로 선정된 기업에게는 '26년말까지 정책금융기관 맞춤형 금융·비금융지원을 집중지원하고, 각 부처별 지원사업 특전도 부여



  금융위원회(위원장 김병환) 등 13개 부처는 2025년도 제1차「혁신 프리미어 1000」으로 총 509개의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했다.「혁신 프리미어 1000」 금융·산업간 협업을 통해 산업별 우수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종래 운영해온 유사 지원제도(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우수기업 우대프로세스)통합하여 우수기업에 대해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을 제공하고자「제9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24.12.29.)」에서 도입되었다.


* 산업부, 과기부, 중기부, 환경부, 농식품부, 해수부, 국토부, 문체부, 복지부, 특허청,
방사청, 관세청, 금융위


  「혁신 프리미어 1000」 각 부처가 정책 방향성 등을 감안하여 마련한 기준에 따라 혁신성·성장성 있는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하면, 정책금융기관 우수기업별 맞춤형 금융·비금융 지원을 집중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각 부처에서는 소관 선정기업을 대상으로 '혁신 프리미어 확인증'을 발급하는 한편, 부처별 지원사업 특전도 제공한다. (참고1)


* (금융) 대출금리 감면, 대출한도 상향 등 우대 + (비금융) 컨설팅, IR 등 지원

** (특전 예시) R&D 지원사업 가점, 홍보 지원, 컨설팅, IR 지원 등
(단, 부처별 특전 사항은 상이하며, 해당 부처가 선정한 기업에 한해 제공)


 제1차 「혁신 프리미어 1000」 509개 선정


(주요사례: 참고2)


 '25.2월 ~ 3월 각 부처는 '혁신 프리미어' 선정 공고를 실시하고, 산업별 특성 및 부처의 정책 방향성을 감안하여 지원 기업들의 혁신성·성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금융위 등 13개 부처제1차 '혁신 프리미어'총 542개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하였다. 이 중 중복 선정된 30개의 기업을 감안하면 최종적으로 509개의 기업이 '혁신 프리미어'로 선정되어 '26년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산업통상

자원부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중소벤처

기업부

환경부

농림축산

식품부

해양수산부

128

110

100

32

25

25

국토

교통부

문화체육

관광부

보건복지부

특허청

방사청

관세청

금융위원회

24

23

7

25

19

13

11


  제1차 '혁신 프리미어' 509개 기업 중 505개 기업이 혁신성장 산업분야 해당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혁신성장 산업분야별로는 제조·모빌리티(전기차, 첨단 방산, 로봇 등), 인공지능(AI분석, 빅데이터 등), 환경·스마트 농축수산(친환경 연료, 대체식품 등) 등 다양한 부문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한편,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488개, 중견기업은 21개가 선정되었다.


* 국가산업의 혁신성장 분야를 체계적으로 선정하여 일관되고 효율적인 정책금융 지원을 위해 마련된 기준으로, 산업·기술 트렌드, 정책변화, 시장 수요 등을 반영
→ 6차('25년 개편) 혁신성장공동기준은 9대 테마, 31개 분야, 240개 품목으로 구성


< 제6차 혁신성장 공동기준 9개 테마별 선정기업(중복 포함) >


➊제조·모빌리티

➋인공지능

➌환경·

스마트 농축수산

➍ICT·디지털

➎융합지식서비스

116

80

76

54

53

➏바이오헬스

➐에너지

➑소재·부품

➒반도체·

디스플레이

➓기타

49

41

39

30

4


  아울러, 선발된 509개 기업 중 96% 이상(492개)'5대 중점 자금공급분야'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중점 자금공급분야'각 부처의 산업정책을 고려하여 '정책금융지원협의회'에서 중점적인 정책금융 공급이 필요한 분야를 선정한 것으로, 정책금융과 산업정책간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우수기업에 대한 내실있는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5대 중점 자금공급분야별 선정 기업(중복 포함) >


❶미래유망산업 지원

❷첨단전략산업 육성

❸유니콘 벤처·중소

·중견기업 육성

239

178

59

❹기존산업 사업재편

산업구조 고도화

❺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경영애로 해소

➏기타

38

10

18


 지원 절차 및 향후 계획


 

 

 

 

 

 

 

 

 

 

 

< 각 산업 관련 부처 >

 

 

 

     < 금융 부문 >

 

 

 

 

 

 

 

 

 

 

부처별 공고 및

산업별 우수기업 선발

기업 신청

「정책금융 종합지원반」에

지원수요 접수

 

산은,기은,수은, 신보,기보, 성장금융

 

 

 

➊ 담당 기관(영업점) 배정

 

 

 

 

 

(여신심사 등) ↓ (통과 시)

 

 

➌ 확인증 발급

 

+

 

부처별 특전제공

(예: R&D 지원, 홍보 지원, 컨설팅)

 

➋ 금융지원

 

+

 

  비금융지원

 

금리,여신한도,

보증비율 등 우대

 

 

 

 

 

 

 

 

 

 

 

 

 

 

컨설팅, IR,

 

수출지원 등

 

 

 

 

 

 

 

 

 

 

 

 

 

 

 

 

 

 

 

 

 

 

 

 

 

 

 

 

 

 

 

➍ 사후관리 (금융위, 종합지원반)

 

 

 

 


(신청 및 담당 기관 배정) '혁신 프리미어'로 선정된 기업은 온·오프라인 통해 금융·비금융 지원신청서「정책금융 종합지원반접수할 수 있으며, 종합지원반은 접수된 지원서 및 기존 거래내역 등을 검토하여 담당 정책금융기관(및 영업점)을 배정하고 맞춤형 밀착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성장금융


** 온라인: "정책금융 종합지원반 홈페이지(www.newgi.org)"에서 접수 가능
오프라인: 기업이 거래를 희망하는 정책금융기관의 영업점을 통해 접수 문의


(금융·비금융 지원) 정책금융기관들은 '혁신 프리미어' 전용상품 신설 등을 통해 정책금융기관의 상품 중 최고 수준의 우대(금리, 대출한도, 보증비율 등)를 제공한다. 아울러 기업의 성장 단계, 산업 특성, 투자 수요 등을 감안하여 컨설팅·IR·수출지원 등 폭넓은 비금융지원도 실시할 예정이다.


➌ (확인증 발급 및 부처별 특전) 각 부처에서는 '혁신 프리미어 확인증' 발급을 통해 선정 기업의 홍보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중기부·과기부·환경부·해수부·국토부·문체부·복지부·관세청·금융위는 소관 '혁신 프리미어' 기업을 대상으로 부처별 지원사업 특전도 제공할 예정이다. 각 부처의 '혁신 프리미어 확인증' 발급 일정 구체적인 특전 내용 등에 대해서는 '혁신 프리미어'를 선정한 각 부처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 (특전 예시) R&D 지원사업 가점, 홍보 지원, 컨설팅, IR 지원 등(단, 부처별로 상이)


➍ (사후관리)「정책금융종합지원반」과 금융위'혁신 프리미어' 선정지원내역 등을 각 부처에 주기적으로 공유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정책금융지원협의회' 등을 통해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예를 들어, 부처별 기업선정 결과 및 운영성과 등을 향후 부처별 '혁신 프리미어' 선정 한도에 반영하여, 산업현장의 지원수요가 많거나 눈에 띄는 지원성과가 있는 부처에 대해서는 제2차 '혁신 프리미어' 선정시 더 많은 선정한도를 배정할 계획이다.


(향후 계획) 제2차 '혁신 프리미어' 접수 선정은 '26년 상반기에 진행 예정으로, '26년부터는 매년 약 1,000여개의 '혁신 프리미어' 기업이 집중적인 지원 혜택을 받는 효과가 나타날 예정이다.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

 

 

 

 

 

 

 

 

 

 

 

509개 (1회차)

 










500개 (2회차)









500개 (3회차)

 

 

 

 

 

 

 

 

500개 (4회차)

 

 

 

 

 

 

 

 

 

 

 

 

 

1,000개

 

1,000개

 

1,000개

 


  제1차 '혁신 프리미어'는 선정 익년도 말인 '26년 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유효기간 이후에도 혜택을 유지하기 희망하는 기업은 유효기간 만료전까지 각 부처를 통해 '혁신 프리미어'로 재선정되어야 한다.


  정부와 정책금융기관들은 매년 500여개의 기업을 새롭게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 경제의 혁신 성장을 이끌어갈 산업별 우수기업에 대한 내실있는 관리와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참고1> '혁신 프리미어' 지원혜택(안) 요약

<참고2> 부처별 '혁신 프리미어' 선정 사례


[별첨1]부처별 '혁신 프리미어' 선정기업 목록
[별첨2]혁신 프리미어 관련 주요 Q&A

“이 자료는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보도참고] MG손해보험에 대한 영업 일부정지 및 MG손해보험 향후 처리방안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