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최근 5년간 온열질환자 지속 증가...2025 폭염 구급대책 본격 가동

2025.05.25 소방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최근 5년간 여름철 온열질환 출동 연속 증가세


소방청, 2025 폭염 대응 구급대책 본격 가동



최근 5년간 여름철 온열질환 출동건수 연평균 1,669지난해 최고치

- 2024년 이송인원 2,698명으로 전년대비 25.3%...고령층 환자 비중 커

- 하루 중 일조량 많은 낮 시간대 발생 인원 집중월별로는 8월에 가장 많아


소방청(청장 허석곤)은 예년보다 빠르고길어진 무더위에 '2025년 폭염 대응 119구급활동 대책'을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작년보다 5 빠른 이달 15일부터 시작된 올해 폭염 구급대책은 9월 30일까지 지속한다.

최근 5년간 소방청의 폭염대응 구급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해마다 온열질환자 발생건수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온열질환으로 인한 연평균 구급 출동건수는 1,669, 의료기관으로 이송한 인원은 연평균 1,475로 해마다 천명 이상의 온열질환자를 응급처치 및 이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

 

구분

'20

'21

'22

'23

'24

 

출동건수

686

906

1,153

2,436

3,164

전년대비 증감률(%)

29.4

32.1

27.3

111.3

29.9

이송인원

646

819

1,057

2,153

2,698

전년대비 증감률(%)

28.1

26.8

29.1

103.7

25.3

특히지난해 2024년 폭염 구급대 운영기간 동안에는 전국적으로 총 3,164건의 구급 출동이 이뤄졌고이 중 2,698명을 의료기관으로 이송했다이는 최근 5년간 폭염 대응 실적 중 가장 높은 수치.

환자 연령별 세부현황을 살펴보면전체의 절반을 넘는 52.3% 가 60대 이상의 고령층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고령층 환자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는 경북(64.6%), 경남(61.3%), 서울(57.0%), 전북(55.7%), 충남(55.2%)이었다.

<2024년 폭염대응 기간 구급활동 연령대별 현황>

구 분

합계

3

이하

4~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세 이상

합계

3164

2

11

107

216

280

369

523

575

520

561

비율(%)

100.0

0.1

0.3

3.4

6.8

8.8

11.7

16.5

18.2

16.4

17.7

<지역별 (현장 응급처치·이송)인원 대비 60대 이상 비율(%)>

월별로는 5월 41, 6월 278, 7월 6858월 1,829, 9월 331건으로전체 출동 3,164건의 58%인 1,829건이 8월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2~15(32.6%)와 15~18(31.0%)에 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하루 일조량이 많은 낮 시간대에 야외 활동 시 각별한 주의 요구된다.

<'24년 월별 구급활동 현황>

<'24년 시간대별 구급활동 현황>

이에 소방청은 올여름 폭염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국 모든 119구급차(1,660)에 얼음팩(조끼), 소금물스프레이전해질용액 등 폭염대응 구급장비를 비치하고폭염에 적극 대응한다.

구급차 출동(부재시 응급의료 공백방지를 위해 지정된 전국 1,429대의 펌뷸런스도 폭염대응 구급장비를 갖추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신속하게 초기 응급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출동태세를 강화했다.

유병욱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폭염 피해가 더 이상 특정시기에 국한되지 않고장기화 되고 있다", "햇볕이 강한 낮 시간대에는 야외활동을 피하고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등 폭염 대비 국민행동요령을 꼭 실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담당 부서

소방청

책임자

과 장

유병욱

(044-205-7630)

 

119구급과

담당자

소방장

박고운

(044-205-7633)



“이 자료는 소방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인공지능(AI) 시대 데이터 혁신의 미래를 찾기 위한 '가명정보 활용 경진대회' 응모작 공모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