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질병관리청장,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 방문 및 제78차 세계보건총회 개회 등 글로벌 보건 협력 기반 확대(5.26.월)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질병관리청장,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 방문 및 제78차 세계보건총회 개회 등 글로벌 보건 협력 기반 확대


-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와 양해각서 체결('21.12월) 이후 첫 기관장 방문, 양 기관간 공동행동계획 수립 등 논의

- 제78차 세계보건총회 참석, 지난해 의장단으로서 총회 개회 선언 및 자격심사 위원회 선정, 모잠비크 국립보건원 및 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와 양해각서 체결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5월 16일(금)부터 22일(목)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 소재한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CDC)를 방문하고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78차 세계보건기구 총회에 참석하였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지난 2021년 국경을 초월하는 감염병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ECDC와 △위기상황 대비 및 대응, △감염병 감시 및 통제, △위험평가, △실험실 역량강화, △항생제 내성 및 의료 관련 감염, △예방접종 등의 협력 분야를 포함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5.16일 진행된 이번 방문은 양해각서 이후에도 지속 유했던 코로나19로 인해 진행되지 못했던 양 기관간 고위급 정책 대화 및 기술 협력을 재개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아울러, 금번 방문에는 이형종 주스웨덴왕국 대한민국 대사도 동행하여, 보건 분야를 넘어 EU 및 스웨덴과 한국의 우호 관계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날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파밀라 랜디-와그너 유럽CDC장과 양자 면담을 갖고, ECDC에서 진행하는 일일 감염병 감시 및 상황판단 회의 참석하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ECDC의 주요 우선순위 프로젝트, 공중보건위기상황 대비·대응 계획, 감염병 감시 및 예방접종 사업 등에 대해 소개받고, 한국의 정책도 소개하며 상호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양 기관은 전 세계 감염병 감시 정보 공유, 백신 효과 평가 등 상호간 관심 주제를 포함하여 공동행동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발굴·이행해 나가기로 하였다.


  아울러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제백신연구소 유럽지역사무소를 방문하여 안 와텔(Anh Wartel) 사무소장과 만나, 활동 상황을 보고받고 질병관리청 및 한국에 소재한 국제백신연구소 본부와의 협력사항을 논의하였다. 


[세계보건총회 참석]

  한편,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5월 19일(월)부터 5월 22일(목)까지 4일간 제78차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총회에 참석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총회 첫날인 5월 19일 세계보건총회의 전체회의(Planery Meeting)에 참석하여, 총회의 공식적인 개회를 알리고 자격심사위원회*의 임명을 선언하였다. '24년 제77차 세계보건총회의 부의장으로 활약하고, '25년 제78차 세계보건총회의 의장단 선출 전까지 부의장직을 유지함에 따라, 동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제78차 세계보건총회 의장으로 티오도로 하르보사(Teodoro Harbosa) 필리핀 보건부 장관이 선출되었음을 선언한 뒤 새로운 세계보건총회 의장에게 의장석을 전달하였다. 


     * 자격심사위원회(Committee of Credentials) : 총회에 참석하는 회원국 대표단의 자격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위원회로, 지역 대표성 및 정치적 중립성을 고려해 9개 국가로 구성



< 제78차 세계보건총회 개요 >

 ‣ (일시·장소) '25.5.19.(월)-5.27.(화), 스위스 제네바 국제연합(UN) 본부

 ‣ (참석자) 전체 194개 회원국,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등 참석



   아울러, 21일(수)에는 세계보건기구 보건위기프로그램 독립감독자문 위원회(Indipendant Oversight Advisory Committee) 위원 및 국가 대표로서 보건 위기 대비·대응 의제에 참석하여, 한국이 국제보건규칙의 이행 준비 및 공중보건 위기상황 대비·대응 역량 점검을 위해 8월 말에 WHO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을 실시할 계획임을 공유하였다. 

[부대행사 공동주관 및 참석]

  또,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가 주관하는 '글로벌 보건을 위한 새로운 길: 국가 리더십과 글로벌 영향력(Charting a New Course for Global Health: Country Leadership, Global Impact)'(5.18.(일))를 주제로 하는 라운드테이블에 한국 정부 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의 백신 개발 및 글로벌 백신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 등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아울러, '24년에 이어 '25년에도 스웨덴 및 영국이 주관하는 '항생제내성 연합체(Alliance of Champions on AMR) 회의'(5.19.(월))에 참석하여, 제78차 UN총회 고위급 회의 항생제내성 선언문의 성과를 검토하는 등 항생제내성관리를 위한 전 세계적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또한, '그룹 A 연쇄상구균 백신을 위한 글로벌 협력(Bridging the Gap-Global Collaboration for a Group A Streptococcus Vaccine)'을 주제로 국제백신연구소가 개최하고 한국이 공동 주관한 부대행사(5.20.(화))에서  "백신의 공정한 접근성과 과학 기반의 정책 수립을 통해 세계보건에 기여하고자 하며, A군 연쇄구균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에도 적극 동참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 양해 각서 체결 ]

  지영미 청장은 어씬 이쎄(Ussene Isse) 보건부 장관 및 에도아르도 사모 구도(Eduardo Samo Gudo) 국립보건원장(Instituto Nacional De Saúde)과 만나, 한국 질병청과 모잠비크 국립보건원의 양해각서를 체결(5.21.(수))하고, 보건 안보 중심 감염병 및 만성질환 기술 협력 체계 구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양해각서는 주요 협력분야로 △빅데이터 활용, △지역사회 건강·영양조사 사업, △위험 분석, △위기 소통, △실험실 진단, △바이오뱅크, △공중보건 교류 및 전문가 교류 등을 명시하고 있어,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을 위한 양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사무처(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WPRO)와의 양해각서를 체결(5.22.(목))하였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사이아 마우 피우칼라(Saia Ma'u Piukala) 지역사무처장(Regional Director), 수잔 메카르도(Susan Mercado) 프로그램관리국장(Director for Programme Management) 등이 참석하여, 지난 06년 이후 지속해 온 WHO WPRO에 대한 재정지원과 함께 감염병 통제·예방, 결핵 관리, 만성질환 조사·감시 등의 분야에서 양 기관의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올해 5월 질병관리청이 "만성질환 조사감시 및 빅데이터 활용 협력센터"로 지정됨에 따라 6월 중 WPRO에서 참석하는 협력센터 개소식을 개최하고, 향후 서태평양 지역의 만성질환 관리 강화를 위해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 양자 면담 ]

  영국, 캐나다 및 싱가포르 등 주요 협력국과도 양자 면담도 진행되었다. 지영미 청장은 샐리 데이비스(Dame Sally Davies) 영국 항생제내성 특임대사와 양자 면담(5.19.(월))을 통해 전 세계의 항생제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 전략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영국보건안보청 수석의료고문(Chief Medical Advisor) 수잔 홉킨스(Prof. Susan Hopkins)와 양자 면담(5.19.(월))을 통해 그간 양 기관이 고위급 회의·온라인 실무대화 등을 통해 진행해 온 협력 관계를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 외에도, 리처드 해쳇(Richard Hatchett) 감염병혁신연합(CEPI) 대표(CEO)와 만나 질병청-CEPI간 100일 미션 도상 훈련 등 협력 과제 추진사항을 점검하였다. 

또한, 테레사 탬(Theresa Tam) 캐나다 공중보건청 수석의료관(Chief Medical Officer)을 만나 국경지역의 감염병 감시 전략 등을 공유하였고, 버논 리 (Prof. Vernon Lee) 싱가포르 감염병청장과 '24.5월 양해각서 체결 이후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정기적 교류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WHO의 국장(Director) 및 사무차장보(Assistant Director-General)급의 여러 인사들*을 만나 질병관리청과 WHO의 협력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특히, 최근 미국의 WHO 탈퇴 및 지원 철회에 따라, 예방접종 지원, 생물안전·보안 등 많은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공유하고, 질병관리청의 인력 파견 및 재정지원 등을 요청하였다. 또한 WHO에 근무하는 한국인 직원들과 만나 진행되고 있는 구조개편 등과 관련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격려하였다. 

   * WHO 항생제내성(AMR) 사무차장보(Assistant Director-General) 유키코 나가타니 (Yukiko Nakatani), 예방접종국(IVB) 국장 케이트 오브라이언(Kate O'brien), 폴리오 국장 자말 아메드(Jamal Ahmed), 소외열대질환국(NTD) 국장 이브라힘 소세(Ibrahim Soce), 베를린 허브 팬데믹·감염병 정보 시스템 국장 올리버 모건(Oliver Morgan), 유행병 및 팬데믹 대비 국장 마리아 밴 커코브(Maria Van Kerkhove) 등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다자협력은 전 세계 사람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한국이 국제 보건영역에서 더욱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시기"라면서, "올해 제 78차 세계보건총회 참석을 통해 국제기구 및 다른 국가들과 협력을 굳건히 하고, 한국의 보건 리더십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붙임> 1. 지영미 질병청장, 유럽CDC 및「제78차 세계보건총회」참석 사진

2.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공동 주관 부대행사 개요

3. 한국 질병관리청-모잠비크국립보건원 양해각서 개요

4. 질병관리청-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 양해각서 개요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산림일자리 원하는 청년들, 메타버스로 모이세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