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농식품부, 호우 피해로 인한 수급불안 최소화 추진

글자크기 설정
목록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주(7.16~19) 내린 많은 비로 농경지 침수 등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국민들이 농축산물의 수급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주요 품목별 상황을 설명하였다.

농작물 침수 28,491ha, 가축 폐사(1,429천마리) 등 발생(7.20 현재)

 

- (농작물) 25,065ha(전체 재배면적의 3.6%), 논콩 2,050(5.8%), 멜론 140(7.8%), 수박 133(1.2%), 딸기 110(1.9%), 쪽파 96(1.7%), 대파 83(0.06%)

 

- (축산물) 1,429천마리(전체 사육규모의 0.8%), 오리 139천마리(1.9%), 돼지 855마리,
젖소 149마리, 한우 529마리, 꿀벌 1,101군 등

 

  가장 피해 규모가 큰 벼는 퇴수가 완료되면 생육에는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밭작물 중심으로 주요 품목별 수급상황을 전망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가 많은 오이, 애호박, 청양고추, 토마토 과채류는 8월 주 출하지인 강원 지역에는 피해가 없어 이번 집중호우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 전년대비 출하면적 증감 전망(KREI),

구분

오이(백다다기)

애호박

청양고추

토마토

7

1%

1%

1%

3%

8

1%

1%

3.3%

1%

  * 8월 과채류 주 출하지 : (청양고추) 강원 90.0%, (토마토) 강원·전북 76.3,
(애호박) 강원·경기 86.0, (오이) 강원·경북 69.1

모종을 기르는 단계에서 피해를 입은 딸기9월 정식에 대비해 피해가 없는 지역에서 모종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수박 멜론의 경우는 부여(수박), 담양·곡성(멜론) 등 침수 피해와 제철 과일 수요 등이 겹쳐 당분간 전·평년보다 높은 가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8월 수박 출하비중 : 강원·경기 35%, 충청 33%, 호남 12%, 영남 19%

 

  농식품부는 지자체, 농협, 자조금단체 등을 통해 침수 피해 시설하우스 등에 신속한 퇴수 조치, 침수 부위 세척 방제 약제 살포 등을 지시하였고, 가격이 상승한 품목은 할인지원을 통해 소비자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충남 예산·아산 지역 등이 주산지인 쪽파는 침수지역 퇴수가 이루어지면 수확이 가능하지만 수확 작업 여건이 나빠져 당분간 공급량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김장용 쪽파는 8월에 파종하므로 김장철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돤다. 현재 침수 피해 지역은 필요시 지자체·농협 등과 재파종 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 쪽파는 파종 후 30~40일 후 수확 가능

 

  가축 중 피해 규모가 가장 큰 가금류는 복날 등 계절적인 수요 증가에 대비해 이미 6월에 병아리 입식량을 3.6% 늘리고, 육용종계의 생산 주령을 연장(64주령제한 없음)한 바 있어 폭우·폭염으로 인한 가금류 피해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가축전염병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농장 주변 오염 물질 제거, 사육시설 세척 건조, 소독 등 사양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 8월 육계 도축전망(KREI) : '2486,609만수와 비슷한 6,630만수~6,763만수

 

한편, 강원지역(평창, 강릉, 태백 등)이 주산지인 여름배추이번 비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강우가 장기화될 경우 모종·종자 유실 및 병해충 확산 등의 우려가 있다고 보고 예비묘 300만주 병해충 방제 약제·영양제 농가에 공급하여 피해를 예방할 계획이다.

 

  또 일부 과수원 침수 피해가 있는 사과, , 포도, 복숭아 등 주요 과일류는 퇴수가 완료되어 생육에 큰 지장이 없고 전반적으로 피해 규모도 크지 않아 수급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탄저병 등 병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약제 지원현장기술지원 등 생육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아직 전체 피해 규모가 집계되지 않았지만, 품목별 피해 양상 등을 파악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이 자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다시 태어나는 기획재정부가 되자"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