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궁궐 장식한 마지막 궁중회화, 6점의 창덕궁 벽화 최초 일괄 공개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창덕궁의 근사謹寫한 벽화」 개최(8.14.~10.12.)

글자크기 설정
목록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은 8월 14일부터 10월 12일까지 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서울 종로구)에서 박물관 개관 20주년을 기념하여 창덕궁 내전의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을 장식했던 벽화 6점과 초본(草本, 정본을 완성하기 전 그린 밑그림) 1점을 최초로 일괄 공개하는 「창덕궁의 근사謹寫한 벽화」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창덕궁 벽화(6점)들은 높이가 각각 180~214cm, 너비가 각각 525~882cm에 달하는 대작들로 크기 면에서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또한 조선왕실의 마지막 궁중회화이기도 하다. 이 벽화들은 1917년 당시 황위에서 물러난 순종(1874~1926, 재위 1907~1910)과 순정효황후(1894~1966)가 생활했던 창덕궁 내전이 화재로 소실된 후 1920년 재건되면서 이곳을 장식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벽에 직접 그린 것이 아닌 비단에 그린 후 종이로 배접하고 이를 벽에 부착한 '부벽화(付壁畵)'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이 당시 재건된 내전 권역의 주요 건물인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은 전통건축의 외형에 서양식 설비와 실내장식을 갖추었는데, 6점의 벽화가 각 건물의 대청 동쪽과 서쪽 벽 상단을 가득 채우고 있어 위엄과 아름다움을 더한다.

총 6점의 벽화는 우리나라 근대 화단을 대표하는 화가들이 그렸다. 전통적인 궁중의 정교한 청록산수화풍으로 그렸지만, 조선의 궁중화가들과 달리 '근사(謹寫)' 즉 '삼가 그려 올린다'는 표현과 함께 그림에 자신의 이름을 남겨 화가로서의 개인을 드러내는 근대적인 면모를 함께 보였다.
이들 벽화가 100여 년 동안 내전에 그대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세월의 풍파를 겪어 보존 처리와 안전한 관리가 필요해짐에 따라 국가유산청은 벽화들을 떼어내 2014년 대조전 벽화, 2016년 희정당 벽화, 2023년 경훈각 벽화의 보존처리를 완료했다. 이후 벽화 원본은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 중이며, 현재 창덕궁 내전 전각에는 모사도와 영인본을 설치했다. 참고로, 이 6점의 벽화는 모두 국가등록문화유산이다.

이번 전시는 2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 순종의 접견실이었던 희정당의 벽화, ▲ 황제 부부의 침전인 대조전의 벽화, ▲ 서재 겸 휴식공간이었던 경훈각의 벽화를 각각 분리된 공간에서 자세히 감상할 수 있다.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 1868~1933)이 그린 희정당 벽화 〈총석정절경도〉와 〈금강산만물초승경도〉는 그가 직접 금강산을 유람하며 그린 밑그림(스케치)을 바탕으로 그려낸 대작이다. 금강산은 궁중회화로서는 새로운 소재인데, 이는 민족정신을 상징하는 영험한 산으로 여겨지면서도 일제에 의해 관광지로 활발히 개발되었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다.
대조전에는 정재 오일영(靜齋 吳一英, 1890~1960)과 묵로 이용우(墨鷺 李用雨, 1902~1952)가 합작한 〈봉황도〉와 이당 김은호(以堂 金殷鎬, 1892~1979)가 그린 〈백학도〉가 마주보고 있다. 태평성대와 부부의 화합을 상징하는 봉황과 십장생 중 하나인 학은 궁중회화의 단골 소재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김은호가 〈백학도〉를 구상하며 제작한 〈백학도 초본〉도 최초로 공개된다.
경훈각을 장식한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 1899~1978)의 〈조일선관도〉와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 1897~1972)의 〈삼선관파도〉 역시 이번에 최초로 공개되는 작품이다. 속세를 벗어난 신선경을 묘사한 이 두 그림은 장수를 상징하는 선계의 복숭아와 거북을 든 동자, 서로 나이를 자랑하는 세 명의 신선들이 등장하여 황제 부부의 장수와 평안을 기원하는 그림임을 알 수 있다.

2부에서는 창덕궁 벽화를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 '근사한 벽화, 다시 깨어나다'를 전시한다. 오랜 세월 사랑받은 민족의 영산 금강산의 절경과 봉황과 백학의 상서로운 날갯짓, 영생을 누리는 신선의 세계를 관객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환상적인 실감영상으로 재현하였다.

특별전시 기간 중에는 매일 2회(11:00, 15:00) 전문 안내원(도슨트)의 전시해설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창덕궁 벽화를 주제로 한 전문가들의 '왕실문화 심층탐구 강연'(8.27, 9.3, 9.17, 14:00~16:00 총 3회)과 '활동지와 함께하는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초등학교 4~6학년생 대상, 8.18.~8.22. 10:10/13:30, 총 10회), '보고 만드는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초등학교 3~6학년생과 보호자 대상, 8.16~9.27 매주 토요일 10:10, 총 7회) 체험활동, '현장에서 느끼는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성인 대상, 9.8, 9.15, 9.22, 10:00, 총 3회) 현장답사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한다.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궁궐건축과 궁중회화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근대미술의 우수한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왕실유산의 가치 확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Jeong Yong-jae), which is affiliated with the Korea Heritage Service, will host Respectfully Portrayed Murals at Changdeokgung Palacefrom August 14 through October 12 in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 on the second floor of the museum (in Jongno-gu, Seoul). This exhibition, held in celebration of the museum's 20th anniversary, will showcase for the first time all six murals that formerly adorned the walls inside the three halls that made up the residential quarters within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ound, namely Huijeongdang, Daejojeon, and Gyeonghungak, as well as a draft sketch made in advance of the mural painting work.

The six murals on display at this special exhibition are monumental works, each up to nine meters wide. They represent an unprecedented and commemorative example of Korean royal court painting in its final phase. These artworks were created in 1920 to decorate three Changdeokgung halls that had been rebuilt after being destroyed by fire in 1917. At the time, former Emperor Sunjong (1874–1926, r. 1907–10), who had abdicated the throne, and former Empress Sunjeong (1894–1966) were residing on the palace grounds.

Rather than being painted directly onto the walls, these murals were executed on silk, then mounted on paper, and affixed to the upper section of the wall above the door separating the rooms inside the hall—a genre known as bubyeokhwa (附壁畫), or "attached wall painting." The principal structures of inner palace area that were reconstructed at this time—Huijeongdang, Daejojeon, and Gyeonghungak—were built with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exteriors, yet featured Western-style amenities and interior decoration. These grand-scale murals, filling the upper east and west walls of the main room inside each hall gave the space an added touch of both majesty and beauty.

The six murals were produced by artists who would go on to become leading figures in Korea's contemporary painting circles. The works reflect the traditional court painting style of elaborate blue-and-green landscapes but they also exhibit modern traits not typically found in royal court paintings of the Joseon period. Notably, the artists inscribed their names along with the phrase geunsa (謹寫 "respectfully portrayed"), thus asserting their individual identity as painters—an indication of the changing artistic consciousness of the time.

The murals remained in place inside the inner quarters of Changdeokgung for over a century, enduring the wear of time, and eventually requiring restoration and secure oversight. In response, Korea Heritage Service (forme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itiated restoration work on the Daejojeon murals in 2014, the Huijeongdang murals in 2016, and the Gyeonghungak murals in 2023. The original murals are now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hile reproductions and facsimiles have been installed in the respective halls within Changdeokgung Palace. All six murals are State-Registered Cultural Heritage.

This exhibition displays for the first time all six Changdeokgung murals together—the last examples of royal palace decorative painting. It consists of two sections, starting with a close, in-depth look at each mural in separate, dedicated spaces in Section I:
(1) Murals of Huijeongdang, which served as Emperor Sunjong's audience chamber,
(2) Murals of Daejojeon, the imperial couple's private quarters, and
(3) Murals of Gyeonghungak, which functioned as a study and resting space.

The Huijeongdang murals—Magnificent View of Chongseokjeong (Mass of Stones Pavilion)and Extraordinary Views of Manmulsang (Rocks of Every Shape),Geumgangsan Mountains—were painted by Kim Gyu-jin (1868–1933) and are large-scale works based on his own sketches made during a journey through Geumgangsan. These mountains o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represented a novel subject for royal court painting, reflecting a complex backstory of the times: The mountainous area was regarded as sacred, symbolizing the Korean national spirit, while at the same time it was being actively developed as a tourist destin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side the main hall of Daejojeon, Phoenixes—a collaborative work by Oh Il-young (1890–1960) and Yi Yong-u (1902–1952)—faces White Cranes, painted by Kim Eun-ho (1892–1979). Both the phoenix, symbolizing peace and marital harmony, and the white crane, one of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were commonly featured motifs in royal court paintings. For the first time, Kim Eun-ho's original preparatory sketch for White Cranes will be unveiled in this exhibition, allowing visitors to view it alongside the completed painting.

The murals that previously adorned Gyeonghungak—Land of Immortals at Sunriseby Noh Soo-hyun (1899–1978) and Three Immortals Viewing the Waves by Lee Sang-beom (1897–1972)—are also being shown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at this exhibition. Depicting idyllic realms of immortals beyond the mundane world, these two paintings feature symbolic elements such as peaches and a turtle—both associated with longevity—held by young attendants, as well as three immortals boasting about their age. These motifs clearly convey wishes for the emperor and empress's long life and peace of mind.

Section II of the special exhibition features a media art installation titled Magnificent Murals Awaken Once More, inspired by the Changdeokgung murals. This immersive digital experience brings to life the breathtaking beauty of Geumgangsan—long revered as a sacred mountainous area of the Korean people—along with the auspicious flight of phoenixes and white cranes, and the mythical world of immortals enjoying eternal life. These scenes are rendered in vivid, interactive visuals that respond to the movements of visitors, offering a fantastical and engaging reinterpretation of the murals.

During the special exhibition perio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emed around the Changdeokgung murals will also be offered:
- In-Depth Lectures on Royal Culture will be delivered by experts on three Wednesdays (August 27, September 3, and September 17) from 2:00 to 4:00 p.m.
- The Splendid Murals of Changdeokgung with Activity Sheets is a program for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unning August 18-22, with two sessions daily (10:10 a.m. and 1:30 p.m.), totaling 10 sessions.
- Seeing and Creating the Splendid Murals of Changdeokgung is designed for 3rd to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guardians, held every Saturday from August 16 to September 27 at 10:10 a.m., for a total of 7 sessions.
- Experiencing the Splendid Murals of Changdeokgung On-site is an adult program conducted on Mondays from September 8 to 22 at 10:00 a.m., consisting of 3 sessions.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under the Korea Heritage Service, aims to use this special exhibition—featuring the six Changdeokgung murals, the final works of Korean royal court painting—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not only palace architecture and court art, but also a pivotal moment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art. The museum will continue its efforts to widely promote the value of Korea's royal court heritage both at home and abroad through future exhibition initiatives.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 포스터

< 홍보물 >

“이 자료는 국가유산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경주 월성 해자 '토우' 등 신라 문화유산 「신라보기」 영상으로 만난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