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5년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8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228.7억 달러, 무역수지 103.4억 달러 흑자 기록 - 반도체 수출 사상 최고치 기록하여 ICT 수출 8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9월 15일, 8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은 228.7억 달러로 전년 동월(205.8억 달러) 대비 11.1%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25.3억 달러로 전년 동월(116.4억 달러) 대비 7.6% 증가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103.4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특히,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美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역대 8월 수출 중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다.
* 반도체 역대 순위(억 달러) : 1위151.1('25.8월), 2위149.8('25.6월), 3위147.2('25.7월)
** ICT 역대 8월 순위(억 달러) : 1위228.7('25년), 2위205.8('24년), 3위202.3('21년)
※ ICT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208.7(9.6↑) → (6월)220.1(4.6↑) → (7월)221.9(14.5↑) → (8월)228.7(11.1↑)
8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은 반도체(27.0%↑), 통신장비(1.8%↑)는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9.4%), 휴대폰(△15.4%), 컴퓨터·주변기기(△16.6%)는 감소하였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의 고정가격 상승과 AI 서버 등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은 메모리 수요 견조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통신장비는 미국·멕시코의 전장용 수요 호조로 수출이 증가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TV, 모니터, 모바일 등 전방산업의 수요부진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휴대폰은 완제품의 신제품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부분품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이 감소하였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보조기억장치(SSD)의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했으나, 빅테크기업의 데이터센터가 위치한 중국·네덜란드로의 수요 증가로 감소 폭은 다소 축소되었다.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대만(65.6↑)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베트남(18.0%↑), 유럽연합(8.2%↑), 일본(3.9%↑), 중국(홍콩포함, 0.3%↑)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한 반면, 미국(△9.9%)은 수출이 감소하였다.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25.3억 달러)은 반도체(4.7%↑), 휴대폰(20.2%↑), 컴퓨터·주변기기(31.1%↑)의 증가로 전년 동월(116.4억 달러) 대비 7.6% 증가하였다. 특히, 컴퓨터·주변기기의 경우 AI 수요 확대에 따른 데이터센터용 GPU(0.2억 달러, 249.1%↑), 중대형컴퓨터(3.4억 달러, 144.2%↑) 수입이 증가세를 이어갔고, 휴대폰의 경우 베트남에서 조립된 국내 기업의 완제품(0.8억 달러, 69.8%↑)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 GPU 수입 추이(억 달러, %) : ('25.5월)0.3(130.3↑) → (6월)0.1(△9.4) → (7월)0.6(750.5↑) → (8월)0.2(249.1↑)
* 중대형컴퓨터 수입 추이(억 달러, %) : ('25.5월)4.3(129.9↑) → (6월)2.8(△29.0) → (7월)3.0(39.9↑) → (8월)3.4(144.2↑)
정보통신산업(ICT) 8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151.1억 달러, 27.0%↑) 메모리 반도체의 고정가격(D램, 낸드) 상승세*와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DDR5, HBM 등)의 견조한 수요로 역대 최대 실적 기록
* D램8Gb 단가 추이($) : ('25.5월)2.1 → (6월)2.6 → (7월)3.9 → (8월)5.7
낸드128Gb 단가 추이($) : ('25.5월)2.9 → (6월)3.1 → (7월)3.4 → (8월)3.4
※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38.0(21.2↑) → (6월)149.8(11.5↑) → (7월)147.2(31.2↑) → (8월)151.1(27.0↑)
○ (디스플레이 : 18.2억 달러, △9.4%) LCD(2.7억 달러, △26.0%)는 수요 감소 및 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 OLED(13.5억 달러, △4.9%)는 패널 적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TV, 모니터 등 전방 수요 부진으로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이 감소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5.2(△17.5) → (6월)12.9(△33.7) → (7월)17.6(△8.9) → (8월)18.2(△9.4)
○ (휴대폰 : 13.3억 달러, △15.4%) 완제품(3.4억 달러, 4.5%↑)의 신제품 수출 호조에도 부분품(9.9억 달러, △20.5%)의 해외 주요 생산 거점인 중국 向(<홍콩 포함> 7.7억 달러, △17.3%)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이 감소
※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0.5(2.8↑) → (6월)7.9(△6.2) → (7월)9.6(△21.7) → (8월)13.3(△15.4)
○ (컴퓨터·주변기기 : 13.4억 달러, △16.6%) 보조기억장치(SSD)의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감소했으나, 빅테크기업의 데이터센터가 위치한 중국(<홍콩 포함> 13.4%↑), 네덜란드(167.8%↑)로의 수출 증가로 감소폭 축소
* SSD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9.1(6.9↑) → (6월)11.3(17.7↑) → (7월)7.5(△22.4) → (8월)10.3(△17.2)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2.0(1.7↑) → (6월)14.5(12.6↑) → (7월)10.9(△17.1) → (8월)13.4(△16.6)
○ (통신장비 : 1.9억 달러, 1.8%↑) 미국(0.4억 달러, 2.2%↑), 멕시코(0.1억 달러, 59.6%↑) 등의 전장용 수요 호조로 수출이 증가
※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2.0(9.9↑) → (6월)2.0(△1.2) → (7월)2.0(4.6↑) → (8월)1.9(1.8↑)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중견기업 51.1억 달러, 2.9%↑) 반도체(27.5억 달러, 12.7%↑), 통신장비(1.2억 달러, 11.0%↑) 등은 증가, 디스플레이(2.0억 달러, △5.3%), 휴대폰(2.2억 달러, △45.4%), 컴퓨터·주변기기(1.8억 달러, △10.4%) 등은 감소 * 중소기업(14.4억 달러, △2.8%) 통신장비(0.7억 달러, 14.8%↑)는 증가, 반도체(2.5억 달러, △0.3%), 디스플레이(0.6억 달러, △4.4%), 휴대폰(0.5억 달러, △31.3%), 컴퓨터·주변기기(1.3억 달러, △15.2%) 등은 감소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83.4억 달러, 0.3%↑) 반도체(61.1억 달러, 5.2%↑) 수요가 일부 회복되었으나, 휴대폰(7.9억 달러, △16.6), 디스플레이(5.5억 달러, △11.2)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증가 폭은 제한적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75.8(△6.8) → (6월)78.9(△9.4) → (7월)74.7(△5.6) → (8월)83.4(0.3↑)
○ (베트남 : 38.6억 달러, 18.0%↑) 반도체(22.0억 달러, 44.1%↑)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회복세 지속
※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35.5(15.7↑) → (6월)31.7(△6.9) → (7월)36.3(16.4↑) → (8월)38.6(18.0↑)
○ (대만 : 36.0억 달러, 65.6%↑) 반도체*(33.6억 달러, 66.0%↑), 컴퓨터·주변기기(0.9억 달러, 188.2%↑)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27.1억 달러, 64.5%↑)가 반도체 수출 견인
※ 대만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29.4(80.4↑) → (6월)36.1(54.6↑) → (7월)37.1(89.7↑) → (8월)36.0(65.6↑)
○ (미국 : 23.3억 달러, △9.9%) 반도체(10.9억 달러, 34.8%↑), 휴대폰(0.7억 달러, 96.3↑)은 증가하였으나, 주요 수출 품목인 컴퓨터·주변기기(4.1억 달러, △43.6%)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
※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23.10월)17.4(△14.7) → (11월)20.6(12.5↑) → ('25.7월)27.1(11.9↑) → (8월)23.3(△9.9)
○ (유럽연합 : 13.0억 달러, 8.2%↑) 반도체(4.0억 달러, 53.1%↑)가 전체 수출을 견인하며 성장 기조 유지
※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11.0(1.5↑) → (6월)9.3(△5.4) → (7월)12.0(18.0↑) → (8월)13.0(8.2↑)
○ (인도 : 4.6억 달러, 0.4%↑) 반도체(3.0억 달러, 11.6%↑), 컴퓨터·주변기기(0.1억 달러, 55.7%↑) 호조로 전체 수출은 증가세
※ 인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4.9(7.7↑) → (6월)4.2(△6.4) → (7월)4.8(14.1↑) → (8월)4.6(0.4↑)
○ (일본 : 3.3억 달러, 3.9%↑)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36.0%↑)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세
※ 일본 수출 추이(억 달러, %) : ('25.5월)3.4(12.5↑) → (6월)3.9(18.0↑) → (7월)3.3(23.9↑) → (8월)3.3(3.9↑)
정보통신산업(ICT) 8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반도체(65.7억 달러, 4.7%↑), 컴퓨터·주변기기(12.9억 달러, 31.1%↑), 휴대폰(5.8억 달러, 20.2%↑), 통신장비(3.6억 달러, 11.1%↑)는 증가, 디스플레이(3.7억 달러, △1.1%)는 감소
□ (지역별) 대만(21.9억 달러, 2.9%↑), 베트남(14.4억 달러, 17.8%↑)은 증가, 중국(홍콩포함, 35.0억 달러, △19.7%), 일본(10.0억 달러, △14.2%), 미국(6.8억 달러, △4.4%)은 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URL 링크가 제공되는 2차 소비쿠폰 문자와 알림은 100% 사기입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국민 90%에 '소비쿠폰' 10만 원 추가 지급…22일부터 신청 개시
-
"소비쿠폰 2차 지급, 저도 받을 수 있나요?"…문답으로 알려드려요
-
취임 100일 이 대통령 "남은 4년 9개월은 '도약과 성장의 시간'"
-
인사처, 공무원 당직 개선…인공지능 활용 등 모색
-
'국가AI전략위원회' 출범…이 대통령 "AI 기술은 국력이자 경제력"
-
김 총리 "대한민국 정상화 알리고 국격 높이는 K-APEC 만들 것"
-
이 대통령 "불합리한 유통구조 개혁 속도…장바구니 물가 불안 반드시 해소"
-
'회복과 정상화'의 100일 이젠 도약과 성장의 시간!
-
과기정통부, KT 소액결제 사건 신속 조사…'민관합동조사단' 가동
-
강릉 오봉저수지 저수율 12.4%…정부 "인력·장비·물 등 집중"
최신 뉴스
- 기후위기 대응, 국민건강관리를 위한 기후보건 전문가 자문단 출범(9.15.월)
-
영상
알록달록한 우주복 색상의 비밀
- 폴리텍대학, 주식회사 카스와 디지털 계측 기술인재 양성 '맞손'
- 예비산업인력 안전 역량 강화에 앞장서다
- 관세청, 새로운 비전 "인공지능(AI)으로 공정성장을 선도하는 관세청" 선포
- 대한민국 청년정책, 2025 고졸성공 취업·창업 페스타에서 만나 보세요
-
K-뷰티, 더 쉽게 세계로!
- "산업재해 예방은 노사 모두의 이익" 「노동안전 종합대책」 발표
-
[개인정보 지켜LOCK] 생성형 AI 활용 시 개인정보 지키는 법
- 우리 수산물로 풍요로운 추석 맞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