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대외 불확실성에 큰 흔들림 없도록우리 주력산업의 근본적 경쟁력 제고

글자크기 설정
목록

대외 불확실성에 큰 흔들림 없도록
우리 주력산업의 근본적 경쟁력 제고

- 철강 등 관세피해 기업에 수출공급망 강화보증 등 총 5,700억원의 금융지원 공급

- 특수탄소강 R&D 로드맵 연내 수립, 10개 특수탄소강에 2,000억원의 대규모 R&D 지원(~'30년)

- 철근 등 범용 철강재 중심으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지원도 병행해, 공급과잉에 대응

- 석유화학산업 사업재편에 모든 산단과 업계가 "속도전" 펼쳐야

- 연말까지가 "골든타임"이며, 업계가 이번 골든타임을 허비한다면,
정부・채권금융기관도 "조력자"로만 남기는 힘들 것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11.4일(화) 08:20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였다.


* 참석 : 부총리(주재), 산업부・중기부 장관, 공정위・금융위원장, 국조실 2차관, 금감원장


  구윤철 부총리는 모두발언을 통해 한미 간 관세협상타결(10.29)되어, 우리 경제에 드리웠던 불확실성많이 해소되었다고 언급하였다. 어려운 기였음에도 수출증가세지속*하는 등 우리 기업들이 불굴의 저력으로 선방해주면서 정부 협상힘을 보탰음을 강조하며 감사의 말씀을 전했다. 또한, 구 부총리는 금번 협상을 통해 다시 한번 국력의 중요성을 느낀다고 언급하며, 정부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큰 흔들림이 없도록 우리 주력산업근본적인 경쟁력키우겠다고 강조하였다.


* 수출(전년동기비, %) : ('25.1/4)△2.3 (2/4)2.1 (3/4)6.5 (10)3.6
    - 美 관세 영향으로 對美 수출('25.1~10월 누적)은 부진 (△8.0)하나, 對EU(+3.9)・아세안(+5.5) 등 증가세


  먼저, 고율관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산업 고도화지원한다. 철강관세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이미 발표*이차보전사업, 긴급저리융자 신설 등에 더하여, 4,000억원 규모수출공급망 강화보증추가로 신설하여 총 5,700억원금융지원을 공급한다. 덤핑방지관세제3국・보세구역경유우회덤핑까지 확대 부과하여, 불공정 저가 수입 철강재국내 유입 최소화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특수탄소강 R&D 로드맵'을 연내 수립하여, '30년까지 10개 특수탄소강2,000억원 대규모 R&D를 지원하고, 수소환원제철 실증 기술개발, 철강 특화 AI 모델 개발 등을 통해 고부가・저탄소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아울러, 철근범용 철강재 중심으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지원병행공급과잉에도 대응할 계획이다.


*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25.9.3)


  다음으로, 석유화학산업 사업재편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석유화학 사업재편은 지난 8월 업계 자율협약(8.20) 체결 이후, 최근 대산 산업단지에서 일부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금융권공동협약을 체결(9.30)해 금융지원의 틀마련되었다. 하지만, 구 부총리는 일부 산단기업의 사업재편 여전히 지지부진해 업계의 진정성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언급하며, 시장이 예의주시하고 있는 만큼 모든 산단과 업계"속도전"을 펼쳐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연말까지가 "골든타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업계가 이번 골든타임을 허비한다면, 정부와 채권금융기관도 "조력자"로만 남기는 힘들 것임을 강조했다. '배가 기울 때 자기 짐만 지키려다, 결국 침몰을 막지 못하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고 언급하면서, 뼈를 깎는 자구노력타당성 있는 사업재편정부도 적극 뒷받침할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 먼저 사업재편을 추진하는 산단・기업에는 더 빠른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중소기업 정보제공 플랫폼 수요자 입장에서 통합・운영*('26년~)하는 등 중소기업 지원체계개선할 계획이다.


*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 서비스를 통합해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금일 회의에서는 「석유화학산업 구조재편 추진현황 및 계획」,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관련
자세한 내용은 별도 첨부 자료를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이 자료는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