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 10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233.3억 달러, 무역수지 103.7억 달러 흑자 기록 -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수출 증가,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 기록 |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와 11월 14일, 10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233.3억 달러로 전년 동월(208.0억 달러) 대비 12.2%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29.6억 달러로 전년 동월(133.5억 달러) 대비 2.9% 감소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103.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조업일수의 감소('24.10월22→'25.10월20일, △2.0일)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 ICT 수출 추이(억 달러, %) : (2월)165.4(0.2↑) → (3월)205.2(9.1↑) → (4월)189.1(10.7↑) → (5월)208.7(9.6↑) →(6월)220.0(4.6↑) → (7월)221.8(14.4↑) → (8월)228.6(11.1↑) → (9월)254.2(13.9↑) → (10월)233.3(12.2↑)
** ICT 역대 10월 수출(억 달러, %) : 1위233.3('25년), 2위208.0('24년), 3위201.9('18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25.4%↑), 통신장비(2.5%↑)는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8.8%), 휴대폰(△11.8%), 컴퓨터·주변기기(△1.0%)는 감소하였다.
품목별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 AI 서버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증가로 수출이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하였고, 통신장비는 베트남과 인도의 무선통신기기용, 기지국용 장비 수요 증가로 수출이 소폭 증가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IT 기기의 OLED 패널 적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제품단가 하락으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였다. 휴대폰은 주력 제품의 수요 증가로 완제품 수출은 증가했으나, 해외 주요 기업의 생산 거점인 중국으로의 부분품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은 감소하였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수요 둔화로 수출이 감소했으나, SSD 수요 회복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일본(△4.6%)은 감소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4.9%↑), 베트남(3.8%↑), 유럽연합(29.2%↑) 등에서는 증가세를 이어 갔다. 또한, 미국(5.8%↑)은 휴대폰과 반도체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29.6억 달러)은 휴대폰(△34.9%), 디스플레이(△16.7%) 등의 감소로 전년 동월(133.5억 달러) 대비 2.9% 감소하였다. 반면, AI 인프라 등 수요 확대에 따라 컴퓨터·주변기기에 포함된 GPU(0.8억 달러, 725.9%↑) 및 중대형 컴퓨터(4.5억 달러, 70.6%↑) 수입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 '25년 3분기 누적 수입(억 달러, %) : 그래픽카드(4.6, 26.4↑), 중대형컴퓨터(27.4, 49.0↑)
* GPU 수입 추이(억 달러, %) : (7월)0.6(750.5↑) → (8월)0.2(249.1↑) → (9월)0.6(600.4↑)→ (10월)0.8(725.9↑)
중대형컴퓨터 수입 추이(억 달러, %) : (7월)3.0(39.9↑) → (8월)3.4(144.3↑) → (9월)3.5(67.6↑)→ (10월)4.5(70.6↑)
|
정보통신산업(ICT) 10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157.4억 달러, 25.4%↑) 메모리 고정가격D램, 낸드 상승세*와 AI 서버 중심의 고부가 메모리DDR5, HBM의 수요 견조로 수출이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D램8Gb 단가 추이($) : (7월)3.9 → (8월)5.7 → (9월)6.3 → (10월) 7.0
낸드128Gb 단가 추이($) : (7월)3.4 → (8월)3.4 → (9월)3.8 → (10월)4.4
※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147.1(31.2↑) → (8월)151.1(27.0↑) → (9월)166.2(21.9↑) → (10월))157.4(25.4↑)
○ (디스플레이 : 16.4억 달러, △8.8%) IT 기기의 OLED 패널 적용 확대에도 제품 단가 하락* 등으로 수출이 감소
* OLED단가 추이($, %) : (25.1Q)49.7(5.5↑) → (25.2Q)48.1(△6.6) → (25.3Q)52.3(△7.4) → (25.4Q)53.4(△7.5)
IT용LCD 단가 추이(($, %) : (25.1Q)45.2(1.6↑) → (25.2Q)45.5△1.1) → (25.3Q)44.3(△3.1) → (25.4Q)43.3(△7.3)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17.6(△8.9) → (8월)18.2(△9.4) → (9월)19.2(1.3↑) → (10월)16.4(△8.8)
○ (휴대폰 : 16.1억 달러, △11.8%) 주력 제품의 판매 호조로 완제품(4.0억 달러, 4.8%↑) 수출은 증가했으나, 해외 주요 기업의 생산 거점인 중국으로의 부분품(<홍콩 포함>, 10.2억 달러, △13.2%)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은 감소
※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9.6(△21.7) → (8월)13.3(△15.4) → (9월)14.9(△10.7) → (10월)16.1(△11.8)
○ (컴퓨터·주변기기 : 11.1억 달러, △1.0%) 중국, 네덜란드 등 AI·데이터센터 수요에 따라 보조기억장치(SSD) 수출이 회복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감소
* SSD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7.5(△22.4) → (8월)10.3(△17.2) → (9월)10.7(△13.8) → (10월)8.2(16.0↑)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10.9(△17.1) → (8월)13.4(△16.6) → (9월)14.6(△10.9) → (10월)11.1(△1.0)
○ (통신장비 : 1.8억 달러, 2.5%↑) 베트남(0.3억 달러, 18.4%↑)의 무선통신기기용 부분품과 인도(0.1억 달러, 56.5%↑)의 기지국용 장비 수요 등의 호조로 수출이 증가
※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2.0(4.4↑) → (8월)1.9(1.6↑) → (9월)2.2(38.1↑) → (10월)1.8(2.5↑)
|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중견기업 52.8억 달러, △1.3%) 반도체(29.2억 달러, 2.3%↑), 디스플레이(2.3억 달러, 10.3%↑) 등은 증가, 휴대폰(2.4억 달러, △26.3%), 통신장비(1.1억 달러, △1.5%), 컴퓨터·주변기기(1.6억 달러, △25.0%) 등은 감소 * 중소기업(15.1억 달러, 1.1%↑) 반도체(2.7억 달러, 8.4%↑), 디스플레이(1.1억 달러, 57.3%↑), 휴대폰(0.9억 달러, 41.6%↑) 등은 증가, 통신장비(0.6억 달러, △7.4%), 컴퓨터·주변기기(1.2억 달러, △29.0%) 등은 감소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87.0억 달러, 4.9%↑) 반도체(62.4억 달러, 10.8%↑), 컴퓨터·주변기기(2.1억 달러, 49.0%↑)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이 증가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74.7(△5.7) → (8월)83.3(0.2↑) → (9월)92.4(1.1↑) → (10월)87.0(4.9↑)
○ (대만 : 42.8억 달러, 60.0%↑) 반도체(40.8억 달러, 61.5%↑),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197.1%↑)가 전체 수출을 견인하며 수출이 증가
*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32.0억 달러, 60.0%↑)가 반도체 수출을 견인
※ 대만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37.0(89.6↑) → (8월)36.0(65.6↑) → (9월)42.9(53.5↑) → (10월)42.8(60.0↑)
○ (베트남 : 35.6억 달러, 3.8%↑) 반도체(20.4억 달러, 10.3%↑)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증가세 지속
※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36.3(16.4↑) → (8월)38.6(18.0↑) → (9월)40.6(20.7↑) → (10월)35.6(3.8↑)
○ (미국 : 25.0억 달러, 5.8%↑) 반도체(12.3억 달러, 52.1%↑), 휴대폰(1.0억 달러, 33.5%↑) 수출 증가로 전체 수출이 증가로 전환
※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27.1(11.9↑) → (8월)23.3(△10.0) → (9월)29.2(△3.9) → (10월)25.0(5.8↑)
○ (유럽연합 : 12.4억 달러, 29.2%↑) 반도체(4.6억 달러, 131.4%↑), 디스플레이(0.3억 달러, 9.7%↑), 컴퓨터·주변기기(2.1억 달러, 30.8%↑) 수출 증가로 증가세 지속
※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11.9(18.0↑) → (8월)13.0(8.2↑) → (9월)13.0(22.3↑)→ (10월)12.4(29.2↑)
○ (인도 : 4.3억 달러, 9.2%↑) 반도체(2.5억 달러, 15.3%↑), 디스플레이(0.4억 달러, 25.6%↑) 수출 호조로 증가세 지속
※ 인도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4.8(14.1↑) → (8월)4.6(0.3↑) → (9월)5.0(34.8↑)→ (10월)4.3(9.2↑)
○ (일본 : 3.0억 달러, △4.6%) 반도체(1.2억 달러, 20.7%↑) 수출은 증가했으나, 디스플레이(0.1억 달러, △2.8%), 휴대폰(0.1억 달러, △31.8%), 컴퓨터·주변기기(0.3억 달러, △30.9%) 수출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 일본 수출 추이(억 달러, %) : (7월)3.3(23.9↑) → (8월)3.3(3.9↑) → (9월)3.9(10.8↑)→ (10월)3.0(△4.6)
|
정보통신산업(ICT) 10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컴퓨터·주변기기(14.7억 달러, 27.4%↑)는 증가, 반도체(65.9억 달러, △1.7%), 디스플레이(3.6억 달러, △16.7%), 휴대폰(8.2억 달러, △34.9%), 통신장비(3.2억 달러, △15.3%)는 감소
□ (지역별) 베트남(12.7억 달러, 7.1%↑), 대만(23.4억 달러, 0.7%↑)은 증가, 중국(홍콩포함, 38.6억 달러, △26.9%), 미국(6.8억 달러, △16.8%), 일본(11.2억 달러, △17.0%)은 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12일부터 김장철 수산물 최대 50% 할인…전통시장선 환급 행사도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겨울 난방비 최대 59만 2000원 지원
-
이 대통령 "경기북부 상황 안타까워…합리적인 일들 최대한 빨리 처리"
-
결혼정보회사 찾아간 INFJ 공무원
-
탄소중립위, 2035년까지 '온실가스 53~61% 감축안' 의결
-
이 대통령 "내년 더 중요…잠재성장률 반등시킬 정책 역량 총집중"
-
이 대통령 "수도권 일극 체제 개선…중앙·지방, 동등한 협력의 파트너 돼야"
-
이 대통령, 한미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타결"
-
정부,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확정…기존 대비 53~61%↓
-
급발진 방지하고 맨홀 추락 막고…내년 예산안에 담긴 이색사업
최신 뉴스
- 농식품부는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한 양수장 시설개선을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 경기 평택 산란계 농장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라 방역관리 강화
- 도소매업, 건물종합관리업 등 대상 안전위험요인 집중 점검
- [국방과학연구소] 해양 무인유무인 복합 전투체계 연구개발 박차 가한다
- 정례브리핑
-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수본 공동본부장 브리핑문('25.11.15.)
- 국가유산청 "그간 종묘의 세계유산영향평가 이행 요청은 국제적 기준에 근거한 것"
- 한미 통상협상에서 농산물 추가 시장개방이 없도록 철저히 방어하였습니다.
- 장·차관급 인사 관련 김남준 대변인 브리핑
-
국방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