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4년 고독사 전년 대비 증가, "생애주기별 사회적 고립 위험군 발굴하여 맞춤형 지원 예정"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4년 고독사 전년 대비 증가, "생애주기별 사회적 고립 위험군 발굴하여 맞춤형 지원 예정"

-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수는 3,924명 -

- 50대·60대 중장년층 남성이 고독사에 특히 취약 -

- 여관·모텔, 고시원에서의 발생 비중은 최근 5년간 증가 추세 -

- 가족, 지인에 의한 발견은 최근 5년간 감소, 임대인,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에 의한 발견은 같은 기간 증가 -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결과,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수3,924으로 20233,661명보다 263(7.2%) 증가하였다.

 

전체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20237.2명에서 20247.7으로,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20231.04명에서 20241.09으로 증가하였다.

 

시도별로는 경기(894, 22.8%), 서울(784, 20.0%), 부산(367, 9.4%) 순으로 고독사 사망자 수가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81.7%)여성 비중(15.4%)보다 5이상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60(32.4%), 50(30.5%), 40(13.0%) 순으로 중장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발생장소별 비중주택(48.9%), 아파트(19.7%), 원룸·오피스텔(19.6%) 순으로 높았으나 여관·모텔('201.9% '244.2%) 고시원('201.9% '244.8%) 비중최근 5년간 증가하는 추세였다.

 

최초 발견(신고)의 경우 가족이나 지인에 의한 발견 비중은 최근 5년간 감소 추세였으나, 임대인이나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에 의한 발견 비중은 같은 기간 증가 추세를 보였다.

 

* 최초 발견(신고)자 비중('20'24) 가족(34.8%26.6%) 지인(14.5%7.1%) 임대인 등(28.4%43.1%)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1.7%7.7%)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 비중202413.4%202314.1%보다 감소.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2024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독사 사망자 발생 현황을 정리한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는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에 근거하여 시행되었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5개년 현황에 대한 첫 번째 조사, 2022년과 2023년의 2개년 현황에 대한 두 번째 조사에 이어 세 번째로 진행된 실태조사이다.


  이번 조사는 2024년 경찰청 형사사법정보 57,145건을 분석하여 고독사 요건*에 부합하는 사례를 추출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2025년 4월부터 10월까지 약 7개월간 진행되었다.


   * 고독사 정의: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 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임종하는 것( 고독사예방법 제2조)


<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개요 >

 

조사 기관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고독사예방조사연구센터

 

조사 기간 : 20254~ 10(7개월)

 

조사 방식 : 2024년 경찰청 형사사법정보를 분석하여 고독사 요건에 부합하는 사례 추출 후 사회보장급여 및 의료서비스 이용 기록 추가 분석

 

조사 내용 : 2024년 고독사 발생 현황 및 주요 특성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고독사 사망자 발생 현황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수는 3,924명으로 2023년 3,661명 대비 263명(7.2%) 증가하였다. 또한 전체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는 2023년 7.2명에서 2024년 7.7명으로,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 역시 2023년 1.04명에서 2024년 1.09명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다.


  전국 1인 가구 비율은 2023년 35.5%에서 2024년 36.1%로 증가하였는데, 상대적으로 고독사에 취약한 1인 가구가 늘어난 것이 고독사 사망자 수의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9세 이상 국민의 3명 중 1명이 도움이 필요해도 도움받을 곳이 없는 사회적 고립 상태에 있었던 상황*도 고독사 사망자 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 2023년 사회적 고립도* 33% (국가데이터처 사회조사)

   * 19세 이상 조사대상 중 집안일을 부탁해야 하거나 대화 상대가 필요한 경우 둘 중 하나라도 도움받을 곳이 없는 비율



< 최근 5년간 고독사 사망자 규모 및 증가율 > (단위: , %, 만 명)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고독사 사망자 수(A)

3,279

3,378

3,559

3,661

3,924

 

전년대비 증가율

11.2

3.0

5.4

2.9

7.2

전체 인구 수*

(B, 만 명)

5,134.9

5,133.3

5,125.9

5,114.6

5,103.7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 (A/B*10)

6.4

6.6

6.9

7.2

7.7

전체 사망자 수**(C)

304,948

317,680

372,939

352,511

358,569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

(A/C*100)

1.08

1.06

0.95

1.04

1.09


    * 국가데이터처 인구동향조사, 주민등록연앙인구  /  ** 국가데이터처 사망원인통계, 전체 사망자


< 최근 5년간 고독사 사망자 발생 현황 > (단위: )

external_image



  ② 고독사 사망자 주요 특성


  2024년 시도별 고독사 사망자 수는 경기(894명, 22.8%), 서울(784명, 20.0%), 부산(367명, 9.4%)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경기, 서울, 부산 등에서 고독사가 많이 발생한 것에는 지역 인구가 많다는 것 외에도 2023년 대비 2024년에 서울·부산·인천·경기 등 지역의 1인 가구 비중이 증가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인 가구 비중(2023년 → 2024년): 전국(35.5% → 36.1%), 서울(39.3% → 39.9%), 부산(36.4% → 37.2%), 인천(31.8% → 32.5%), 경기(31.2% → 31.7%)


 < 최근 5년간 시도별 고독사 발생 현황 >         (단위: 명, %)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

%

%

%

%

3,279

100

3,378

100

3,559

100

3,661

100

3,924

100

서울

571

17.4

619

18.3

678

19.1

559

15.3

784

20.0

부산

315

9.6

329

9.7

317

8.9

287

7.8

367

9.4

대구

125

3.8

124

3.7

146

4.1

183

5.0

229

5.9

인천

248

7.6

248

7.3

215

6.0

208

5.7

260

6.6

광주

118

3.6

111

3.3

117

3.3

94

2.6

119

3.0

대전

120

3.6

128

3.8

141

4.0

104

2.8

107

2.7

울산

59

1.8

58

1.7

59

1.7

72

2.0

68

1.7

세종

12

0.4

13

0.4

11

0.3

8

0.2

9

0.2

경기

678

20.7

713

21.1

749

21.0

922

25.2

894

22.8

강원

98

3.0

110

3.3

146

4.1

156

4.3

133

3.4

충북

98

3.0

93

2.8

121

3.4

167

4.6

128

3.3

충남

193

5.9

175

5.2

172

4.8

183

5.0

171

4.4

전북

143

4.3

106

3.1

102

2.9

126

3.4

96

2.5

전남

114

3.5

124

3.7

100

2.8

120

3.3

112

2.8

경북

135

4.1

180

5.3

175

4.9

186

5.1

162

4.1

경남

225

6.9

203

6.0

257

7.2

235

6.4

237

6.0

제주

27

0.8

44

1.3

53

1.5

51

1.4

48

1.2



  성별 기준으로는 남성 고독사 사망자가 여성보다 5배 이상 많아 남성이 상대적으로 고독사에 취약하였다. 고독사 사망자 중 남성은 3,205명(81.7%), 여성은 605명(15.4%), 성별 미상은 114명(2.9%)이었다.


< 최근 5년간 성별 고독사 발생 현황 > (단위: ,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

%

%

%

%

남성

2,622

80.0

2,817

83.4

2,970

83.5

3,053

83.4

3,205

81.7

여성

562

17.1

529

15.7

557

15.6

579

15.8

605

15.4

미상

95

2.9

32

0.9

32

0.9

29

0.8

114

2.9

3,279

100

3,378

100

3,559

100

3,661

100

3,924

100

 ※ 성별 미상: 경찰청 형사사법정보 자료에 성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없는 경우


  2024년 연령대별 고독사 사망자는 60대(1,271명, 32.4%), 50대(1,197명, 30.5%), 40대(509명, 13.0%), 70대(497명, 12.7%) 순으로 50대·60대가 가장 많았고, 연령대별 비중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는 60대, 50대, 70대, 80대 이상 순으로 많았다.


< 최근 5년간 연령대별 고독사 발생 현황 > (단위: ,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

%

%

%

%

20대이하

47

1.4

55

1.7

61

1.7

42

1.2

47

1.2

30

159

4.9

164

4.8

147

4.1

166

4.5

171

4.3

40

475

14.5

526

15.6

525

14.7

502

13.7

509

13.0

50

1,047

31.9

1,001

29.6

1,077

30.3

1,097

30.0

1,197

30.5

60

924

28.2

981

29.0

1,110

31.2

1,146

31.3

1,271

32.4

70

384

11.7

421

12.5

433

12.2

470

12.8

497

12.7

80대이상

210

6.4

203

6.0

186

5.2

205

5.6

202

5.1

미상

33

1.0

27

0.8

20

0.6

33

0.9

30

0.8

3,279

100

3,378

100

3,559

100

3,661

100

3,924

100



< 최근 5년간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당 고독사 발생 현황 > (단위: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고독사

사망자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사망자

고독사

사망자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사망자

고독사

사망자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사망자

고독사

사망자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사망자

고독사

사망자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사망자

20대이하

47

0.3

55

0.4

61

0.4

42

0.3

47

0.3

30

159

2.3

164

2.4

147

2.2

166

2.5

171

2.6

40

475

5.8

526

6.5

525

6.5

502

6.3

509

6.5

50

1,047

12.3

1,001

11.7

1,077

12.6

1,097

12.8

1,197

13.9

60

924

14.3

981

14.3

1,110

15.4

1,146

15.3

1,271

16.6

70

384

10.7

421

11.5

433

11.5

470

12.1

497

12.2

80대이상

210

11.1

203

10.0

186

8.6

205

8.9

202

8.4

미상

33

-

27

-

20

-

33

-

30

-

3,279

6.4

3,378

6.6

3,559

6.9

3,661

7.2

3,924

7.7


※ 연령 미상: 경찰청 형사사법정보 자료에 연령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없는 경우


  성별과 연령대별 사망자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60대 남성 고독사 사망자 수가 가장 많았고(1,089명, 27.8%), 50대 남성 고독사 사망자 수가 두 번째로 많아(1,028명, 26.2%) 중장년 남성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했다. 


 < 2024년 성별·연령대별 고독사 사망자 수 >          (단위: 명) 



external_image


  < 2024년 성별·연령대별 고독사 발생 현황 >        (단위: 명, %) 


구 분

20대 이하

30

40

50

60

70

80

이상

미상

2024

47

171

509

1,197

1,271

497

202

30

3,924

%

1.2

4.3

13.0

30.5

32.4

12.7

5.1

0.8

100

25

121

400

1,028

1,089

403

130

9

3,205

%

0.6

3.1

10.2

26.2

27.8

10.3

3.3

0.2

81.7

20

45

104

141

147

79

65

4

605

%

0.5

1.1

2.7

3.6

3.7

2.0

1.7

0.1

15.4

미상

2

5

5

28

35

15

7

17

114

%

0.1

0.1

0.1

0.7

0.9

0.4

0.2

0.4

2.9


 ※ 미상: 경찰청 형사사법정보 자료에 성별 또는 연령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없는 경우


  2024년 고독사 발생장소는 주택(1,920명, 48.9%), 아파트(774명, 19.7%), 원룸 및 오피스텔(769명, 19.6%) 순으로 많았으나, 주택과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5년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원룸·오피스텔, 여관·모텔, 고시원의 비중은 같은 기간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고독사 발생 장소 현황 >            (단위: 명, %)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

%

%

%

%

3,279

100

3,378

100

3,559

100

3,661

100

3,924

100

주거

주택1)

2,131

65.0

1,699

50.3

1,827

51.3

1,762

48.1

1,920

48.9

아파트2)

771

23.5

752

22.3

720

20.2

798

21.8

774

19.7

원룸·

오피스텔

131

4.0

540

16.0

595

16.7

756

20.7

769

19.6

비주거

여관·모텔

63

1.9

123

3.6

163

4.6

137

3.7

163

4.2

고시원

62

1.9

78

2.3

174

4.9

143

3.9

189

4.8

기타3)

121

3.8

186

5.5

80

2.3

65

1.8

109

2.8


* 1) 주택: 단독, 다세대, 연립, 빌라 / 2) 아파트: 임대, 일반, 주상복합 / 3) 기숙사, 컨테이너, 폐가 등


  고독사 현장을 최초로 발견(신고)한 사람은 임대인·경비원 등인 경우가 1,692명(43.1%)으로 가장 많았고, 가족(1,044명, 26.6%), 이웃주민(470명, 12.0%),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301명, 7.7%), 지인(280명, 7.1%)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임대인 등이나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에 의한 발견 비중은 증가 추세인 반면 가족이나 지인에 의한 발견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에 의한 발견 비중은 2020년 1.7%에서 2024년 7.7%로 약 4.5배 증가했다. 

< 최근 5년간 고독사 최초 발견(신고)자 현황 >         (단위: 명, %)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

%

%

%

%

3,279

100

3,378

100

3,559

100

3,661

100

3,924

100

가족1)

1,141

34.8

1,140

33.8

1,019

28.6

958

26.2

1,044

26.6

임대인 등2)

930

28.4

983

29.1

1,324

37.2

1,263

34.5

1,692

43.1

이웃주민3)

568

17.3

604

17.9

502

14.1

705

19.3

470

12.0

지인4)

476

14.5

524

15.5

394

11.1

379

10.3

280

7.1

보건복지서비스

종사자5)

56

1.7

62

1.8

219

6.2

257

7.0

301

7.7

미상6)

108

3.3

65

1.9

101

2.8

99

2.7

137

3.5


* 1) 부모, 형제·자매, 친인척 등 / 2) 임대인, 경비원, 건물관리자, 택배기사 등 / 3) 이·통장 등 / 4) 선·후배 등 / 5)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생활지원사 등 / 6) 경찰청 형사사법정보에 최초발견(신고)자 정보가 없는 경우


< 2024년 고독사 발생 장소 및 최초 발견(신고)자 비중 >          (단위: %)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4년 13.4%(526명)로 2023년 14.1%(516명)에 비해 감소하였다. 한편 2024년 연령대별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의 비중은 20대 이하(57.4%), 30대(43.3%), 40대(25.7%), 50대(13.5%) 순으로 2023년과 유사하게 연령대가 낮을수록 자살로 인한 고독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2023년·2024년 연령대별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 현황 >   (단위: 명, %)


구 분

2023

2024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A)

전체 고독사 사망자(B)

연령대별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 비중(A/B*100)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A)

전체 고독사 사망자(B)

연령대별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자 비중(A/B*100)

516

3,661

14.1

526

3,924

13.4

20대이하

25

42

59.5

27

47

57.4

30

72

166

43.4

74

171

43.3

40

129

502

25.7

131

509

25.7

50

155

1,097

14.1

161

1,197

13.5

60

95

1,146

8.3

105

1,271

8.3

70

23

470

4.9

19

497

3.8

80대이상

14

205

6.8

4

202

2.0

미상

3

33

9.1

5

30

16.7



  고독사 사망자 중 사망 전 1년간 기초생활보장수급을 받았던 이력이 있는 경우는 2024년 1,462명(39.1%)로 기초생활보장수급 대상자 비중은 2020년부터 최근 5년간 약 40% 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최근 5년간 고독사 사망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 대상자 현황 >  (단위: 명,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

%

%

%

%

기초생활보장수급 대상자

1,148

41.9

1,300

44.3

1,301

39.7

1,413

41.4

1,462

39.1

기초생활보장수급 비대상자

1,594

58.1

1,632

55.7

1,977

60.3

2,000

58.6

2,275

60.9

미상

537

-

446

-

281

-

248

-

187

-

3,279

100

3,378

100

3,559

100

3,661

100

3,924

100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비율은 미상을 제외한 사회보장급여기록 상 신원이 확인된 대상자를 모수로 산출

  

  전문가들은 2024년 고독사 사망자의 증가에는 1인 가구의 증가와 고령화 외에도 디지털 기술 발달로 인한 대면 관계의 질 약화, 단절된 주거환경, 지역 공동체 의식의 약화,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배달 노동·플랫폼 노동 위주의 일자리 구조 변화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였다. 


  박재만 복지행정지원관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고독사를 예방하고 더 나아가 고독사의 주요 원인인 사회적 고립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생애주기별 사회적 고립 대응'이 국정과제로 선정되었다"라고 말하고,


  "이에 따라 2026년부터는 사회적 고립까지 정책 대상을 확대하여 사회적 고립 위험군을 조기에 발굴하고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사회적 고립 예방 정책 추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26년에 "사회적 고립 실태조사"를 시행하여 사회적 고립 위험군의 규모와 주요 특성, 욕구, 필요 서비스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2026년에는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사업 대상을 사회적 고립 위험군으로 확대하는 한편, 사업 유형을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청년·중장년·노인에 대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실업·사회적 관계 단절 등의 문제를 가지는 50대~60대 중장년을 대상으로 일자리 정보 제공을 통한 취업 지원, 중장년 자조모임 등 사회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운영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고독사 및 사회적 고립 위험군을 조기 발굴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상담·위험군 판정·사례관리 등 업무를 지원하는 고독사위기대응시스템도 2026년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고독사 및 사회적 고립 위험군 발굴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사회 민간 인적 안전망에 지역주민과 접촉이 많고 고독사 사망자의 최초 발견 비중이 높은 임대인·경비원·건물관리자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위험군 발굴조사 시행 시 다세대주택, 원룸·오피스텔, 여관·모텔 및 고시원 밀집 지역 등 고독사가 주로 발생하는 장소 위주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붙임> 1.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개요

             2. 사회적 고립 예방 정책 추진계획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