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KAIST 이효철 교수팀, 분자 캠코더 개발 논문 사이언스 誌 게재

용액에 빛을 쪼인 후 일어나는 복잡한 분자들의 움직임 실시간 측정

교수임용 2년 만에 사이언스지 논문게재는 세계적으로 드문 일

사이언스지 심사위원들도 관련 실험과 분석결과에 감탄

2005.07.15 과학기술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KAIST 이효철 교수팀, 분자 캠코더 개발 논문 사이언스 誌에 게재

[SET_IMAGE]1,large,right[/SET_IMAGE]KAIST 화학과 이효철(李效澈, 33) 교수팀이 "움직이는 분자 구조를 실시간으로 규명"하는데 성공, 관련 논문이 세계적인 저널인 사이언스誌 7월 15일(금)자에 게재됐다.

논문의 제목은 "용액상의 전이 분자 구조의 극초단 엑스선 회절(Ultrafast X-ray Diffraction of Transient Molecular Structures in Solution)"로 사이언스지에 게재될 논문들 중 특히 중요한 발견을 미리 온라인에 올리는 사이언스 온라인 익스프레스(Science Online Express) 인터넷 판에 발표됐다.

용액 중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분자들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작고도 매우 빨라서 보통의 카메라나 현미경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컵에 담긴 커피 한잔에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엄청나게 많은 수의 물 분자들과 커피분자들이 춤추고 있다. 대부분의 화학반응이 이와 같은 용액에서 일어나는데, 지금까지는 용액에서 일어나는 미시세계, 즉 나노보다도 작은 분자의 정확한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李 교수팀은 이러한 용액에 빛을 쪼인 후 일어나는 복잡한 분자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해, 아주 짧은 엑스선 펄스(X-ray pulse, 회절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빛)를 용액에 보낸 후 거기서 나오는 회절 신호(빛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나 분자에 반사되어 나오는 신호)를 시간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분자들의 움직임을 잡아내는데 성공한 것이다. 쉽게 말하면 엑스선 펄스가 분자의 움직임을 찍어내는 분자 캠코더의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사용된 엑스선 펄스는 0.1 나노미터의 파장을 가지고 100억분의 1초의 시간길이를 가진 아주 짧은 광원이다. 파장이 아주 짧기 때문에 아주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이고 시간길이가 아주 짧기 때문에 분자의 빠른 움직임을 포착해 낼 수 있는 캠코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李 교수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이 연구는 결정(crystal)에만 응용되어 오던 엑스선 회절법을 용액에 응용하였는데, 1년이 넘는 끈질긴 반복 실험들과 창의적인 신호분석을 통해, 결정과는 달리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는 용액에서는 엑스선 회절 신호로부터 분자구조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기존의 상식을 깼다.[SET_IMAGE]2,large,center[/SET_IMAGE]

이 논문을 사이언스지에 투고 했을 때 심사위원들은 실험과 분석 결과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는데, 그 이유는 기존의 상식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것을 실험으로 증명했기 때문이었다. 이 기술이 더욱더 발전하면 나노물질과 단백질에도 응용 가능하므로 나노기술(NT)과 바이오기술(BT) 분야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항에 있는 제3세대 가속기에 이어 차세대 광원으로 건설이 논의되고 있는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XFEL)가 한국에서도 성공적으로 가동되면 현재 발표된 데이터보다 1,000배정도 더 좋은 획기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KAIST 정착 연구비, BK21 사업, 젊은 과학자 연구비 등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었다. 李 교수는 지난 2003년 8월부터 KAIST 화학과에서 조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시작했다. 李 교수처럼 교수임용 2년 만에 사이언스지에 단독 책임저자로 게재되는 것은 한국에서는 처음이고 외국에서도 흔치 않다. 이 연구에 같이 참여한 연구원은 김태규(金太圭, 29, KAIST출신) 박사와 이재혁(李宰赫, 22) 석사과정 학생이다.

“이 자료는 과학기술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목록정보자문위원회 개최…상품검색시스템 고도화 의견교환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