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GLACIER 회의 발언문(영문)

2015.09.01 외교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Thank you, Mr. Chair,
Secretary Kerry,
Fellow Ministers,
Ladies and gentlemen,

Today, we have gathered in Anchorage, a place not at the ends of the earth, but at the front line of global climate change. Last year, Secretary Kerry memorably described climate change as the “world’s most fearsome WMD.” I fully agree, and would say that the problem now is climate change is no longer like “WMD in slow motion.” That’s why I am here today, the first Korean Foreign Minister to attend a conference on the Arctic.

I thank Secretary Kerry for convening this important conference and Minister Brende for chairing this session.

Let me start with the topic of Dr. Brigham-Grette’s presentation, “Global connections to changes in the Arctic.” As inscribed in the Anchorage Museum, where we met yesterday, (quote) “To many, Alaska may seem in the middle of nowhere, but in reality, it is in the middle of everywhere” (unquote).

Coming from Korea, I would like to highlight linkages between climate change in the Arctic and severe winter weather patterns in mid-latitude regions. Today, Korean scientists have released a very important study showing that “severe winters across East Asia are associated with anomalous warmth in the Barents-Kara Sea region, whereas severe winters over North America are related to anomalous warmth in the East Siberian-Chukchi (축치) Sea region.”

This is why non-Arctic countries also have an interest in understanding this region’s changes. In the case of Korea, the “Dasan" research station in Ny-Alesund(니알슨), Norway, the observation nodes for circum-Arctic permafrost and the research icebreaker “Araon” are serving as bases for Korean scientists.

Just a few moments ago, we heard Dr. Bodin’s presentation on the unique features of black carbon and methane affecting the climate abnormalities in the Arctic. In this regard, although Korea is an observer state, we are currently preparing a national report for submission to the Arctic Council.

Next, this conference is being held in the run-up to the COP21 as Secretary Kerry mentioned at the outset. As such, it should give momentum to the success of that historic conference. That is why President Obama will be here later today.

In my view, for the COP21’s success, two points are especially salient. First is galvaniz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olitical resolve. In this regard, the recent pledg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on climate change are fine examples. I hope that G20 countries which have yet to submit their targets will take prompt action.

Second is supporting developing countries to combat climate change. The fact that Korea is hosting the Green Climate Fund and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shows my government’s strong resolve to tackle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with funding and technical assistance, respectively.

I would like to touch on striking a balance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like Senator Murkowski emphasized yesterday. I believe that responding to challenges while also seizing new opportunities is doable.

My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ever, has designated the Arctic as a major policy area, with the vision of a “sustainable future for the Arctic.” The Arctic is also an important component of my government’s Eurasia Initiative, a strategy to enhance connectivity by linking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Eurasia through railways, roads, and sea routes.

In particular, the opening of the Arctic Sea will inevitably generate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Recently, Korea, the U.S. and Russia cooperated in a search and rescue operation in extreme conditions for a Korean vessel near the Arctic Ocean. Such cooperation for crisis management will continue to grow in importance.

 

Ladies and gentlemen,

For Korea, the acceptance to the Arctic Council as an observer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Korea is committed to working closely with the Arctic Council in preserving the Arctic’s pristine environment and securing its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vein, I am pleased to support the “Joint Statement on Climate Change and the Arctic.” My sincere hope is that the spirit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e have witnessed here at the GLACIER Conference will also prevail in Paris in December. Thank you.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GLACIER 회의 발언문(국문)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