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장관, 주한 중남미 외교단 차담회 환영사

2024.05.21 외교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Your Excellency, Athanasio Kosmas Sifaki, Ambassador of Panama, And fellow Ambassadors from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Ladies and gentlemen,

Buenas tardes, Boa tarde,

I am pleased to welcome everyone here this afternoon.

I had the pleasure of speaking with some of you at the lecture series organized by the Korea National Diplomatic Academy last month.

But this is the first time I’m meeting with chiefs of mission from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as a group.

As a matter of fact, this is the first in a series of receptions dedicated to bringing together the Foreign Ministry leadership with each regional diplomatic corps.

It is fitting that we should start with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since - after all - the initiative was proposed by GRULAC.

In this regard, I wish to acknowledge Ambassador Kosmas’ role in putting forth this great idea.

During the 5 years he has spent here, he has been unstinting not only in promoting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Panama but also bringing Korea and Latin America closer together.
I am sure I speak for all of us when I say that you will be deeply missed.
I wish you the best of luck in your future endeavors.

Excellencies,
Korea’s relations with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started when Korean migrants first moved to Mexico in 1905.
In the ensuing 120 years, the people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ave demonstrated strong bonds of friendship and solidarity with the Korean people.

In 1950,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Colombia sent troops to fight in defense of freedom and thousands of Mexicans also came to fight alongside us.
Moreover, every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country at the time 20 in total- provided material assistance to Korea.
In 1991,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ates supported Korea’s membership to the United Nations.
Furthermore, as champions of nuclear-free zones, the nations of the region have consistently endorsed our efforts to denuclearize and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ave also helped provide an economic springboard for Korea’s development into one of the largest trading countries in the world.
Korea’s first comprehensive Free Trade Agreement was signed with Chile. The Korea-Chile FTA would serve as a benchmark for Korea’s subsequent trade agreements with other countries.
Korea now has FTAs with 8 countries in the region and has concluded additional FTA negotiations with Ecuador and Guatemala as well.

Insofar as past is prologue, we can say with confidence that our future together is even more promising.
Indeed, Korea’s economic connectivity with the region is growing stronger by the day.
Our cooperation is going beyond a complementary trade relationship defined by the exchange of manufactured goods and raw materials.
Today, our partnership is increasingly encompassing state-of-the art domains such as defense industry, aerospace, and electric and hydrogen vehicles.

Our collaboration is also expanding into the multilateral arena.
A key example is the WTO ‘Investment Facilitation for Development Agreement,’ which was concluded last July. This landmark achievement was made possible under the co-chairmanship of Korea and Chile.

This will also be the year of Latin America for plurilateral diplomacy, as Peru and Brazil will be hosting the APEC and G20 Summits, respectively, later this year.
I, for one, came away from the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held in Rio earlier this year impressed by both the logistical and substantive preparations of our Brazilian hosts.
Korea stands ready to contribute proactively to ensure the success of both gatherings.

More recently, Korea and Cuba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We did so on Valentine’s Day, although I can assure you that we didn’t deliberately choose Valentine’s Day. ^^
This consummated Korea’s diplomatic relations with all 33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ates.

All of these developments together will further enrich the discussions and outcomes of the series of partnership events between our two sides scheduled for this year:
namely, the Korea-Latin America Future Cooperation Forum in June; the Korea-Central America Special Roundtable and the Korea-Caribbean High-Level Forum later in the year.

I trust that all of you will be unstinting in doing your part so that these events are as fruitful and mutually beneficial as possible.
The Foreign Ministry will do its utmost to ensure their success as well.
I thank everyone once again for being here today.

Muchas Gracias.
Muito Obrigado.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제59회 발명의 날 기념식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