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미일 북한인권 행사’ 3자회의 개회사

2024.10.18 통일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여러분 반갑습니다.

대한민국 통일부장관 김영호입니다.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자유와 인권의 가치에 기반한 3국의 연대가 나날이 무르익어가는 가운데 한미일이 처음으로 공동 북한인권 행사를 개최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At a time when the trilateral solidarity of our three nations, based on the values of freedom and human rights, is growing ever stronger,
I find it deeply meaningful that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holding the first-ever joint event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먼저 바쁘신 와중에도 북한인권에 관한 3자회의 에 참석해주신 모든 참석자분들께 환영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First and foremost, I would like to extend a warm welcome and express my gratitude to all participants who have joined the ‘Trilateral Meeting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despite your busy schedules.

한미일 3국의 정상은 지난 해 8월 캠프 데이비드 정상선언을 통해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한 협력 강화와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문제의 조속한 해결 의지를 천명하였습니다.
Last August, the leader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enhancing cooperation to promot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to ly resolving the issues of abductees, detainees, and prisoners of war through the Joint Statement at Camp David Summit.

오늘 이 자리는 그러한 의지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3자 공조와 행동(action)의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Today’s event marks an important first step in realizing that commitment through trilateral cooperation and action.

오늘 행사를 통해 가장 보편적인 기본 권리에서조차 철저히 소외된 북한 주민들에게 희망의 메시지와 실질적인 인권증진 방안이 제시되기를 기대합니다.
I hope that this event will offer a message of hope to the North Korean people, who have been thoroughly deprived of even the most basic universal rights, and that it will present practical ways to improv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국제사회는 지난 수십년간 북한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대를 지속해 왔습니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in solidarity for decades to address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

유엔은 20년 이상 ‘북한인권결의’를 채택해오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들은 북한인권법 을 제정하였습니다.
For over 20 years, the United Nations has adopted resolution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key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enacted their own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s.’

2014년에는 COI 보고서 발간을 통해 북한인권 문제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In 2014, the COI report provid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address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COI 보고서에서 적시됐던 자의적 구금, 고문, 처형 등과 같은 극단적 인권침해는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북한 정권의 주도 하에 여전히 자행되고 있습니다.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extreme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arbitrary detention, torture, and execution highlighted in the COI report continue to be perpetrated under the North Korean regime, even a decade later.

모든 대화와 소통의 빗장을 걸어잠근 북한정권으로 인해 한반도 휴전선 북쪽은 오늘날까지도 인권의 ‘마의 삼각지대(devil’s triangle)’로 남아 있습니다.
With the North Korean regime having shut off all avenues of dialogue and communication, the area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s Demilitarized Zone remains, to this day, a ‘devil’s triangle’ of human rights abuses.

이러한 문제들을 방치한다면, 가해자들을 더욱 대담해질 것이며 북한 주민의 인권은 더욱 악화될 것입니다.
If we turn a blind eye to these issues, the perpetrators will only become more brazen, 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for the North Korean people will further deteriorate.

우리는 지속적인 책임 규명을 통해 어떠한 인권침해 행위도 결코 용납될 수 없으며 세계 어느 곳도 가해자들의 도피처가 될 수 없음을 강력하게 경고해야 합니다.
We must continue to ensure accountability, sending a strong warning that no act of human rights abuse will be tolerated, and that there will be no safe haven anywhere in the world for the perpetrators.

또한, 북한 주민들이 가진 자유를 향한 열망에 부응하여 주민들이 외부세계의 정보와 진실을 접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합니다.
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North Korean people’s yearning for freedom, we must actively seek ways for them to access information and the truth from the outside world.

나아가 대한민국의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일본의 납치자 문제의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북한 정권이 북한 주민뿐만 아니라 대한민국과 일본 국민의 인권도 심각하게 침해해왔음을 국제사회에 알려나가야 할 것입니다.
We must also tirelessly strive to resolve the issues of South Korean abductees, detainees, and prisoners of war, and Japan’s abductees, while raising international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has severely violated the human rights of not only its own people but also those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가치 기반 통일 전략인 8.15 통일 독트린 을 발표하며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의 비전을 명확히 제시하였습니다.

Recently, the Republic of Korea’s government announced the ‘August 15th Unification Doctrine,’ a value-based strategy for unification, clearly outlining the vision of a ‘Unified Korea based on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한반도의 통일은 자유가 박탈되고 빈곤과 기아로 고통받는 북녘땅으로 우리가 누리는 자유가 확장되는 일입니다.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means extending the freedom we enjoy to the northern regions, where freedom has been stripped away and people suffer from poverty and hunger.

국제사회의 견고한 지지와 관심만이 북한 주민들의 현재와 미래를 바꾸어 나갈 수 있습니다.
Only with the firm support and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an we change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North Korean people.

오늘 회의를 시작으로 한반도의 모든 구성원들이 자유와 인권을 온전히 누리는 ‘통일 대한민국’에 대한 지지가 국제사회 전반에 확산되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I hope that today’s meeting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gaining broad international support for a ‘Unified Korea’ where all members of the Korean Peninsula fully enjoy freedom and human rights.

감사합니다.
Thank you.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한미일 북한인권 행사’ 생존자와의 오픈세션 개회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