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미일 북한인권 행사’ 생존자와의 오픈세션 개회사

2024.10.18 통일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여러분 반갑습니다. 대한민국 통일부장관 김영호입니다.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먼저 지금 이 순간에도 심각한 인권침해에 고통받고 있는 북한주민과 인권 피해자들을 위해 이 자리에 나서주신 증언자분들의 용기에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First,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respect and gratitude to the witnesses here today for their courage in speaking up on behalf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human rights victims who continue to suffer from grave human rights abuses at this very moment.

소중한 자리를 마련해 주신 커트 캠벨 부장관님, 좋은 개회사를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 would also like to thank Deputy Secretary Kurt Campbell for his opening remarks and for organizing this important gathering.

오늘 이 시간을 통해 우리가 듣게 될 이야기는 한 개인의 인간적 존엄성이 파괴되었던 너무나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이야기입니다.
The stories we will hear today are heartbreaking accounts of the destruction of human dignity―stories that are painful and difficult to listen to.

그러나 결코 외면해서는 안되며, 우리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만하는 사실들입니다.
Yet, they are truths we cannot afford to ignore and facts that all of us must come to know.

북한은 지구상에서 가장 폐쇄적인 국가 중 하나로 외부의 접근이 극도로 제약되어 있습니다.
North Korea remains one of the most closed-off countries in the world, with external access severely limited.

따라서 북한인권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생존자 분들의 증언입니다.
Therefore, the only wa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is through the testimony of survivors.

북한인권 상황에 대한 진실을 있는 그대로 낱낱이 외부세계에 전하는 생존자의 목소리는, 국제사회에 북한인권의 심각성을 생생히 환기시키고 연대하고 행동하는 동력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The voices of survivors who share the unvarnished truth about North Korean human rights have served as a powerful reminder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seriousness of this issue, and they have fueled solidarity and action.

최근 북한은 휴전선 인근에 장벽을 세우는 ‘요새화 작업’을 통해 고립과 폐쇄를 위한 물리적 조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Recently, North Korea has reinforced its physical isolation by building barrier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as part of its so-called “fortification” efforts.

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 과 같은 악법을 제정하며 주민들의 정신에 대한 완전한 통제와 지배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Internally, the regime has passed repressive laws like the “Law on Rejecting Reactionary Culture and Ideology” in an attempt to exert total control over the minds of its people.

이러한 물리적·정신적 장벽은 주민들의 자유세계에 대한 동경과 갈망을 두려워한 ‘북한판 베를린 장벽’이라 할 것입니다.
These physical and mental barriers reflect the regime’s fear of the people’s longing for the free world―a kind of “Berlin Wall of North Korea.”

그러나 우리는 이미 역사를 통해 그 장벽의 결말이 무엇이었는지를 알고 있습니다.
But we know from history how such walls eventually fall.

아무리 그 장벽이 높고 견고해보일지라도 자유와 통일을 향한 주민들의 깊은 마음 속 열망에까지 장벽을 설치할 수는 없습니다.
No matter how high or strong the walls may seem, they cannot keep out the deep desire for freedom and unification in the hearts of the North Korean people.

결국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동독에 자유가 찾아왔듯이 북한 주민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북한 정권의 그 어떠한 장벽도 종국에는 실패한 역사의 잔재로 남을 것입니다.
Just as the Berlin Wall eventually crumbled and brought freedom to East Germany, the barriers erected by the North Korean regime to suppress and control its people will, in the end, become remnants of a failed regime.

냉전의 시기 베를린 장벽 앞에서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라고, 레이건 대통령은 “이 장벽을 허무시오”라고 외쳤습니다.
During the Cold War, in front of the Berlin Wall, President John F. Kennedy famously declared, “I am a Berliner,” and President Reagan demanded, “Tear down this wall.”

여러분들의 용기있는 증언은 ‘북한판 베를린 장벽‘에 작은 균열을 내고 이 틈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희망의 빛이 비춰질 것입니다.
Your courageous testimonies today will create cracks in the “Berlin Wall of North Korea,” and through these cracks, the light of hope will shine on the North Korean people.

북한 당국이 정권 유지를 위해 억압과 고립의 장벽을 더욱 높게 올릴수록 국제사회는 북한 주민들에게 자유의 목소리가 닿을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 나아가야 합니다.
The more the North Korean regime builds higher walls of oppression and isolation to maintain its power, the mo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come together to ensure that the voice of freedom reaches the North Korean people.

오늘 이 자리가 북한의 잘못된 행위를 바로잡고 이러한 불행이 다시는 재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다짐과 협력의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I hope today’s gathering serves as a moment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affirm its commitment to rectifying the wrongs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o preventing such tragedies from happening again.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인권 피해자의 희생과 고통을 단 한순간도 잊은적이 없습니다.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never forgotten the sacrifices and suffering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victims, not even for a moment.

북한 주민을 비롯한 인권 피해자분들의 권리구제와 명예회복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연대해 나가겠습니다.
We will continue to stand in solidarit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tore their rights and dignity.

다시 한 번 뜻깊은 행사를 준비해주신 커트 켐벨 부장관님과 야마다 시게오 대사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Once again, I extend my deepest thanks to Deputy Secretary Kurt Campbell and Ambassador Shigeo Yamada
all those involved in organizing this meaningful event.

감사합니다.
Thank you.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한미일 북한인권 행사’ 생존자와의 오픈세션 국가별 발언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