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4 국제 한반도 포럼(GKF) 환영사(한영)

2024.11.20 통일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대한민국 통일부장관 김영호입니다.
Distinguished guests, ladies and gentlemen, my name is Kim Yungho, Minister of Unif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국제 한반도 포럼 의 첫 국외 세미나를 이 곳 워싱턴 D.C에서 한미일 3국의 연구기관과 함께 개최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It is deeply meaningful to host the first overseas seminar of the “Global Korea Forum” (GKF) here in Washington, D.C.,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 institutions from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조지워싱턴대는 2017년 한국학연구소를 개소하며 미국 내 한국학 연구 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I understand th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since establishing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 2017.

앞으로도 조지워싱턴대가 한국학을 넘어 한반도 통일 문제에 있어서도 학술적 리더십을 발휘해주시기를 희망합니다.
I hope that GWU will continue to provide academic leadership not only in Korean studies but also in matters related to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오늘 행사를 위해 수고해주신 셀레스티 애링턴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장님, 니콜라스 보노타스 조지워싱턴대 엘리엇 스쿨 부학장님,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동아시아 연구소장님, 우병원 연세대 정치외교연구소장님과 관계자 여러분,
I would like to extend my heartfelt thanks to
Professor Celeste Arrington,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Professor Nicholas Vonortas, Associate Dean of the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Professor Junya Nishino,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at Keio University; and
Professor Byung-won Woo,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at Yonsei University, along with all those who contributed to organizing today’s event.

그리고 귀중한 발표와 토론을 준비해주신 전문가 여러분들께도 각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I would also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the experts who have prepared valuable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국제사회는 미중 전략경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복합위기의 전환기적 상황을 겪고 있습니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xperiencing a transformative period marked by compounded crises stemming from the U.S.-China strategic rivalry and the prolonged Russia-Ukraine war.

북한은 국제정세의 불안정성을 틈타 명분없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청년들을 내몰고 ICBM 발사 등 고강도 도발을 자행하며 규범기반 국제질서를 흔들고 있습니다.
North Korea, exploiting global instability, has driven its youth into the unjust war in Ukraine and conducted high-intensity provocations such as launching ICBMs, thereby undermining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이러한 북한의 반인권적이고 반평화적 행태는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입니다.
Such actions, characterized by human rights violations and a disregard for peace, pose a direct threat to global peace and security.

국제사회는 북한 정권의 무모한 위협과 도발, 북한 주민을 향한 야만적 폭거에 단호히 대처해 나가야 합니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respond firmly to North Korea’s reckless threats and provocations, as well as the regime’s barbaric acts against its own people.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장 강력한 우방인 한미일 3국의 연대가 중요합니다.
For this, the solidarity among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our strongest allies―is of utmost importance.

한국과 미국은 70년 넘게 이어온 한미동맹의 강력한 신뢰를 기반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와 확장 억제 강화를 통해 북한의 핵 위협과 군사적 도발에 대응해오고 있습니다.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built a strong and trusted alliance over the past 70 years, standing united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and military provocations, with the shared goal of achieving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enhancing extended deterrence.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출범이 예정되어 있습니다만, 굳건한 동맹과 하나된 대응은 흔들림 없이 지속될 것입니다.
Even with the upcoming transition to a new U.S. administration, our steadfast alliance and united response will remain unwavering.

또한 한국과 미국, 일본은 작년 8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라는 새로운 역사를 통해 북핵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이슈에 대해 협력의 외연과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Moreover,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deepened and expanded their cooperation on various issues, inclu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s highlighted during the Camp David Summit in August last year.

3국의 진정한 연대와 긴밀한 파트너십이 한반도와 인태지역, 나아가 세계의 안보와 번영을 증진시킬 것이라 확신합니다.
I am confident that the genuine solidarity and close partnership among our three n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security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ndo-Pacific, and the world.

지난 8월, 윤석열 대통령께서는 ‘자유통일’을 통해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겠다는 대한민국 정부의 의지와 전략을 담아 8.15 통일 독트린 을 발표하셨습니다.
In August this year, President Yoon Suk-yeol announced the “August 15th Unification Doctrine,” articulating Republic of Korea’s commitment and strategy to contribute to global peace and prosperity through “Unification based on Freedom”

북한 주민들에게는 정보접근권을 확대함으로써 자유 통일의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This vision includes expanding access to information for North Korean residents to instill hope for freedom and unification,

북한 정권에는 비핵화의 단호한 원칙 아래 대화와 협력을 통한 남북관계의 실질적 진전을 제안하는 현실적 전략과 비전이 담겨 있습니다.
while proposing meaningful progress in inter-Korean relations through dialogue and cooperation under the firm principle of denuclearization.

대한민국이 추구하는 ‘자유 통일’이야말로 북한의 비핵화를 통한 세계 평화의 달성과 북한 주민들의 자유와 인권 회복의 궁극적 해법입니다.
The “Unification based on Freedom” pursu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the ultimate solution to achieving global peace through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restoring the freedom and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citizens.

대한민국 정부는 앞으로도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새로운 국제협력의 창을 열어 나갈 것입니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ll continue to open new avenue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alize the future of a unified Korea based on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특히 오늘 GKF를 한반도 자유통일 미래를 위한 국제연대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In particular, we will develop the GKF into a platform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toward the future of a free and unified Korean Peninsula.

다시 한번 오늘 포럼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대한민국이 걸어가는 ‘자유 통일’의 여정에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적극적 지지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Again, I extend my gratitude to everyone participating in today’s forum and request the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s we journey toward the goal of “Unification based on Freedom.”

감사합니다.
Thank you.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포스코 사회공헌사업 첨단 보조기구 전달식 인사말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