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환경부 장관 김완섭입니다.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이니셔티브, SPICE[스파이스*]를 시작하는 자리에 여러분과 함께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 Sustainable Plastics Initiative for Circular Economy
바쁘신 와중에도 참석해주신 부산광역시 박형준 시장님,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김상협 사무총장님, 유엔환경계획의 Sheila Aggarwal-Khan[쉴라 아가르왈-칸] 국장님, 산업계 대표이사분들과 관계기관 대표님 이하 임원진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멀리 해외에서 발걸음 해주신 앨런맥아더재단 Rob Opsomer[롭 옵소머] 국장님, 세계경제포럼 Clemence Schmid[클레멘스 슈미드] 국장님, J4CE[제이포시이] 아오키-스즈키 치카 선임 연구원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플라스틱으로 우리의 삶은 풍요로워졌지만, 지구는 그로 인한 오염으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실제로 태평양에는 남한 면적의 16배 크기인 160만 ㎢의 플라스틱 섬*이 떠다니고 있습니다.
* great pacific garbage patch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과 소비, 처리 전 과정에서 감량과 함께 순환이용을 촉진하는 순환경제는 우리가 반드시 가야 할 길로 꼽힙니다.
그러나 수십 년간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쉽게 쓰고 쉽게 버리는 삶의 방식을 한 가지 처방으로 단숨에 바꾸기는 어렵습니다.
이에 오늘,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의 최종협상이라는 역사적인 순간에 정부, 지자체, 산업계, 국제기구 등 다양한 키-플레이어(key player)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여기 계신 기업들은 우리나라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전 주기에 걸친 대표주자들입니다.
그간 재생원료 산업에 가장 먼저 뛰어들고, 리필·재사용 문화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추진해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 환경부는 이러한 업계의 도전과 노력이 보다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연구개발 과제 등 협력사업을 발굴하여 지방정부와 함께 적극 뒷받침하겠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협의체와 달리, 국제기구와 해외단체에서도 참여해주셨습니다.
향후 최신동향 및 우수사례를 상호 공유하고 협력할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안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Let’s SPICE up the Global Circular Economy together!
마무리하며, 세계적인 지구생물학자 호프 자런의 책 제목을 인용하겠습니다.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저는 이렇게 답변합니다.
“지구야, 변하지 마. 내가 변할게.”*
* Dear Earth, don't you change, ‘cause I will!
기업의 창의, 혁신과 국제기구의 협력 정신으로 변화를 함께 이끌 이니셔티브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및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