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 폐회식 발언문

2024.12.01 외교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National Statement by H.E. Cho Tae-yul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Plenary, INC-5
Busan, December 1, 202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ank you,
Mr. Chairman,

Let me begin by acknowledging the significant progress we have made over the past week in Busan. The discussions have been robust, the debates productive.

To the negotiators who have worked tirelessly and shown unparalleled dedication, I commend your efforts. Your expertise and determination have brought us this far.

Over the past days, we have made incredible strides. Together, we have navigated through complex issues and deeply entrenched positions, always keeping in sight the shared goal that unites us: to forge an international convention that will combat plastic pollution and safeguard our planet for generations to come.

Most importantly, we have built a strong foundation for further convergence among countries. This is something we should all take pride in. Numbers speak for themselves. Through the course of intense negotiation and compromise, we reduced a compilation text that ran over 70 pages into 20-some pages.

It is essential that we do not give up the shared goal of creating a legally binding instrument to tackle plastic pollution. We must build on what we have negotiated so far. We have made substantial strides, and we cannot afford to lose the ground we have gained.

Let me be clear: it is not acceptable to revert to the compilation text. We cannot afford to step backward. The progress we have made is real, and it is the product of hard work, engagement, and a collective commitment to finding solutions.
We believe the Chair’s latest text, in particular, serves as a sound basis of negotiations moving forward.

The text embodies the collective efforts of all of us, and we believe it duly reflects outcome of negotiations so far and represents a balanced approach that sets the stage for the next steps in our work.

Let us remember that our goal of establishing a global plastics treaty will only be met when we recognize that compromise is not a sign of weakness but of strength. It reflects our ability to balance diverse priorities and reconcile competing interests for the greater good.

I urge each of you to demonstrate the courage to make difficult concessions and the vision to see beyond immediate challenges to the immense possibilities that lie ahead. Flexibility and pragmatism must guide our actions. We cannot afford to let perfection become the enemy of progress.

Most importantly, let us not lose sight of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this moment. The world faces a crisis of plastic pollution that threatens ecosystems, livelihoods, and the health of communities across the globe.

The decisions we make as UN member states will reverberate far beyond this room, shaping the future of our planet and the legacy we leave behind.

Let history remember us as leaders who ultimately rose above differences, who chose cooperation over conflict, and who had the foresight to act decisively when the stakes were at their highest.

In closing, I would like to once again express my heartfelt gratitude to all delegates for your valuable contributions to these negotiations. Your efforts bring us closer to a unified global solution to plastic pollution.

To the leaders and decision-makers here in Busan, your wisdom and guidance are needed more than ever to inspire consensus and propel us toward a successful outcome in the future.

Let us remain steadfast in our resolve to create a world free of plastic pollution, ensuring a healthier planet for generations to come. /END/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서른 번째, 다시 뛰는 소상공인·자영업자, 활력 넘치는 골목상권 - 모두 발언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