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지난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정부는 신속한 사고 수습과 피해자 지원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런 참담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사랑하는 환경가족 여러분!
2025년, 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지난 7월 25일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받고
여러분과 함께해온 5개월의 시간을 되짚어봤습니다.
먼저 떠오르는 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던 폭염과 폭우, 폭설입니다.
지난해는 우리 모두에게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게 해준 해였습니다.
이에 우리는, 극한 호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천 정비에 투자를 확대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홍수 예보 등을 통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착실히 이행하고,
녹색산업 해외진출도 적극 지원해
작년 수주·수출 실적 22조 7천억원도 달성했습니다.
지난 한해 직원 여러분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주셨습니다.
이제는 우리가 추진해왔던 일들을 잘 마무리해
국민께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고,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시작해야 할 때입니다.
환경가족 여러분,
올해는 환경처에서 환경부로 승격된지
31년이 되는 해입니다.
예로부터 나이 서른을 “이립(而立)”이라 칭하며,
마음과 뜻을 확고히 하고 다시 도약하는 시기라 했습니다.
과거 30년, 환경부는 환경오염관리 역할에 매진해왔습니다.
기후 위기시대, 환경부의 새로운 30년은
기후변화 대응 주무부처로서 역할을 다하는
“기후” 환경부로 변모해야 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업무 방향을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선, 기후대응 컨트롤타워로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범정부 기후대책을 새롭게 짜겠습니다.
기후변화는 안전, 산업, 물가 등 사회·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범정부 차원의 민생문제입니다.
극한 기후에 대비하여 홍수·가뭄 대응 인프라를 정비하고
폭염·한파 대비 기후취약계층 보호시설을 확대하겠습니다.
기후물가 대응과 기후보험 확대도 시급합니다.
국민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대책을 마련하고,
속도감있게 이행해 나가야겠습니다.
올해는 국내·외적으로 우리나라가 탄소중립으로 가는
또 하나의 “디딤돌”을 놓는 중요한 해입니다.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국제사회에 제출하고,
헌법소원 후속조치로 2050 장기 감축경로를 법제화해야 합니다.
전문가와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국제사회와 미래세대의 요구에 부응해야 합니다.
도전적인 감축경로를 설정하고
실현가능한 액션플랜을 수립해 나갑시다.
둘째, 환경정책을 규제 중심에서 환경·경제 상생(相生)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나가야 합니다.
환경부와 산업계는 기존의 규제자와 피규제자라는 틀에서 벗어나 민관 거버넌스를 통해 상생관계로 거듭나야 할 것입니다.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탄소경쟁력을 강화해 탄소무역장벽을 넘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해 나가야합니다.
현장 수요와 민간 창의에 기반한 기후 테크를 발굴, 지원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녹색시장이 성장하고
해외 진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