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하는 한인 동포 여러분,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우리는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희생·헌신하신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자 이 자리에 함께하고 있습니다.
먼저, 순국선열들께 무한한 경의를 표하며, 삼가 머리 숙여 명복을 빕니다.
또한, 기념식 준비를 위해 애써주신 <김형> 광복회 호주지회장님, <최용준>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기념식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119년 전 오늘, 을사늑약으로 사실상 일제의 식민지배 하에 놓인 우리 민족은 깊은 절망 속에서 고통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애국선열들께서는 칠흑같은 어둠 속의 별빛처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독립을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이셨습니다.
국내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미주,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힘겹게 삶의 터전을 일구며 모두 하나 되어 독립운동을 전개했습니다.
이같은 열정적인 독립운동에 이사벨라 멘지스,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데이지 호킹 세 분의 호주인 선교사님들께서 뜨거운 인류애로 힘을 보태주었습니다.
부산·경남 지역 최초의 근대 여성교육기관인 일신여학교를 설립하신 선교사님들은 1919년 3월 11일 학생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이끌었습니다.
당시 선교사님들과 학생들이 주도한 만세 시위는 3·1운동이 부산·경남 지역으로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고, 만세시위를 여성들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독립운동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이처럼 우리 독립운동사에서는 호주의 세 분 선교사님들을 비롯한 외국인 독립운동가분들이 큰 역할을 해 주셨습니다.
존경하는 한인 동포 여러분!
내년은 광복 8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순국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독립운동의 역사가 미래로 계승되도록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광복 80주년 사업이 동포 여러분을 포함한 우리 겨레 전체에 큰 울림이 되고, 세계 속의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으로 도약하는데 통합과 발전의 디딤돌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동포 여러분께서도 고국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으로 성원해주시기 바라며, 함께하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2024. 11. 17.
국가보훈부 장관 강정애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및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