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G20 제1차 외교장관회의 세션3 발언문

2025.02.21 외교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Statement by H.E. Cho Tae-yul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Korea
G20 Foreign Ministers' Meeting
Session III: G20 Objectives in 2025: Reflecting on
South Africa's G20 Presidency High-level Deliverables and the Review of the G20@20
Johannesburg, February 21, 2025

Thank you, Minister Lamola.

Dear colleagues,

The conclusion of the first cycle of the G20 in 2025 is not just a symbolic milestone but a timely opportunity for stocktaking.

Borne out of a crisis, the course of the G20's history has been dotted with global challenges.

From navigat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o coordinating respon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forum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stabilizing the global economy.

It has done so by building consensus among member countries representing roughly 1.3 billion people and a combined economic strength of about 3.1 trillion dollars.

But our challenges are becoming more complex, interconnected, and urgent than ever before, even as many multilateral bodies struggle to renew their mandates in the absence of substantial reform.

Even within the G20, we are observing increasing divergence rather than convergence.

If we, the world's leading economies, cannot find common ground, it should not surprise us that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r fora cannot either.

That is why we must reaffirm the G20's credibility as a continuous, predictable, and action-oriented forum.

Under the leadership of South Africa's Presidency, our first task would be to review the first cycle with clear eyes and chart a course for the future, including a roadmap for the future presidencies as noted in the G20 Rio de Janeiro Leaders' Declaration.

In my view, the key priorities and deliverables proposed by South African Presidency are well aligned with those of the Republic of Korea. Let me highlight just a few her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I).

We support the Presidency's proposal to establish a special Task Force on AI to examine frameworks, principles, and guidelines on AI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discourse.

Korea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global discourse on AI, actively shaping conversations across various domains.

In the area of commercial AI, we have leveraged our strengths in AI, digital and semiconductor sectors to engage in AI Summits and other key forums.

Our leadership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adoption of the Seoul Declaration during last year's AI Seoul Summit.

We are also leading discussions in military AI, and have spearheaded efforts to adopt Blueprint for Action, during the 2nd Summit on the Responsible AI in the Military Domain (REAIM) held in Seoul last September.
The Summit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first-ever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on AI in the military domain, led jointly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etherlands, and adopted with overwhelming support last November.

We stand ready to contribute our expertise to the G20's efforts to ensure that innovation in AI delivers global benefits.

Second, Energy Transition.

As AI and other advanced technologies drive growth, they also increase energy demand. As the Presidency noted, achieving green industrialization is our common challenge.

Utilizing diverse carbon-free energy (CFE) sources and shaping international standards can be a viable solution.
Korea has proposed Carbon Free Energy (CFE) Initiative to accelerate the adoption of zero- and low-emission technologies.
We also launched the CFE Global Working Group last October to develop globally recognized standards in this area and we will continue to work with our partners, including Japan and UAE, to facilitate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CFE standards.

Third, Partnership with Africa.

We find that the objectives of the Presidency well reflect the key aspects of the AU's Agenda 2063.

Taking advantage of the first-ever African Presidency of the G20, we must expand the G20's engagement with Africa.

My government's partnership with Africa is anchored in the three pillars of the Korea-Africa Joint Declaration 2024 -- Shared Growth, Sustainability and Solidarity -- which was announced during the first-ever Korea-Africa Summit in Seoul in 2024.

Just this month, as a follow up to the Summit, we hosted the 1st Korea-Africa Critical Minerals Dialogue here in South Africa, reinforcing our commitment to fostering sustainable and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ties.

In line with the themes set by the Presidency, Korea will continue to deepen our partnership with Africa.

Dear colleagues,

This year marks the conclusion of the G20's first cycle and sets the stage for the next 20 years.

As we approach this milestone, the Republic of Korea looks forward to working together with the G20 members to achieve tangible progress on the priorities of the Presidency.


With a firm collective resolve, the G20 can deliver meaningful outcomes for the global community and reaffirm its standing as "the premier forum for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Thank you.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개회사] 제주 글로벌 교육 협력 간담회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