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폴란드 외교장관 공동언론발표문

2025.03.06 외교부 장관
글자크기 설정
목록

Good afternoon, ladies and gentlemen,

It's a privilege for me to be here in Warsaw for my official visit to Poland. Let me first express my gratitude to you, Minister Sikorski, for your kind invitation and warm hospitality.

Over the years, our high-level exchanges, highlighted by the reciprocal visits of our Presidents in 2023 and 2024, have underscored the depth and significance of our partnership.

I am pleased to keep this momentum alive with my own visit today, the first visit in six years and the first official visit in eighteen years by a Korean Foreign Minister.
More than anything else, today's in-depth dialogue reinforced the Korea-Poland Strategic Partnership that is true to its name ours is a relationship of real substance and profound importance.

Our cooperation runs deep and wide, anchored in shared values as well as strategic alignment, and is all the more valuable as we navigate the increasingly turbulent time of drastically changing geopolitical landscape.

It is in this spirit that Minister Sikorski and I have committed to strengthening our collaboration in defense and security, expanding economic ties and enhancing trans-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among other key areas.

(Building a Stronger Defense Partnership)

First, we reaffirmed our steadfast commitment to building a stronger defense partnership.
In 2022, Korea and Poland laid the foundation for an ambitious defense partnership by concluding a $44.2 billion defense framework agreement, followed by the first set of executive contracts.

This agreement has set a new benchmark in our bilateral relations, underscoring our deep strategic alignment in the areas of defense and security.

Currently, we are working on the second set of executive contracts.

Recognizing the unprecedented scale of our defense collaboration as a cornerstone of our bilateral relationship, Minister Sikorski and I agreed to extend all possible support including government-level consultations to accelerate the conclusion of the second executive contract for K2 tanks.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When it comes to economic cooperation, we reviewed the progress of our ongoing projects and cooperation in key sectors such as energy and infrastructure.

We resolved to deepen our economic cooperation as it undoubtedly contributes to our mutual prosperity and growth.

In fact, our economic ties have grown by leaps and bounds over the past years. Poland is now Korea's fifth-largest trading partner within the EU, and Korea has become the largest Asian investor in Poland as of 2024.

This is a testament to the trust and potential both nations see in each other's economic future.

To further capitalize on this momentum, I have requested the Polish government's support in ensuring a stable and conducive environment for Korean companies doing business in and with Poland.

(Enhancing Trans-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Our partnership in the broader context of trans-regional security is also vital in the face of increasing connection between the security of Europe and the Indo-Pacific.

We both reaffirmed that there is a need to further strengthen our cooperation for trans-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encompassing both Europe and the Indo-Pacific,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ATO-IP4 partnership.

Minister Sikorski and I strongly condemned North Korea's continued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as well as its illegal military collusion with Russia.
We remain fully committed to achieving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improving its dire human rights situation.

I commend Poland for its steadfast support for Ukraine since the outbreak of the war. The Korean government will also continue its humanitarian and financial assistance to Ukraine, while working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hieve a lasting peace in Ukraine.

This year, we are launching a mid-to-long-term assistance package exceeding $2 billion, building upon the $400 million provided last year to address Ukraine's urgent needs in energy, infrastructure, healthcare and education.

(Way Forward for Korea-Poland Strategic Partnership)

Looking ahead, Minister Sikorski and I took an important step today by signing the Action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Poland for 2025-2028.

This plan lays out concrete steps to further strengthen our cooperation across multiple fields.

Minister Sikorski and I will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elevate the Korea-Poland Strategic Partnership to new heights, building on our shared values and mutual interests.

Our partnership is dynamic, resilient and forward-looking and together, we will continue to build on this strong foundation for the future.

Thank you. /END/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모두말씀] 공정위-국토부 MOU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