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정책오디오 플레이어 영역

재생 구간 탐색
0:00 00:00
정책의 재발견
[돈 되는 정책] 30% 할인받는 대한민국 농할상품권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1 x
목록

콘텐츠 영역

정책의 재발견

[돈 되는 정책] 30% 할인받는 대한민국 농할상품권

2024.04.18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글자크기 설정
목록
편집자 주다양한 정책 중에서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돈 되는 정책’만 골라 소개해 드려요! 평소 금전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필요한 자금을 정책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지금 돈 되는 정책을 들어보세요!

농림축산식품부가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기 위해 전통시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 농할상품권’을 발행해요.


2024 대한민국 농할상품권

요즘 장보기 겁나시죠? 한 개에 1만 원 하는 ‘금(金) 사과’가 등장하는 등 특히 과일값이 크게 올랐는데요. 이에 정부는 바나나, 오렌지 등 수입과일 물량을 대폭 늘리고 긴급 가격안정자금(1500억 원)을 집행하는 등 물가잡기에 나섰어요. 앞서 전국 51개 전통시장에서 ‘3월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개최한 것도 이 같은 이유예요.

여기에 더해 정부가 전통시장 및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2024 대한민국 농할상품권(이하 농할상품권)’을 4월 말까지 발행하기로 했어요. 농할상품권은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는 농축수산물 전용 상품권이에요. 할인율은 30%에 달해요. 상품권 10만 원어치를 구매한다면 실제로는 7만 원만 지불하면 된다는 뜻이에요. 1인당 월 최대 1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어요.

농할상품권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구매가 가능해요. 비플페이ㆍ오케이페이 등 간편결제 앱과 신한ㆍ우리ㆍ하나은행 등 은행 앱에서도 살 수 있어요. 앱을 내려받았다면 ‘공공상품권’ 메뉴에서 ‘2024 대한민국 농할상품권’을 찾아보세요. 상품권 권종(1만ㆍ3만ㆍ5만 원권)만 선택하면 손쉽게 구매가 가능해요. 이때 ‘선물하기’ 기능을 활용해 가족이나 지인에게 상품권을 전달할 수도 있어요. 받는 사람의 이름과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마음을 전달하기 어렵지 않아요. 농할상품권은 전통시장 또는 비플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하면 돼요. ‘제로페이 가맹점 찾기’ 앱에서 우리 동네 가까운 사용처를 검색할 수 있어요.

상품권 발행은 4월 말까지 이뤄져요. 4월 21일까지는 전체 회원 모두 구매 가능하고, 4월 22일 오후 2시부터 4월 28일까지는 1959년 이전 출생 회원만 구매가 가능하니 부모님께도 잊지 말고 챙겨드리도록 해요. 또 하나 기억할 것, 상품권 사용기간은 올해 6월 30일까지예요. 깜박하고 상품권을 사용하지 못했다면 할인지원금을 제외한 뒤 환불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할인혜택이 크니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죠? 

3만 원 할인혜택도 받고 전통시장과 우리 농가도 살리는 농할상품권, 알차게 이용해보세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