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정책오디오 플레이어 영역

재생 구간 탐색
0:00 00:00
정책의 재발견
[돈 되는 정책] 운동할 때마다 포인트가 쌓인다고?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1 x
목록

콘텐츠 영역

정책의 재발견

[돈 되는 정책] 운동할 때마다 포인트가 쌓인다고?

2024.05.30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목록
편집자 주다양한 정책 중에서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돈 되는 정책’만 골라 소개해 드려요! 평소 금전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필요한 자금을 정책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지금 돈 되는 정책을 들어보세요!

스포츠 활동을 인증하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주는 ‘튼튼머니’를 아세요? 건강도 챙기고 연간 최대 5만 원의 혜택도 가져가세요!


튼튼머니

옷차림이 가벼워지면서 운동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 많으시죠? 건강도 챙기고 포인트도 쌓을 수 있는 ‘튼튼머니’를 활용해보세요. 튼튼머니란 스포츠 활동을 한 뒤 인증하면 스포츠용품 구매와 스포츠시설 등록, 약국과 병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는 스포츠복지 서비스예요. 스포츠 활동 인증 횟수는 연간 최대 40회로 1인당 최대 5만 포인트(P), 즉 5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11세 이상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해요.

전국 튼튼머니 인증시설에서 운동을 하면 한 번에 1000P씩 일주일에 세 번까지 튼튼머니를 적립할 수 있어요. 그 전에 먼저 ‘국민체력100’ 누리집에 회원가입을 해야 해요. 그 뒤엔 운동할 때마다 시작할 때와 끝날 때 두 번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어 인증하면 돼요. 이때 운동은 반드시 최소 30분 이상 해야 해요. 튼튼머니 인증시설은 어떻게 찾냐고요? 국민체력100 누리집이나 카카오톡 채널 ‘스포츠활동 인센티브(튼튼머니)’에서 지역을 입력하면 집이나 직장 근처의 인증시설을 확인할 수 있어요.

직접 운동하는 것 말고도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국민체력100 누리집에 회원가입을 하면 1000P, 국민체력인증센터에서 체력측정을 하면 3000P(최대 2회), 국민체력100 건강체력기준을 달성하면 2000P가 지급돼요. 이밖에도 운동 애플리케이션(앱)과 연계한 챌린지 등 특별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포인트를 쌓을 수 있어요.

튼튼머니가 1000P 이상 쌓였다면 스포츠상품권으로 전환한 뒤 쓸 수 있는데요. 이를 위해 ‘Zmap’ 앱을 내려받은 뒤 ‘제로페이 포인트 조회/전환’ 메뉴를 클릭해 튼튼머니 전환을 신청하면 돼요. 올해 포인트 적립기간은 2024년 11월 30일까지, 스포츠상품권 전환기간은 12월 20일까지예요. 포인트는 올해 안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되기 때문에 그때그때 상품권으로 전환해놓는 게 좋아요. 상품권으로 바꾼 뒤에는 5년간 사용할 수 있어요. 11~14세는 국민체력100 누리집에서 튼튼머니를 문화상품권으로 전환해 사용하면 돼요. 상품권 사용처 및 사용 관련 문의는 제로페이 고객센터(1670-0582)로 해주세요. 건강도 지키고 돈도 벌 수 있는 튼튼머니, 이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죠?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