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탄소중립 용어사전] ‘글로벌 메탄 서약’이란?

2021.11.09 2050 탄소중립위원회
목록

[탄소중립 용어사전] ‘글로벌 메탄 서약’이란?

  • ‘글로벌 메탄 서약’이란?
  •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이산화탄소보다 21배나 높은 이것은?
  • 메탄을 기온 0.5°C 상승의 원인물질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글로벌 메탄 서약
  • 우리나라는 글로벌 메탄 서약에 가입해 메탄 감축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함께 줄이기 위한 약속!
  • ‘글로벌 메탄 서약’이란?
  •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이산화탄소보다 21배나 높은 이것은?
  • 메탄을 기온 0.5°C 상승의 원인물질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글로벌 메탄 서약
  • 우리나라는 글로벌 메탄 서약에 가입해 메탄 감축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함께 줄이기 위한 약속!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이산화탄소보다 21배나 높은 이것은?
메탄(methane, CH4)은 교토의정서에서 정의한
6대 온실가스 중 하나로
-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이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지구온난화지수(GWP)*로 보았을 때
이산화탄소에 비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무려 21배나 높은 물질입니다.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각각의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메탄을 기온 0.5°C 상승의
원인물질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이러한 메탄은 대기 중 체류기간이 약 10년으로
이산화탄소(최대 200년)에 비해 현저히 짧아

메탄 발생을 의욕적으로 줄일 경우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C 이내로 낮추자는
파리협정의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해요.

글로벌 메탄 서약
국제사회는 메탄 감축이 지구온난화 완화에 큰 효과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적극적인 감축을 추진하고 있어요!

글로벌 메탄 서약은 2030년까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하자는 목표로
국제사회가 함께 협력방안을 모색하자는 약속이에요.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지난 9월
글로벌 메탄 서약 추진 계획을 공동으로 발표하고,
주요국들을 대상으로 서약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오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11월 2일에 개최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통해
글로벌 메탄 서약에 가입해 메탄 감축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8년 → ’30년 부문별 메탄 감축안] (단위: 백만톤 CO2eq)
• 에너지 : 배출량 6.3 → 4.5 감축률 28.6%
• 농축산 : 배출량 12.2 → 9.7 감축률 20.5%
• 폐기물 : 배출량 8.6 → 4.6 감축률 46.5%
• 산업 공정 : 배출량 0.6 → 0.7 감축률 -13.3%
• 산림·토지 이용 변화 : 0.3 → 0.3 감축률 -
배출 총계 : ’18년 28.0 → ’30년 19.7 감축률 30%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함께 줄이기 위한 약속!
글로벌 메탄 서약(Global Methane Pledge)
어때요? 쉽게 이해 되셨나요?
알쏭달쏭한 탄소중립 용어
앞으로도 탄소중립위원회에서 쭉~ 알려드릴게요.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생활 속 유해물질 ‘비스페놀A’ 안전할까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