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오맞! 이 정책] “어촌에서 살아볼까”...귀어 창업 및 주택구입 자금 지원받으세요!

[오늘의 맞춤정책] 귀어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

2021.12.10 정책브리핑 이정운
목록


귀어귀촌을 꿈꾸는 분들에게 창업·주택구입 자금을 지원해요.

[귀어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
귀어업인이 되기를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어촌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창업(수산업, 어촌비즈니스업) 및 주택구입 자금 지원

[대상]
사업대상자는 ‘귀어업인(희망자 포함) 및 재촌비어업인’으로서, 사업신청 연도 기준 만65세 이하(1956. 1. 1. 이후 출생자)인 사람*

* 귀어 창업을 위해 2020년도 이전에 귀어귀촌 종합·지원센터, 귀어학교 등에서 “귀어창업교육” 등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만 65세 이상의 교육수료생은 사업대상에 포함
* 주택구입 지원사업은 연령 제한기준 적용 안함. 어업경영체로 등록이 가능한 사업대상자 중 이미 농어촌 이외 지역에서 어업경영체로 등록된 자가 농어촌지역으로 이주 하는 경우도 포함

[지원 분야]
- 창업자금
수산분야(어업, 양식업, 소금생산업, 수산물 가공·유통업 등) 및 어촌비즈니스분야(어촌관광, 해양수산레저)
* 수산물 가공·유통업과 어촌비즈니스업은 어업 또는 양식업과 병행하는 경우 지원 가능

- 주택구입자금
주택의 매입, 신축, 리모델링(자기 소유의 주택을 증·개축하는 경우 포함)
* 재촌비어업인은 주택구입 자금 지원 제외

<지원 제외 분야>
• 어획물운반업 
• 낚시샵, 낚시터업, 펜션, 민박, 레스토랑, 횟집, 단순판매시설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 주택이 포함되지 않은 토지 구입
• 지자체 등이 시행하는 농어촌민박 등 주택과 관련된 지원(보조·대출)을 받은 경우

[지원 방식 및 형태]
사업대상자 중 대출신청을 먼저 하는 사업자에게 자금을 우선적으로 지원(대출)하며 2023.12.31.까지 대출을 완료하여야 함

• 지원 형태
지원대상자로 선정된 자가 사업(일부완료 또는 완료)후 담보(신용, 물건)를 제공하고, 수협에서 대출을 받으면, 해양수산부에서 이자 차이(기준금리대출금리 2.0%) 지원 

• 재원 : 수협자금 100% (이차보전사업)
• 대출금리 및 대출기간 : 연 2.0%, 5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지원(대출) 한도 기준]
• 창업자금 : 사업대상자 당 3억 원 이내
• 주택구입 지원 자금 : 세대당 7,500만 원 이내

* 동일 세대에서 2명 이상이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경우, 주택구입 지원은 1인만 지원 가능
* 창업자금 및 주택구입자금 별도 각각 신청 가능

[신청 방법]
신청서 등 관련 서류를 구비하여 주민등록 기준 거주지 관할 시·군·구에 제출
사업신청(귀어업인 등) → 서류, 현장심사 및 금융상담(사업시행자/수협) → 사업신청자 심사 및 보고(사업시행자 → 해수부) → 사업대상자 선정 통보(해수부 → 사업시행자/수협 → 사업신청자)

[문의처] 귀어귀촌종합센터

☞ 한눈에 보는 국민생활 서비스 ‘희망사다리’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탄소중립 실천 인증하고 선물 받자”…#DO2챌린지 참여하세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