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2024.01.18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목록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1.18.)

수산물의 삼중수소 모니터링을 올해 400건 이상 진행할 예정이며, 결과는 해수부·식약처 누리집에 공개합니다.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계획을 설명드립니다

수산물의 삼중수소를 낮은 농도까지 검출하는 시험법을 개발해 다음 주부터 시작합니다.
그동안 바다의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한 결과 수산물 속 농도는 안전한 것으로 추정하지만 직접 모니터링한 결과를 통해 다시 한 번 ‘안전성’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올해 400건 이상 모니터링 할 예정이며, 결과는 해수부·식약처 누리집에 공개합니다.
- 국산 : 고등어, 갈치, 김 등 다소비 품목 중심
- 수입 : 명태, 가자미 등 태평양 연안국가 다수입 품목 중심
검사 품목·건수 확대 등을 계속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를 수입 수산물로 확대합니다.

1월 26일부터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매주 신청 건수 상위 10개 품목을 검사합니다.
☞ 국민신청 방사능 분석사업 누리집
결과는 신청인에게 문자로 직접 알려드립니다.
모두 보실 수 있게 누리집에도 공개합니다.

·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1월 18일 기준)
우리 수산물, 일본산 수입 수산물 모두 ‘적합’입니다.
- 국내산 생산단계 40건, 유통단계 32건
- 일본산 51건(1월 16일 실시)

·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결과(4월 24일~)
338건 중 검사 완료 331건 모두 ‘적합’입니다.

·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결과(1월 18일 기준)
지난 브리핑 이후 검사 완료 4곳* 모두 세슘·삼중수소가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았습니다.
- 서남해역 1곳, 원근해 3곳

국민의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 자세히 보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세계 청소년의 스포츠 축제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G-1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