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의대 증원 팩트 정리] 의대 증원 왜 해야 할까요?

2024.02.20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목록

[의대 증원 팩트 정리] 의대 증원 왜 해야 할까요?

우리보다 의사가 많은 선진국도 우리보다 먼저, 더 많이 늘리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는 크게 늘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의대 정원, 27년간 묶여있었습니다.
영국, 프랑스 등은 인구당 의사가 많은데도 우리보다 먼저, 더 많이 늘리고 있습니다.

· 주요국 의대 정원 확대
미국 ’00 1.8만 → ’21 2.8만 (1만 명↑)
영국 ’00 5,700 → ’21 1.1만 (5,300명↑)
프랑스 ’00 3,850 → ’20 1만 (6,150명↑)
일본 ’00 7,630 → ’20 9,330 (1,700명↑)

부족한 걸 채우는 겁니다.

우리나라 의사, 2035년이 되면 1.5만 명 부족해집니다.
증원하는 2,000명은 2031년부터 배출되며 2035년까지 1만 명입니다.
2000년대 의약분업 이후 정원 감축으로 배출되지 못한 인원과 비슷한 규모입니다.
OECD 수준이 되려면 8만 명이 필요합니다.

많은 게 아닙니다.

우리나라 의사 수, 국민 1,000명 당 2.6명으로 OECD 끝에서 두 번째입니다.
한의사를 빼면 2.1명으로 꼴찌입니다.
이번에 증원해도 2.3명 수준이 됩니다.

· 국민 1,000명당 의사 수 비교
OECD 평균 3.7명, 프랑스·영국 3.2명, 미국 2.7명, 일본 2.6명

국민 대다수가 찬성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여론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8명은 의대 증원에 찬성했습니다.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대다수 국민이 찬성하고 있습니다.

1년 넘게 협의한 결과입니다.

사회 각층과 130차례 이상 소통했고 전문가, 대학과 고심해 결정한 규모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고 의료수요는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의사 양성에 길게는 10년이 걸립니다.
2035년까지 1만 명을 확충하려면 지금이 마지막 기회입니다.

의료계의 오랜 요구도 담았습니다.

의사 여러분이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하는 여건을 만드는 것도 목표입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소송 걱정을 덜고 안심하고 진료하도록 안전망을 만듭니다.
힘든 만큼 보상해드리기 위해 2028년까지 10조 원 이상 투입해 필수의료 수가를 개선합니다.

아픈 국민 곁을 지켜주십시오.

대화의 장은 열려 있습니다.
더 좋은 대안은 언제든지 수용합니다.
국민과 의사를 위한 의료개혁에 함께 해주십시오.
더 빠르고 더 확실하게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3월 여행가는 달’…꼭 가봐야 할 숨은 여행지 어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팀코리아 파이팅! 2024 파리올림픽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