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2024.05.24 조달청
목록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 [정부 출범 2주년] 혁신적 조달기업이 성장하는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혁신적 조달기업의 ‘진입 → 성장 → 도약’까지… 역동적 조달생태계 조성 성과 본격화


<진입> ‘공공조달 길잡이’ 425건 맞춤형 컨설팅, 계약보증금 50% 절감으로 진입장벽 해소
<성장> 25개 범부처 협업, 킬러규제·주요 조달제도 개선해 기업 성장 견인
<도약> 바우처 도입, 해외실증 확대 등으로 2023년 역대 최대 16.3억 달러 수출 성공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을 맞아 조달청이 추진해 온 핵심 과제 성과를 소개합니다.

■ 초기기업의 공공조달 첫 진입부터 촉진

Ⅴ 조달 현장과 가까이 34명의 ‘공공조달 길잡이’를 배치하여 2달만에 425건(’24.3.13~5.15)의 컨설팅으로 조달시장 첫 진입부터 맞춤형 지원

Ⅴ 납품 실적 부족 등으로 어려워하는 청년·창업·벤처기업 전용몰 ‘벤처나라’ 활성화를 통한 판로개척 지원

■ 혁신적 조달기업의 내실있는 성장 지원

Ⅴ 기업의 발목을 잡는 조달현장규제에 대한 공세적 혁파
* 작지만 효과가 큰 206개 현장규제 발굴 → 179개 개선 완료, 획일적 제재, 과도한 인증획득 부담, 행정편의적 인지세 부과 등 킬러규제도 과감히 수술 추진

Ⅴ 민간의 혁신을 정부가 먼저 구매하는 ‘혁신제품 공공구매’ 활성화를 위해 25개 기관과 범부처 협업으로 판로·금융·마케팅·인력 등 전방위 지원
* 혁신제품 공공구매 1.7조원 돌파, 26개 제품 CES 혁신상 수상 등 성과

Ⅴ 다수공급자계약(MAS), 우수조달물품 등 주요 제도 전면 개편으로 성장 촉진
<공급실적>
MAS ’21년 15.7조원 → ’23년 18.3조원 17%↑
우수 ’21년 4.03조원 → ’23년 4.75조원 18%↑

■ 역량있는 조달기업의 해외진출을 통한 도약 지원

Ⅴ해외조달 특화 바우처(10억원) 도입, 맞춤형 입찰정보 제공, 해외조달전문교육 확대 등
→ ’23년 역대 최고 16.3억 달러 수출 성공

Ⅴ 해외 첫 판로를 뚫어주는 ‘해외실증사업’ 확대로 실질적인 수출로 이어지는 성과
(’22년 3억 → ’24년 70억)

☞ 자세히 보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모두를 위한 PLS 안심 레시피 ‘유자삼치구이’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