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2024.05.27 문화체육관광부
목록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정부 출범 2주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지난 2년 관광 분야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관광산업 재도약을 위한 혁신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방한 관광객 유치에 힘쓴 지난 2년>
방한 관광객 대상 편의 서비스를 개선하고 메가이벤트를 개최했습니다.

코리아그랜드세일, K-팝 콘서트 등 K-컬처 메가 이벤트 개최하는 등 2024년 1분기에 외국인 관광객 340만 명이 방문해 코로나19 이후 분기 기준 최대 규모를 달성했습니다.

<국민여행에 힘쓴 지난 2년>
모두를 위한 여행이 되도록 다양한 할인과 지원을 통해 국민여행 기회를 확대했습니다.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확대하고 교통·숙박 할인과 연계한 ’23년 6월 ‘여행가는 달’을 통해 국민 103만여 명이 숙박·교통 등의 할인 혜택을 받았습니다.

<지역관광 확충에 힘쓴 지난 2년>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및 차별화된 콘텐츠를 개발했습니다.

국가대표 관광상품으로 육성할 글로벌 축제를 육성하고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을 위한 ‘남부권 K-관광 휴양벨트’ 구축해 지역관광의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무장애 관광을 위한 지난 2년>
모두가 차별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무장애 관광환경을 조성했습니다.

무장애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무장애 관광센터 개소, 열린관광지 확대하는 등 약자 친화 관광정책을 강화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앞으로 문화·체육·관광·콘텐츠 전 분야에 걸쳐 지난 2년간의 성과를 기반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정책을 국민의 시각에서 추진하겠습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정부 출범 2주년] ③ 복원된 금융·증권범죄 수사시스템으로 한층 강화된 자본시장의 공정성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