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펜타닐 오남용 막는다…처방 전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2024.06.17 식품의약품안전처
목록

펜타닐 오남용 막는다…처방 전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 시행

펜타닐 처방전 발급 시 환자의 투약내역 확인 의무화 제도가 지난 14일자로 시행됐습니다.

Q. 의료용 마약류 투약 내역 확인 의무화는 어떤 제도인가요?

의사가 환자 진료·처방 시 환자의 지난 1년간의 마약류 투약 이력을 조회·확인하여 과다·중복 처방 등 오남용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처방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Q. 투약 내역 확인 의무화 대상 성분이 정해져 있나요?

펜타닐(Fentanyl)과 그 염류로서 먹는 약(정제 등)과 붙이는 약(패치제 등)입니다.

<펜타닐 성분 함유 의료용 마약류 제품>
- 정제
나르코설하정, 액틱구강정, 앱스트랄설하정, 펜타칸설하정, 펜토라박칼정 등
- 패치제
듀로제식디트랜스패치, 명문펜타닐패치 펜타덤패치, 펜타듀르패치, 펜타릭스패치 등

Q. 의사·치과의사는 환자의 과거 투약 내역을 어떻게 확인하나요?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Ⅴ 의료기관 처방 소프트웨어와 연계된 경우
해당 마약류 처방 시 팝업(Pop-Up) 형태로 자동 제공
Ⅴ 연계 기능이 개발되지 않은 경우
상단 메뉴 접속 후 조회하거나 의료용 마약류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 웹사이트 직접 접속 후 확인

*확인 후 과다, 중복 처방 등 오남용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처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 투약 내역 확인 시 의사는 환자의 동의를 꼭 받아야 하나요?

아닙니다.
환자의 투약 내역을 조회하는 의사는 환자에게 조회 사실을 사전에 알리면 됩니다.
조회 없이 처방전을 발급하는 경우 의사에게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투약 내역을 확인하지 않고 처방전을 발급하지 말아야 합니다.

본인의 마약류 투약 이력을 스스로 확인할 수도 있어요!

<내 투약 이력 조회 방법>
① 모바일 앱
마약류 안전정보 도우미’ 다운로드, 접속 → 로그인 → 내 투약 이력 조회
② 웹사이트
의료용 마약류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 접속 → 로그인 → 내 투약 이력 조회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나에게 맞는 인생 첫 카드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