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경제위기 따른 지출확대로 국가채무 증가

2020.09.02 기획재정부
목록

기획재정부는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상 국가채무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그 원인은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경제위기로 인한 세입기반 약화 및 지출소요 확대에 주로 기인한다”며 “코로나 위기 발생 이전 문재인 정부의 국가채무증가 속도는 이전 정부보다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밝혔습니다.

9월 2일 다수 언론의 <‘빚 660조 넘겨받은 文정부, 빚 1,000조 물려준다’> 등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빚 660조 넘겨받은 文정부, 빚 1,000조 물려준다’(조선, 중앙, 한국일보 등 9.2), ‘무너지는 재정건전성...‘24년 국가채무비율 60% 육박’(헤럴드 경제 등, 9.1) 등 다수 매체에서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이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다고 보도   

[기재부 입장]

□「‘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상 2022년 국가채무 규모는 1,070.3조원(GDP대비 50.9%), 2024년 1,327조원(58.3%)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다만, 그 원인은 코로나19 라는 예상치 못한 경제위기로 인한 세입기반 약화 및 지출소요 확대에 주로 기인

ㅇ 코로나 위기 발생 이전(‘17~’19년) 문재인 정부의 국가채무증가 속도는 이전 정부보다 양호한 수준 유지

ㅇ
□ 정부는「‘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마련 시 ①코로나 위기 극복 및 경제역동성 회복 등 당면과제 해결의 시급성 ②중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재정관리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

(1) 정부는 일시적 채무증가를 감내하더라도, 재정의 경기대응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여,
 
- 코로나위기를 조기 극복하고, 경제역동성을 회복하는 것이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최적 대안이라고 판단

(2 OECD도「2020년 한국경제보고서」에서 “한국의 확장재정이 코로나 대응을 위한 적절한 조치였다”라고 평가하면서,
 
- 재정적자를 감내하더라도 경기 회복시까지 재정을 통한 경기 뒷받침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

(3) 소극적 대응으로 저성장이 장기화된다면 세수여건 악화 등으로 중장기 재정건전성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 가능

(4)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 증가는 주요국 대비 낮을 것으로 전망되며, 코로나 위기 이후에도 주요국 대비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 유지 가능

ㅇ

□ 한편, 정부도 국가채무 증가속도에 대해 각별히 경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재정의 지속가능성이 유지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음

* ① 총지출 증가율 점진적 축소  ② 강력한 지출구조조정 및 세입기반 확충 ③ 중장기 재정리스크 지속 점검 ④재정준칙 도입 추진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코로나 진정 이후 재정 뒷받침 통한 정부의 마중물 역할 수행 필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