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미소금융, DSR 적용해 대출 여부 결정하지 않아

2020.11.23 기획재정부
목록

금융위원회는 “미소금융은 저신용자 등 서민에 대해 대출을 제공하는 정책서민금융상품으로, 대출 과정에서 신청자의 상환능력을 심사하고 있으며, 소득·자산·부채 등을 확인하고 있으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해 대출 여부를 결정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11월 23일 매일경제<의사는 연 1%에 4억 대출 서민은 2천만원도 “NO”>에 대한 금융위원회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매일경제는 11.23일자 「의사는 연1%에 4억 대출, 서민은 2천만원도 “NO”」제하 기사에서, 다음의 내용을 보도

① “미소금융 탈락 이유가 연소득 대비 원리금이 높다는 것인데 서민금융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② “2009년 출범 당시 1490억원에 달하던 참여사 출자액이 올해는 15억원으로 100분의 1로 줄어들었다. 참여사 11곳의 대출 실적도 2017년 2740억원에서 올해(9월말 현재) 1613억원으로 41.1% 줄었다.”등을 보도

[금융위 입장]

1) 미소금융 대출심사 관련

ㅇ 미소금융은 저신용자 등 서민에 대해 대출을 제공하는 정책서민금융상품으로, 대출 과정에서 신청자의 상환능력을 심사하고 있으며, 소득·자산·부채 등을 확인하고 있으나,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여 대출 여부를 결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미소금융 재원현황

ㅇ 미소금융 공급을 위한 재원은 기업·은행 기부금, 휴면예금 운용수익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이중 기업·은행 기부금은 기업·은행이 자율적으로 서민금융진흥원(과거 미소금융중앙재단)에 지정기부한 자금으로, 해당 기업·은행이 설립한 각 미소금융재단이 직접 대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3) 미소금융 대출현황

ㅇ 시장상황 등에 따라 미소금융 공급실적이 변동*해왔으며, 2020년 9월말기준 미소금융 대출실적은 2019년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 미소금융 실적(억원) : (‘16) 4,207 → (’17) 4,573 → (‘18) 4,022 → (’19) 3,564 → (‘20.9월) 2,829
- 기업·은행재단 실적(억원) : (‘16) 2,436 → (’17) 2,740 → (‘18) 2,664 → (’19) 2,194 → (‘20.9월) 1,613

- 다만, 저금리 기조 지속, 대체가능한 정책금융상품 공급 확대 등으로 인해 자영업자의 창업·운영자금 등을 집중 지원하는 미소금융의 수요가 감소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4) 정책서민금융 공급실적 및 향후계획

ㅇ 정부는 저소득·저신용층, 취약계층 등의 금융애로 완화를 위해 미소금융외에도 근로자햇살론, 햇살론youth 등 다양한 정책서민금융상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공급규모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 공급실적(조원) : (‘16) 5.0 → (’17) 6.9 → (‘18) 7.2 → (’19) 8.0 → (‘20.9월) 5.5(목표 8.6조원)

ㅇ 앞으로도 서민층의 금융애로 완화를 위해, 안정적인 정책서민금융 재원구조 마련을 위한 ?서민금융법? 개정추진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 금융위원회 서민금융과(02-2100-2614), 서민금융진흥원 금융기획부(02-2128-8086)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NGFS 권고안, 고탄소 기업 채권의 추가 충당금 적립 의무 강제 아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