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다수인증 원스톱 지원서비스와 해외인증 종합지원체계 구축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인증 취득을 지원하고, 인증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2월 7일 한국경제 <中企, 인증료 신음하는데…7년간 챙긴 돈 3조 챙긴 인증기관>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입장입니다
[기사 내용]
□ 4개 기관(KCL,KTC,KTL,KTR)의 수수료 수입은 역대 최고치, 기업부담 완화를 위해 시험·인증 통폐합 등 제도개선과 수수료 감면이 필요
[산업부 입장]
□ 시험인증은 기업의 자사 제품 성능·품질 확인, 소비자의 안전, 환경 등을 위한 기본적인 서비스임
ㅇ 최근 IT·융복합 신기술·제품 출시, 안전 등에 대한 사회적 요구, 관련 제품·서비스산업의 성장으로 시험인증 수요는 증가하고 있음
ㅇ 또한 전 세계적인 환경, 안전 등에 대한 관심 증가와 각 국의 자국 우선주의 기술규제 도입으로 전 세계 시험인증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음

□ 정부는 각 부처별로 제품안전, 전자파, 환경 등의 분야 법정인증제도를 운영 중이나, 중소기업은 시험인증 비용 부담, 인증제도의 유사·중복 등에 대한 애로해소를 요구하고 있음
□ 산업부는 중소기업의 인증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인증 유효기간 연장, 인증 수수료 감면 등의 인증제도 개선방안(‘22.9)을 발표한 바 있음
ㅇ 전기용품 안전인증 수수료의 경우 ‘04년부터 동결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국가와 비교하면 인증 수수료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미국의 1/5, 유럽 1/2 수준)

□ 정부는 유사·중복 인증 개선 등을 위해「적합성평가 실효성 검토」를 통해 ‘22년 64개 법정인증제도 가운데 전국호환교통카드 인증 등 11개 제도를 폐지·통합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추진하였으며
ㅇ 기업의 인증취득 지원을 위한 인증 관련 정보제공, 컨설팅 등의 ‘다수인증 원스톱 지원서비스’ 및 1381인증정보 콜센터를 운영하고
* 다수인증 원스톱지원서비스 품목수(누계)
: LED 등 6품목(‘20) → 창세트 등 20품목(’21) → 스마트LED 조명 등 22품목(‘22)
* 1381콜센터 상담건수 : 83,095건(‘20)→ 65,679건(’21) → 48,826건(‘21)
ㅇ 국가간 상호인정 확대를 위한 국제협력, 해외인증의 국내 취득지원을 위한 범부처 해외인증 종합지원체계(정보제공, 컨설팅, 제품시험) 구축 등을 통해 중소·중견 기업의 수출지원체계를 지속 마련해 나갈 계획임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시험인증정책과(043-870-5487)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정위 조직개편의 구체적 방안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